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료공동보존

Search Result 6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Case Study on the Conservation and Value Improvement of Korean Geological Heritage (우리나라 지질유산의 보존과 가치 증진을 위한 사례 연구)

  • Lim, Jong-deock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6 no.2
    • /
    • pp.114-135
    • /
    • 2013
  • Among the UNESCO World Heritage Sites, the proportion of natural heritage to cultural heritage is relatively small. In 2007, the "Jeju Volcanic Island and Larva Tubes" was the first one that was designated as an UNESCO World Natural Heritage Site in Korea. The growing Korean geological heritage condition and conservation case studies on management of the geological heritage were examined in this study. Further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future driving strategy for conservation and improvement plan on our geological heritage. Natural Monuments as a state-designated natural property and Geoparks as a new application system for geological heritage are important to conserve our geological heritage. Public engagement through establishment of visitor centers is definitely needed to improve education and promotion. The study includes field investigation for the "Wadden Sea", an World Natural Heritage Site for a mud flat, interviews with staffs and experts who are responsible for investigating and managing the site. Three factors can likely be attributed to its successful management and conservation policy for the "Wadden Sea". First of all, there is an operation for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joint secretariat for research and monitoring. Next, researchers invigorate the visitor centers for promotion and education on geological heritage. Finally, experts and staffs implement various research topics and projects based on a long-range plan.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resent condition of our geological heritage and to make a proposal as a policy to improve value and conserve them.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d future discussion that may help researchers to make a decision on long-term policies for the geological subject of Korean natural heritage.

A Study on the Function of Regional Central Library and Collaborative Role for Community Public Library (지역대표도서관의 기능과 지역공공도서관과의 협력역할에 관한 연구)

  • Bae, Soon-J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2 no.3
    • /
    • pp.45-59
    • /
    • 2008
  •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function of the regional central library's role and to address its support to the community public libraries ; such is one of the focuses of the revised library law. Through the mixed layer model, the regional central library can contribute to a better cooperation between the national central library and community public library in each region. Regional libraries. under the supervision of regional library service committee, can execute many local enterprises efficiently such as library informatization projects. the associative storage, the regional librarian edu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commons through integrating the regional information.

A proposal for managing electronic document of the government (정부기관의 전자문서관리 방향)

  • Lee, Jae-Ha;Yoon, Dai-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 no.1
    • /
    • pp.245-257
    • /
    • 2001
  • Recently, The government has been brought in the electronic document system. So, It's been increasing the job processing with the electronic approval and the distribution business. However because of the variety of the storage type of electronic document, it's expected many difficulties in the public-usage and etemity-preservation of the information later. also, There are several problems to manage electronic document system, for example, absence of the important function for managing records, etc. So, We propose the methodology as a way to solve several problems of managing electronic document in this paper. It grows the business which is produced in processing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The kind of document file produced by the government is various. Through introducing the standard format of document file, hereafter it has an effect on helpfulness in standardizing the electronic document system, and people recognize the situation of problem to append the important function of the preservation and usage for the electronic document system. The key task is to make the document system with keeping records and following functions according to the law of records management. As applying the standard electronic document system to manage records, the records of the processing section to the data center and then the records of the data center transfer to the government records and archives center. So, the records which be transferred can be preservative and available. The record, such as visual and auditory record which is not easy to digitalize, can be digitally preservative and available in the government records and archives center.

A Scheme for listing on FAO GIAHS and Preservation of Juk-Bang-Ryeum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남해안 죽방렴의 세계중요농어업유산 등재 및 보존 방안)

  • Lee, Kyung-Joo;Kwon, Hojong;Jeong, Dae-Yul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9 no.4
    • /
    • pp.325-336
    • /
    • 2019
  • There are many bamboo weir (Juk-Bang-Ryeum) with the highest preservation value as a fisheries heritage from Sacheon to Namhae area in the Korea Hanrye National Marine Park. It was designated as a Korea National Cultural Property Sightseeing No. 71, and also as an important fishery asset listed in the Korea National Important Fisheries Heritage No. 3. It is an important cultural heritage that should be preserved for the future as a community asset to the local residents, and should be preserved as it's original form because of unique traditional fishery style in the world as well as natural environment oriented fishing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value of Juk-Bang-Ryeum in the South Sea as well as to preserve the tradition of it. This paper will make a contribution to the registration of it on the list of World Important Agricultural and Fishery Heritage (GIAHS), which is recognized by the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To make basic data for listing on it, we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Juk-Bang-Ryeum, and also research the value of it from the historical literature review as well state of arts. We also develop a scheme for listing on FAO GIAHS through checking necessary items step by step. Finally, we suggest some idea to preserve it more effectively.

