• Title/Summary/Keyword: 자산특이성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Impact of Trust and Asset Specificity between Partner Firms on IJV Performance: A Quadratic Model Investigation of IJVs in Korea (합작파트너 간 신뢰와 자산특이성이 국제합작투자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비선형적 모형을 중심으로)

  • Song, Yunah;Lee, Jae-Eun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9 no.1
    • /
    • pp.235-256
    • /
    • 2017
  • This study is to analyse how trust and asset specificity among partner firms affect on performance of international joint venture(IJV). Especially, the analysis was mainly based on a quadratic model. While it assumes that the previous studies was based on linear mode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sset specificity and the performance, this study proceeds a empirical analysis by setting up a hypothesis; it would be quadratic relationship between trust, asset specificity and performance which are based on social capital theory and transaction cost theory. The survey was held with 74 manufactures who were established as an IJV by Korean and foreign firms together. In the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rust shows an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with IJV performance. Also, asset specificity shows the U-shaped relationship with IJV performance. The results suggest that it needs to control and maintain the trust level among the partners in order not to lose an appropriate control caused by too much trust. In order to minimize the cost generated by asset specificity and to transform it into positive impact, it needs a control and the operation of monitoring system on the opportunistic action of the partners. Furthermore, it needs to keep organizational flexibility and innovativeness to continuously develop new capabilities.

  • PDF

Investment Behavior of Operators Before and After WIPI Using an Ownership Model (자산소유권 모델을 이용한 위피 도입 전후의 사업자 투자 행태에 관한 연구)

  • Lee, Tae-Hee;Shin, Il-Soo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261-270
    • /
    • 2006
  •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social equilibrium of wireless internet platform market before and after the adoption of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When market prevails operator ownership, as opposed to manufacturer ownership, with heterogenous platforms becomes a more likely and desirable solution. After the adoption of WIPI, social equilibrium is achieved only if operators perceive that the cost reduction and the interoperability effects from investing in WIPI fully offset the appropriation effect from investing in heterogenous platforms.

  • PDF

Information Systems Outsourcing Succes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artnership and Asset Specificity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의 성공요인 분석: 파트너십과 자산특이성의 상호효과)

  • 정영수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
    • /
    • v.1 no.3_4
    • /
    • pp.113-132
    • /
    • 1999
  • 실증적인 연구들에 의하면 고객회사(client firms)와 서비스 제공업자(vendor) 간의 파트너십의 질과 범위가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의 성공적인 구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구현에 있어서 파트너십의 역할을 좀 더 심층적으로 분석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본 연구에서의 기본 명제는 파트너십 특성들의 아웃소싱 구현에의 효과는 아웃소싱 업무의 특성(task characteristics)과 같은 상황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산특이성(asset specificity)과 파트너십 특성간의 상호효과(interaction effect)에 중점을 두고 조사를 하게되는데, 파트너십은 관계적거래 특성(relational exchange characteristics)에 의해 구체화되었다. 207개의 미국 회사의 아웃소싱 관계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 결과에 의하면, 전반적으로 비관계적거래(discrete exchange)보다 관계적거래에 기반을 두고 아웃소싱 관계를 운영하는 것이 아웃소싱의 성공적 구현을 위하여 필수적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상호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MRA와 하위그룹분석(subgroup analysis)을 시행하였는데, 자산특이성과 일부 관계적거래 특성들간에 상호효과가 유의성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발견된 상호효과를 근거로 상황 변수를 고려하지 않은 연구 결과 중 확실하지 않은 결과(inconclusive results)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 PDF

Factors Influencing IS Outsourcing Implementation : an Empirical Study from the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 Perspective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의 성공요인 분석 : 조직간 관계 관점에서의 실증적 연구)

  • 정영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1997.10a
    • /
    • pp.503-525
    • /
    • 1997
  • 정보시스템 아웃소싱(outsourcing)의 적용 범위와 그 규모가 증대함에 따라, 아웃 소싱은 정보시스템의 관리에서 근본적인 이슈로 등장하게 되었다.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의 중요성이 인식되었으나, 그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미흡한 설정이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정보시스템 아웃소싱에 있어 고객회사(client firm)와 서비스 제공업자(vendor)간의 관계의 성공 및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모델은 관 계적거래이론(relational exchange theory), 커뮤니케이션 행동(communication behavior), 거래비용분석(transaction cost analysis) 등의 조직간관계(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작성되었다. 미국의 207개 회사의 정보시스템 아웃소싱 설문조사에 의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1) 서비스 제공업자의 능력(vendor capability), 관계결속성(solidarity), 관계지속성(continuity expectation), 유연성(flexibility), 서비스업자의 활동에 대한 모니터링(monitoring of the vendor), 참여도(participation) 등이 아웃소싱 관 계의 성공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2) 역할연합도(role integrity), 자산특이성 (asset specificity) 등은 아웃소싱 관계의 성공과 음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 결과에 의하면, 비관계적 거래(discrete exchange) 보다는, 관계적 거래(relational exchange)에 기반을 두어 아웃소싱 관계를 운영하는 것이 아웃소싱의 성공적인 구현을 필 수적으로 보여진다. 이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아웃소싱 대상 업무의 선택, 서비스 제공 업자의 선택, 그리고 아웃소싱 관계의 지속적인 관리를 위한 지침을 제시하였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Ownership Structure of Listed Companies in Korea : Evidence from Panel Data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소유구조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패널자료로부터의 근거)

  • Lee, Hae-Young;Lee, Jae-Choo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0 no.2
    • /
    • pp.41-72
    • /
    • 2003
  •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build theoretical and empirically testable model to identify determining factors of ownership structure, and to analyze this model empirically using th Korea Stock Exchange panel data, and to test the impact of opening the stock market on the determinants of ownership structure. The determining factors of ownership structure identified in this paper include debt ratio, dividend, asset characteristics, profitability, growth business risk, size, institutional investors and chaebol-non chaebol dummy variable. Empirical panel estimation test reveals that this model can explain about $9\sim11%$ of the cross sectional variance in the equity ratio of large shareholders. The reasons that this model has too explanatory power are that some variables were measured with errors, and that there were some omitted variables in tested model. The regression results on the model variables ar generally in line with predictions. But the coefficient estimates on size is never significant. And it appears that the exogenous variable which explains opening the stock market has positive effect on the determinants of ownership struc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