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막 교환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Method for Recovering Image Data for Caption Regions and Replacing Caption Text (비디오 자막 영역 원영상 복원 후 자막 교환 방법)

  • Chun, Byung-Tae;Han, Kyu-Seo;Bae, Young-L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743-746
    • /
    • 2001
  • 멀티미디어 정보 중 비디오 데이터는 정보량이 많기 때문에 자동화된 비디오 영상 처리 기술이 필요하다. 시청자의 이해와 시청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대부분 비디오에 자막을 삽입하게 된다. 외국 방송물 및 영화에 삽입된 다른 언어 자막을 편집 과정에서 자막으로 교환 할 필요성이 종종 있게 된다. 기존의 방법들은 자막 부분을 충분히 포함하는 일정 영역에 특정 색상을 채운 후 새로운 자막을 삽입하게 된다. 기존 방법의 문제점은 많은 영역에 대해 비디오 영상 정보를 손실 시킴으로써 시청자에게 시청의 불편을 초래하고 자막 교환의 비 효율성과 부 자연스러움을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자막 영역을 원영상으로 복원한 후 다른 자막으로 교환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원영상 복원을 위하여 비디오 정보와 BMA(Block Matching Algorithm)를 이용한 원영상 복원 방법을 제안하고, 복원된 영역에 다른 자막으로 교환함으로써 효과적인 자막 교환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 원영상 복원을 이용한 자막 교환 방법은 기존 방법에 비해 자연스럽고 효과적인 교환 방법임을 볼 수 있었다.

  • PDF

An Effective Method for Replacing Caption in Video Images (비디오 자막 문자의 효과적인 교환 방법)

  • Chun Byung-Tae;Kim Sook-Ye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0 no.2 s.34
    • /
    • pp.97-104
    • /
    • 2005
  • Caption texts frequently inserted in a manufactured video image for helping an understanding of the TV audience. In the movies. replacement of the caption texts can be achieved without any loss of an original image, because the caption texts have their own track in the films. To replace the caption texts in early methods. the new texts have been inserted the caption area in the video images, which is filled a certain color for removing established caption texts. However, the use of these methods could be lost the original images in the caption area, so it is a Problematic method to the TV audie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for replacing the caption text after recovering original image in the caption area. In the experiments. the results in the complex images show some distortion after recovering original images, but most results show a good caption text with the recovered image. As such, this new method is effectively demonstrated to replace the caption texts in video images.

  • PDF

A Study on Analyzing Caption Characteristic for Recovering Original Images of Caption Region in TV Scene (원 영상 복원을 위한 TV 자막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Chun, Byung-Tae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0 no.4
    • /
    • pp.177-182
    • /
    • 2010
  • Research on recovering original images from captions has been widely done in a reusability point of view. In usual, dynamic images imported from foreign countries often have captions of foreign languages, so it is necessary to translate them into one's language. For the natural exchange of captions without loss of original images, recovering the images corresponding to captions is necessary. However, though recovering original images is very important, systematic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captions has not been done yet. Therefore, in this paper, we first survey the classification methods of TV programs at academic worlds, broadcasting stations, and broadcasting organizations, and then analyses the frequency of captions, importance of caption contents, and necessity of recovering according to their types. Also,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aptions which are significantly recognized to be necessary to recover, and use them as recovering information.

Performance Evaluation of Plate Membrane Humidifier for PEMFC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용 판형막가습기 성능 평가)

  • Kho, Back Kyun;Park, JongCheol;Lim, Jongkoo;Kwon, Ki Wook;Shin, Hyun Khil;Hur, Tae Uk;Cho, Sungbae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88.2-88.2
    • /
    • 2010
  •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성능은 고분자막의 이온전도도에 따라 큰 영향을 받으며 가습조건에 따라 연료의 수화정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현재 고분자막을 가습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PEMFC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Bubbler 형태의 가습장치는 고온이 필요하며 가습 효율이 수동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비해서 막을 이용한 가습방법은 스택의 냉각시스템을 이용하여 가습 시, 별도의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저온에서도 가습 효율이 증대하고 시스템 간소화의 장점을 가진 막가습기를 제작하여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에서 열 및 습도조절에 대한 효율성을 비교 연구하였다. 막가습기에 사용된 가습막의 두께에 따른 가습도 변화 및 유로 구조에 따른 압력강화를 관찰하였으며 막가습기를 판형 모듈 형태로 제작하여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에 적용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폴리프로필렌 중공사막의 용융방사

  • 김진호;강민수;김성수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6.10a
    • /
    • pp.75-76
    • /
    • 1996
  •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용매교환법을 대신하여 내용매성, 내약품성 및 내열성이 매우 뛰어난 고분자를 소재로하여 다공성 고분자막을 만드는 열유도 상분리법(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TIPS)이 개발되었다. TIPS공정에서는 주로 고분자/희석제 system의 열역학적인 불안정성에 의하여 polymer-rich phase와 polymer-lean phase로 상이 분리되는 liquid-liquid phase separation과 결정성 고분자의 결정화에 의한 solid-liquid phase separation을 주로 상분리 mechanism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위에 언급된 TIPS 이론에 근거한 melt spinning 공정에 의하여 PP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는데 wet spinning 공정에 의한 용매 교환법에 비해 비교적 공정이 단순하고 다공도를 조건하기가 용이하며 구조 및 성능면에서도 높은 재현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우수한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절절한 용매의 부재로 용매교환법에서 사용할 수 없었던 폴리올레핀계, 나일론계, 방향족출합계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소재의 폭이 넓어졌다는데에 가장 큰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PP중공사막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용융 방사장치를 제작하였고 melt spinning 공정에 의해 막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방사조건들을 확립한 후 결정된 방사조건에 의해 얻어진 PP 중공사막의 구조 및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 PDF