A Study on User's Perception Survey for Establishment of Regional Base Library: Centered on Gwangju Metropolitan Library (지역 거점도서관 건립을 위한 이용자 인식조사 연구 - 광주광역시 하남도서관을 대상으로 -)

  • Sang Woo Han;Woo Kwon Cha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3 no.4
    • /
    • pp.267-292
    • /
    • 2022
  • This study is a basic study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plan for operating the Hanam Library, a regional base library that will be built in Gwangsan-gu, Gwangju Metropolitan City. We investigated opinions about the collection, library program, role and task of a regional base library and the operation of the cooperative shared storag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nformation resources that users prefer are a book form of the literary subject, and preferred library services are the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and participation in cultural events. Public library librarians answered conducting user-centered services and carrying out a cooperative projects between libraries are important and they recognized cooperative acquisition as a task should be performed first. In addition, opinions about the operation of cooperative shared storage is generally positive. The regional base library managers said tha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library governance by clarifying the status and role of the library and that as a public library, and to promote information services and cooperation projects for local us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xpected to be the useful basic material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Hanam Library comprehensive operation plan.

Lessons from Data Repository GDR (Geoscience Data Repository) Building Experience (데이터 리포지토리 GDR 구축 경험과 교훈)

  • Han, Jo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00-100
    • /
    • 2017
  • 100년의 역사를 지닌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국내 유일의 지질자원 전문연구기관으로서 그간 생산한 조사 연구데이터는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귀중한 역사적 학술적 가치가 큰 유산으로써 보존 가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KIGAM의 상황은 최종성과물 위주로 자료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조사 연구 과정에서 생산된 암석 토양 지하수샘플이나 조사 탐사장비를 통해 얻어지는 자료는 연구자 또는 연구실 팀에서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자료관리체계는 자료의 공동 활용이 어렵고,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연구자의 퇴직이나, 조직개편으로 인한 팀 실의 분리 과정에서 자료의 손실과 훼손 가능성이 높고, 누가 어디에 어떤 자료를 무슨 형태로 보관하고 있는지 찾기 어려워 자료의 재활용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중복 조사 연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KIGAM은 지질자원분야 국가데이터센터 구축을 목표로 연구과정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의 체계적인 관리와 공유, 활용체계 구축을 위해 2015년도에 기획사업을 통해 중장기 로드맵을 포함한 추진전략을 수립하였으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DataNest를 기술이전받아 지질자원 연구데이터 리포지토리 시스템(GDR: Geoscience Data Repository)를 개발하였다. GDR 시스템 개발을 위해 연구데이터 분류코드를 작성하였으며, 2016년부터 데이터관리계획(DMP: Data Management Plan)을 주요사업 연구계획서 양식에 포함시켜 제출하도록 하였다. 과거 KIGAM은 연구데이터를 수집, 관리하기 위해 몇 차례에 걸쳐 시도를 했지만 실패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실패 요인에는 (1) 관련 정책, 제도, 조직, 인력, 예산 등 데이터 관리 인프라 부재, (2) 연구사업에서 생산된 데이터는 개인소유라는 인식 및 공유 의식 부족, (3) 데이터 관리 활동은 귀찮은 것이고, 시간 낭비라는 인식, (4) 데이터 관리 공개 공유 활동에 대한 보상체계 부재 등을 꼽을 수 있다. 즉, 제도를 포함한 인프라 부족과 경영진과 구성원의 인식부족이 제일 큰 원인으로 판단된다. 성공적인 연구데이터 관리를 위해서는 지속적이고 꾸준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지만 경영진의 의지에 따라 사업이 중단되기도 한다. 이러한 과거의 실패 요인에 대한 해결 없이 지난 1년 6개월 정도의 GDR 운영은 지지부진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제도적 뒷받침이 따라야 한다. 즉 국가 R&D 성과물 관리차원에서 연구데이터를 주요 성과물로 관리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사업계획서에 DMP를 포함시키고, 연구주제 및 분야별로 데이터센터(혹은 데이터 리포지토리)를 지정하고, 국가 R&D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를 의무적으로 제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데이터센터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연구사업비 항목에 데이터 관리비를 신설하여 데이터센터의 운영비로 사용하도록 하면 예산문제도 어느 정도 해결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데이터 제출 및 인용도에 따라 데이터 생산부서 혹은 생산자에게 평가점수를 부여하는 등 보상체계 마련을 위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 R&D 연구데이터의 수집, 관리, 공유, 활용을 제대로 성공시키려면 국가 R&D 최고정책결정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수적이다.

