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막

Search Result 541,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Improving Subtitle Design of Mobile Broadcast (휴대방송에서 나타난 방송자막 디자인 개선 방향)

  • Cha, Hyun-Hee;Yoon, Seung-Keum;Lee, Kwang-Jik;Choi, Seong-Jin;Lee, Seon-Hee;Park, Goo-Ma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8 no.5
    • /
    • pp.128-137
    • /
    • 2009
  • This research aimed at providing the direction for future improvement of broadcast subtitle design by identifying the user perception on broadcast subtitles of Terrestrial DMB. First, we contemplated on the existing research about broadcast subtitles.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broadcast subtitle plays an essential role when watching a program and that the minimization of letters, clear fonts and color arrangement, rearrangement of components were identified as main factors that increase readability. However, the terrestrial DMB user evaluation on image quality, composition, color and brightness was not that positive. In addition, the evaluation on the readability of broadcast subtitle, information transmission, subtitle composition, letter font, number and size of letter was more negative. Developing a subtitle design which considers user convenience and suits terrestrial DMB screens in aspects of broadcast subtitle form and composition, limit of information, clearness and size of the letter is required.

  • PDF

A Case Study on Closed Captions: Focusing on on Netflix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폐쇄자막 연구)

  • Jeong, Sua;Lee, Jimi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2
    • /
    • pp.279-285
    • /
    • 2024
  •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accuracy and completeness of Korean and English closed captions for Netflix's "Squid Game" and to present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To achieve this, the closed captioning guidelines of the U.S.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DCMP, and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The analysis of the subtitle of the entire "Squid Game" series reveals that, while Korean closed captions accurately present slangs and titles, they present non-existent information in speaker identification. In English closed captions, speaker identification guidelines are well followed, but omissions of slangs and title mistranslations are observed. In terms of completeness, both Korean and English closed captions are found to omit certain audio parts. To address these issues, the study suggests strengthening the QA process, establishing a system to communicate original text problems during translation, and utilizing general English subtitles.

High-speed caption processing technology using CUDA (CUDA 를 이용한 고속 자막 처리 기술)

  • Kim, Hyun soo;Kim, Dae yeol;Kwon, Seung-Cheol;Sohn, Chae-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102-10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및 수학 관련 알고리즘 분야에서 각광 받고 있는 CUDA(Compute Unified Device Architecture) 기법을 실시간 동영상 자막 처리에 이용 한다. 실시간 고화질 동영상 자막 처리의 낮은 속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 제안으로 써, 이의 함수 구성을 제안한다. 기존의 자막 처리 방식에서는 하나의 코어만을 이용하였다. 이 방법 대신에 CUDA 를 적용 함으로써, 더 많은 코어를 이용해 실시간 자막 처리의 지각적인 성능을 향상하였다. 삽입하고자 하는 자막에 대해 비트맵 이미지를 형성하고, 이의 정보를 처리한다. Intel $Core^{TM}$ i7-4710 MQ, GTX870 환경에서 실험하였으며, 실험 결과 C code 만으로 연산을 한 것 보다 CUDA code 가 약 88% 정도의 속도 향상이 있음을 보였다.

  • PDF

Detecting Method of Video Caption Frame on News Data (뉴스 데이터에서 자막프레임 검출방법)

  • Nam, Yun-Seong;Bae, Jong-Sik;Choi, Hy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505-508
    • /
    • 2003
  • 디지털 영상 자천가 대중화됨에 따라 방대한 양의 자료를 효과적으로 이용 및 검색하기 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의 색인과정이 필수적이다. 뉴스 데이터에서 자막 프레임은 뉴스의 내용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뉴스 데이터에서 색인과정을 위해 우선 자막 프레임을 검출하는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자막이 있는 프레임을 검출하기 위해 가변길이 프레임 생략법을 이용하여 키프레임을 검출한다. 영상보정을 위한 전처리 작업으로 BC(Brightness & Contrast) 필터기법을 제안하고 자막영역을 대상으로 IT(Invers & Threshold) 기법을 적용하여 자막프레임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Title Editor of Quiz Program for Enhanced Data Broadcasting (연동형 데이터 방송을 위한 퀴즈 자막 및 방송시간 편집기)

  • Jang Yun-Yong;Jang Hye-Yun;Lim Soon-B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b
    • /
    • pp.70-72
    • /
    • 2006
  • 디지털 TV 방송의 시작과 함께 온갖 종류의 정보를 쌍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는 데이터 방송이 가능해졌다. 그 중 연동형 데이터 방송은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하면서 그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를 같이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TV 방송을 보면서 퀴즈 자막을 내보내고, 리모콘을 통해 즉각적인 정답확인이 가능한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 Xlet을 개발하였다. 더불어 자막으로 내보내지는 퀴즈의 내용 및 유형 등을 제어하는 퀴즈 자막 편집기를 구현하였다. 프로그램 PD는 퀴즈 자막 편집기를 통해 퀴즈의 유형과 내용, 글자의 크기와 색상, 자막이 나가는 시간등을 선택하고. 제어된 내용을 파일에 저장할 수 있다. 실제 TV상의 에뮬레이터나 PC상의 에뮬레이터에서 데이터 방송 마스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방송이 시작된다. 이 때 편집기를 통해 만들어진 파일의 내용을 읽어와 PD가 지정한 내용과 시간에 퀴즈를 내보내게 된다. 이것을 보는 시청자는 리모콘으로 답을 입력하고 그 에 대한 정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teganography for Moving Picture Caption Information (동영상 자막 정보를 위한 스테가노그래피 적용에 관한 연구)