상전환법에 의한 미세다공성 분리막의 제조와 한외여과특성

  • 임경빈;홍영기;이재달;배기서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469-472
    • /
    • 1998
  • 상업적으로 유용한 대부분의 합성고분자막들은 상전환법(phase inversion process)이라는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다. 이 제조공정에서는 단일 고분자(homogeneous polymer)용액에 존재하는 용매를 비용매와 교환함으로써 액체로부터 고체로 상이 전환된다. 그리고 pore의 크기나 pore의 크기분포와 같은 막의 구조를 결정하는 요인은 일반적으로 용질의 입자크기 또는 분자크기 및 화학적 성질에 기인한다[1-3]. (중략)

  • PDF

Effect of Coagulating Conditions on the Morphology of Membrane and Drug Being Impregnated (응고화 경로가 고분자막 및 함침 약제 형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

  • 한명진;남석태;이재훈
    • Polymer(Korea)
    • /
    • v.25 no.2
    • /
    • pp.151-160
    • /
    • 2001
  • Polymeric membranes consisting of poly(d,1-lactide) as a polymer matrix and crystallizable progesterone as a drug were prepared by coagulating polymeric solutions. The homogeneous casting solutions in dimethyformamide were solidified by using three different coagulating processes : solvent evaporation under vacuum, solvent extraction via immersion into the nonsolvent bath, or vapor exposure at high humidity condition. With solvent removal via evaporation under vacuum, the cast solution film was vitrified to form a homogeneous film containing progesterone of spherical shape distributed evenly in the film. Being prepared by solvent extraction via immersion into a water bath, the resulting membrane showed an asymmetric structure, with progesterone of big crystallites distributed unevenly in the 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 coagulation under high humidity transformed the cast film into a sponge-like structure, where progesterone took a shape like flake.

  • PDF

Separation of enzymen with polymeric membrane (고분자막을 이용한 효소의 분리)

  • 이제권;정용섭;홍석인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1.10a
    • /
    • pp.45-46
    • /
    • 1991
  • 분리막 공정은 상변화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장치비가 저렴하며, 열 및 화학적으로 민감한 물질, 특히 생체물질 등을 다루는데 적합하다. 또한 최종 생성물질을 정제하는 방법으로는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전기 영동 및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affinity chromatography)가 있다. 이중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는 가장 선택적이고, 단일 장치로서 기존의 분리방법에 비해 약 1000배 가까이 정제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트립신 억제제인 m-aminobenzamidine을 포함하고 있는 수용성 고분자를 제조하여 트립신을 선택적으로 분리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 필요한 분리막은 막제조가 용이하며 비용이 저렴한 cellulose acetate막을 사용하였다. CA 막의 세공크기는 겔화매질의 에탄올 농도로 조절하였다. Casting 용액의 조성은 다음 표에 간략하게 나타내었다.

  • PDF

Development of cathode catalyst layer using non-Pt catalyst for SAFC (비백금 촉매를 이용한 알칼리 연료전지 캐소드 전극 개발)

  • Park, SeokHee;Choi, YoungWoo;Yim, SungDae;Kim, ChangSoo;Park, Seung Bi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97.1-97.1
    • /
    • 2011
  • 저온에서 양이온 고분자막을 사용하는 고분자 연료전지의 경우 뛰어난 성능과 다양한 응용분야로 인해 많은 연구와 실증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공기극에서의 느린 산소 환원반응으로 인해 백금과 같은 귀금속의 사용이 불가피하고 백금의 제한된 매장량과 높은 가격으로 인해 상용화가 늦어지고 있다. 그래서 많은 연구자들이 합금 촉매 또는 비귀금속 촉매를 이용한 전극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알칼리 분위기에서 저가의 전이 금속들이 백금과 비슷한 활성을 보이고 고체 음이온 교환막이 개발됨에 따라 최근 알칼리 연료전지가 다시금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고분자 연료전지와는 달리 아직 촉매나 전해질막, 이오노머의 특성 및 메커니즘에 관해 별로 알려진 것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 개발한 세공충진막 형태의 탄화수소계의 음이온 교환막과 비귀금속 공기극 촉매를 이용하여 막전극접합체(MEA)를 개발하였고 촉매 및 이오노머 함량과 같은 전극 조성, 막전극접합체의 제조 및 체결, 가습이나 가스조성 등의 단위전지 운전조건과 같은 다양한 변수에 대해에 최적 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공기극 촉매는 Cu-Fe/C를 이용한 상용 촉매를 이용하였고 이오노머의 경우는 탄화수소계의 상용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음이온 교환막에 전극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스프레이 공정을 이용하였다. 단위전지를 통해 성능을 확인하였고 임피던스 및 CV를 통해 전기화학적인 특성을 규명하였다. 조건의 최적화를 통해 상당한 성능 향상을 이루었으나 추가적인 성능 향상 및 내구성 확보 등에 대해 계속적인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