  • PDF

GIS based Effective Methodology for GAS Accident Management (GIS를 이용한 효율적인 가스사고관리 방법에 관한 연구)

  • 김태일;김계현;전방진;곽태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399-406
    • /
    • 2004
  • 최근 급속한 도시의 팽창과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가스시설은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가스시설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많은 도시가스업체에서는 가스관망 시설정보를 전산화하여 항상 최신의 현황을 유지할 수 있는 가스시설물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가스시설물의 현황파악 및 유지관리를 위한 기본적인 기능만을 제공하는 관계로, 가스 누출사고 발생시 정확한 사태의 파악과 함께 신속한 대책 마련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체계적인 가스사고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응용시스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가스사고분석을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가스사고관리 적용알고리즘 분석 및 최적의 알고리즘을 정립하여 가스사고관리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1ㆍ2차 차단밸브의 산정이 가능해짐으로써 빈번한 가스 누출사고 발생시 실시간으로 적정대처방안의 제시가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누출 최대가스량을 제시함으로써 누출에 대한 피해예상 분석을 위한 정보 제공 및 가스의 신속한 재공급을 위해 필요한 의사결정 지원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아울러, 가스누출사고에 의한 가스공급중단 관로 및 수용가에 대한 속성현황의 파악은 물론 시각적인 도식을 통한 전체적 현황파악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가스사고관리시스템의 개발을 통하여 사고 발생시 신속한 사고방안 제시 및 사고피해의 최소화를 위해 필요한 의사결정 지원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국민의 안전 및 복지와 도시가스업체의 업무 효율화로 인한 예산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가시권 분석기능을 이용하여 실제 지형공간상에서 전파경로 손실치를 도시화함으로써 전파관리자가 무선서비스지역 설계, 전파음영지역 판단, 최적 중계기와 기지국 위치 선정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하지 않은 지역과 서로 다른 분광특성을 나타내므로 별도의 Segment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임상도의 경계선으로부터 획득된 Super-Object의 분광반사 값과 그 안에서 형성된 Sub-Object의 분광반사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임상도의 갱신을 위한 변화지역을 탐지하였다.라서 획득한 시추코아에 대해서도 각 연구기관이 전 구간에 대해 동일하게 25%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스굴 시추사업은 2008년까지 수행될 계획이며, 시추작업은 2005년까지 완료될 계획이다. 연구 진행과 관련하여, 공동연구의 명분을 높이고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시료채취 및 기초자료 획득은 4개국의 연구원이 모여 공동으로 수행한 후의 결과물을 서로 공유하고, 자세한 전문분야 연구는 각 국의 대표기관이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스굴에 대한 제1차 시추작업은 2004년 3월 말에 실시하였다. 시추작업 결과, 약 80m의 시추 코아가 성공적으로 회수되어 현재 러시아 이르쿠츠크 지구화학연구소에 보관중이다. 이 시추코아는 2004년 8월 중순경에 4개국 연구팀원들에 의해 공동으로 기재된 후에 분할될 계획이다. 분할된 시료는 국내로 운반되어 다양한 전문분야별 연구에 이용될 것이다. 한편, 제2차 시추작업은 2004년 12월에서 2005년 2월 사이에 실시될 계획이다. 수백만년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쳐 지구환경변화 기록이 보존되어 있는 ?스굴호에 대한

  • PDF

A Study on Developing the Enhancement Method for the Reusability of GIS Component (GIS 컴포넌트의 재사용성 향상을 위한 기법 개발 연구)

