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본재

Search Result 17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Product & Technology Mall for Capital Goods Small & Medium Sized Enterprises (자본재 중소업체 지원을 위한 제품몰 개발에 관한 연구)

  • 김용호;전창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552-554
    • /
    • 1999
  • 인터넷 상거래가 활성화되면서 기업들은 인터넷과 접목하여 자사의 이익을 극대화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소비재를 생산하는 기업 및 중간 상인들은 일명 "쇼핑몰"을 구축하여 기업 홍보와 더불어 제품 판매를 시행하고 있으며 특정 기업은 상당한 가치 창출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자본재를 생산하고 거래하는 기업에서는 인터넷의 가능성에 대한 확신의 부족으로 투자를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본재 제품에 대한 정보를 구축.검색하는 제품몰을 개발하여 자본재를 생산하는 중소기업체들에게 인터넷 사업의 기회를 제공하고, 구축된 제품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제품간 유사성을 바탕으로 제품 검색자(바이어)에게 제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로써, 기업은 자사의 제품에 대한 사양.특징.기술력 등을 인터넷을 통해 홍보하고 타사의 유사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제품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되며, 바이어는 전체적인 제품을 하나의 사이트에서 검색함으로써 정보 검색에 따른 시간을 절약하고 원하는 제품 정보와 함께 유사제품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제품 구매 판단을 위한 유익한 정보 제공을 기대한다. 제공을 기대한다.

  • PDF

The Valorization of Media Capital through User's Activities (이용자를 통한 미디어 자본의 가치 창출)

  • Kim, Dongwon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70
    • /
    • pp.165-188
    • /
    • 2015
  • This paper deals with the questions: Are media user's activities labour? Or rent? These questions have provoked a debate in the critical media studies and Marx's theory. But it is not a matter of choosing either labour or rent. Even if user's activities could contribute to valorization, it needs some mediating process. Media Platforms-Google, Facebook, etc.-play a key role, and have to employ other forms of labour. Labour in media platform produces some capital commodities. In view of media platform, Smythe's audience commodity can be considered as capital commodity. Assertion in this paper expected to provoke new debate on media platforms and its labourer.

  • PDF

전기동향

  • Korea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 전기산업
    • /
    • v.8 no.3
    • /
    • pp.85-89
    • /
    • 1997
  • PDF

The Effects of North Korea's Mineral Export on Various Imports (북한의 광물 수출과 품목별 수입: 대중무역을 중심으로)

  • Kim, Dawool;Kim, Minjung;Kim, Byung-Yeon
    • Economic Analysis
    • /
    • v.26 no.2
    • /
    • pp.72-113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ineral exports to China, North Korea's most important source of foreign currency acquisition, and its imports of various items from China from the first quarter of 1995 through to the third quarter of 2019. The results from a cointegration analysis suggest that there exists a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mineral exports and imports of food, fuel, and some intermediate goods, such as industrial supplies, parts, and accessories. The results from a vector autoregression using first-differenced variables indicate that the short-run relationship between mineral exports and imports is different betwee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third quarter of 2010. Prior to structural changes, i.e., before the third quarter of 2010, import shocks affected mineral exports. However, after the third quarter of 2010, an increase in mineral exports led to an increase in the import of vehicles, intermediate goods, and luxury goods. This paper shows both the possibilities and the limits that mineral exports can contribute to North Korea's economic growth. The results, which show that mineral exports have a long-run relationship with intermediate goods, such as industrial supplies, parts and accessories, imply that mineral exports to China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North Korean economy. However, the fact that mineral exports do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ort of machinery and equipment, which helps the accumulation of capital formation, shows that mineral exports have a limited effect on inducing long-term growth in the North Korean economy.

Processing of Micro-Parts by Metal Forming (소성가공에 의한 미세부품 성형기술)

  • 나경환;박훈재;조남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7 no.7
    • /
    • pp.14-19
    • /
    • 2000
  • 현재 자본재산업의 기술낙후는 상품의 수출경쟁력 약화의 근원적인 원인이 되어 결국 지속적으로 선진국의 기술종속을 심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자본재 산업의 문제는 현재의 주력 수출상품의 핵심요소부품생산기술의 미비가 큰 원인이며(거의 주요핵심부품 도는 관련기술은 거의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같은 논리로 차세대 신기술의 개발을 통한 첨단 상품의 개발도 이에 필요한 핵심요소부품의 생산기술이 뒤를 바쳐 주지 못한다면 결국 10년 후에도 현재와 같은 현상이 되풀이될 것은 분명하다.(중략)

  • PDF

정부시책

  • Korea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 NEWSLETTER 전기공업
    • /
    • no.97-18 s.187
    • /
    • pp.11-15
    • /
    • 1997
  • PDF

정부 시책

  • Korea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 NEWSLETTER 전기공업
    • /
    • no.96-1 s.146
    • /
    • pp.23-29
    • /
    • 1996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