  • Ham, Jun-Sick;Ryou, Hwang-B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883-886
    • /
    • 2002
  • 인터넷의 시대에 들어오게 되면서 현대는 무한한 정보바다의 물결에 휩쓸려가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과 더불어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양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인터넷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인 접근 가능성은 무제한으로 어떠한 정보 컨텐츠라도 이용 가능하게 한다. 그렇지만 접근 가능성은 누구나 쉽게 디지털 정보의 복제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타인의 지적 재산권에 침해를 줄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워터마크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 자막 정보인 SMI 파일을 동영상 내에 숨기는 방법을 이용하여 자막 정보 및 동영상 정보의 저작권 및 무결성 보호를 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막 정보를 분리, 암호화하여 동영상 내의 프레임에 삽입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동영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각 프레임 내의 최하위 비트에 자막 정보를 삽입하여 다른 사람들이 동영상을 편집한 경우에는 자막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도록 한다.

  • PDF

Subtitle Automatic Generation System using Speech to Text (음성인식을 이용한 자막 자동생성 시스템)

  • Son, Won-Seob;Kim, Eung-K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1
    • /
    • pp.81-88
    • /
    • 2021
  • Recently, many videos such as online lecture videos caused by COVID-19 have been generated.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working hours and lack of cost, they are only a part of the videos with subtitles. It is emerging as an obstructive factor in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by deaf. In this paper, we try to develop a system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subtitles using voice recognition and generates subtitles by separating sentences using the ending and time to reduce the time and labor required for subtitle generation.

Synchronization of VOD Content and Captions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Modified Dynamic Programming (음성인식과 변경된 동적계획법을 이용한 VOD 콘텐트와 자막의 동기화)

  • Oh, J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1.06a
    • /
    • pp.131-134
    • /
    • 2021
  • 지상파 방송에서는 청각장애인을 위해 폐쇄자막(closed caption)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이를 저장하여 VOD 서비스 등에 제공하고자 할 때는 영상과의 비동기화(desynchronization) 문제로 인해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 음성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과, 자막 동기화 문제에 맞게 변경된 동적계획법(modified dynamic programming)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문자열 정렬에서 삽입과 삭제 등 간격(gap)의 발생을 제어하는 제약조건과 그에 따른 점수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문자열 정렬 성능을 개선한다. 또한 정렬된 폐쇄자막과 음성인식 문자열로부터 시간 동기정보를 복원하고 동기화된 자막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제 TV 프로그램과 자막에 적용하여 기존 방법에 비해 성능의 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The Influence on Readability by the Visual Characters Layout at the TV Home Shopping Broadcasting (TV홈쇼핑 방송영상 자막화면 구성이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

  • Shin, Moon Kyu;Seo, In Ho;Choi, Seong Jhi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3 no.1
    • /
    • pp.126-137
    • /
    • 2018
  • Visual characters used in television affect the viewers in a different way from printed media. This paper analyzed the visual characters presented in each home shopping channel and their year-by-yea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layouts. Based on the results, the readability was analyzed according to different layouts, suggesting optimal layouts that allows for better communication with the view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us to focus on the visual character layouts, which have not been fully explored to date, in order to identify the most effective one among basic locations of visual character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bottom location shows higher readability than top. The right side showed higher preference than left, while readability did not demonstrate a significant difference. As for the L-bar and reverse L-bar, the L-bar arrangement was shown preferable in terms of readability. Finally, the layout should be determined considering the readability by location.

Development of a Video Caption Recognition System for Sport Event Broadcasting (스포츠 중계를 위한 자막 인식 시스템 개발)

  • Oh, Ju-Hyu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94-98
    • /
    • 2009
  • A video caption recogni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broadcasting sport events such as major league baseball. The purpose of the system is to translate the information expressed in English units such as miles per hour (MPH) to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SI) such as km/h. The system detects the ball speed displayed in the video and recognizes the numerals. The ball speed is then converted to km/h and displayed by the following character generator (CG) system. Although neural-network based methods are widely used for character and numeral recognition, we use template matching to avoid the training process required before the broadcasting. With the proposed template matching method, the operator can cope with the situation when the caption’s appearance changed without any notification. Templates are configured by the operator with a captured screenshot of the first pitch with ball speed. Templates are updated with following correct recognition results. The accuracy of the recognition module is over 97%, which is still not enough for live broadcasting. When the recognition confidence is low, the system asks the operator for the correct recognition result. The operator chooses the right one using hot key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