  • 조윤원;조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599-605
    • /
    • 2004
  • 기존의 구축된 GIS 컴포넌트 혹은 개발 중이거나 향후개발을 목표로 설계단계에 있는 컴포넌트들의 최종 목표는 재사용성과 상호운용성의 가능성 여부이다. 하지만 컴포넌트 개발에 있어 시스템 개발환경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그 재활용성은 생각만큼 쉬운 작업이 아니며, 특히 공간정보를 다루고 있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분야에서의 GIS 컴포넌트 재활용은 전 세계의 산재한 각 데이터형의 포맷, 개발 환경, 운영환경을 고려하여 볼 때 시급한 일임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노력이 상당히 미진한 실 정 이 다. 본 논문에서는 GIS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효율적이고 유용하게 개발하기 위하여 GIS 컴포넌트의 개발과 관리에 이르는 전 과정을 관리 감독할 수 있는 COGIS(Component Orien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제안하고, COGIS 프로세스의 가이드라인이며 GIS 컴포넌트의 기능적인 면을 정의하기 위한 GCA(GIS based Component Architecture) 아키텍처를 제안하였다. 아울러 GIS 컴포넌트의 메타데이터를 분류 및 정의하여 GIS 컴포넌트의 비 기능적면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웹 기반 GIS 컴포넌트 등록/검색 에이전트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기존 GIS 컴포넌트 재사용 및 확장, 신규 컴포넌트의 등록, 검색이 가능하도록 한다. 사례연구로 웹 상에서 산불 발생 위험지수 표출을 위한 GIS 공간 분포도 작성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2FDRV.avx와 2FDRC.exe 컴포넌트를 개발하였으며, COGIS 프로세스의 컴포넌트 관리방법을 통하여 여러 관련 컴포넌트를 조합함으로써 웹 기반 산불위험지수예보시스템을 구축하였다.입력 근거의 확보’, ‘갱신주체별 역할의 정의 및 유지관리 기준의 설정’, ‘분야별업무 특성을 고려한 관련 기준의 마련 및 타 시스템과 연계되는 항목을 고려한 절차 정의’ 등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유지관리 모델을 기반으로 각 지자체별로 적절한 컨설팅이 진행되고 이에 따라 담당자의 실천이 이루어진다면 지자체 GIS의 투자대비 효과에 대한 기대는 이상이 아닌 현실로 다가오게 될 것이다.가오게 될 것이다. 동일하게 25%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스굴 시추사업은 2008년까지 수행될 계획이며, 시추작업은 2005년까지 완료될 계획이다. 연구 진행과 관련하여, 공동연구의 명분을 높이고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시료채취 및 기초자료 획득은 4개국의 연구원이 모여 공동으로 수행한 후의 결과물을 서로 공유하고, 자세한 전문분야 연구는 각 국의 대표기관이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스굴에 대한 제1차 시추작업은 2004년 3월 말에 실시하였다. 시추작업 결과, 약 80m의 시추 코아가 성공적으로 회수되어 현재 러시아 이르쿠츠크 지구화학연구소에 보관중이다. 이 시추코아는 2004년 8월 중순경에 4개국 연구팀원들에 의해 공동으로 기재된 후에 분할될 계획이다. 분할된 시료는 국내로 운반되어 다양한 전문분야별 연구에 이용될 것이다. 한편, 제2차 시추작업은 2004년 12월에서 2005년 2월 사이에 실시될 계획이다. 수백만년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쳐 지구환경변화 기록이 보존되어 있는 ?스굴호에 대한 시추사업은 후기 신생대 동안 유라시아 대륙 중부에서 일어난 지구환경 및 기후변화를 이해함과 동시에 이러한 변화가 육상생태계 및 지표지질환경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PDF

Assessment of actual condition based on GIS for UHF band Propagation Interference caused by Apartment (GIS를 활용한 아파트 지역의 전파 장애 실태 평가)

  • 김진택;엄정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389-397
    • /
    • 2004
  •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하여 아파트 단지의 UHF대역의 전파장애에 대한 예측모델을 제시한다. 전파예측모델은 기지국 및 중계기 위치설계와 전파음영지역 결정 등 무선네트워크 서비스에 결정적으로 활용된다 기존의 전파예측모델은 한국지형요소나 3차원 공간기술이 반영되지 않고 외국지형기반의 2차원적인 접근으로 개발되어 있다. 특히 많은 사람이 거주하는 아파트단지에 대해서는 고려가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며, 마치 아파트 단지가 일반 건물로 취급되어 전파환경 요소로 분류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전파관리자가 기존 전파 예측모델을 이용한 무선네트워크 설계 및 운용등에 있어 정확한 의사결정지원에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아파트 단지의 전파에 대한 영향을 3차원 공간밀집, 건물높이, 전파의 전송방향에 대한 건물배치등 3가지 요소로 분류하고 GIS 도구로 그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상관과 회귀분석등 정량적인 방법으로 평가하여 아파트 전파예측모델(GARP)을 개발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아파트 단지가 UHF 대역의 전파에 대한 영향은 전파진행방향성이 57%, 공간밀집이 30%, 건물높이가 13%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아파트 모델은 기존 모델에 비해 평균 6.3dBm, 최소 2.15 ~ 최대 12.48dBm의 개선 효과가 있다. 셋째, 급속히 확산되는 도시 개발에 3차원 공간상에서 전파예측모델을 시뮬레이션하여 전파의 영향을 예측할 수 있으며, 대단지 아파트 건설과 전파환경영향평가의 기초정보 수집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GARP모델과 GIS 가시권 분석기능을 이용하여 실제 지형공간상에서 전파경로 손실치를 도시화함으로써 전파관리자가 무선서비스지역 설계, 전파음영지역 판단, 최적 중계기와 기지국 위치 선정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하지 않은 지역과 서로 다른 분광특성을 나타내므로 별도의 Segment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임상도의 경계선으로부터 획득된 Super-Object의 분광반사 값과 그 안에서 형성된 Sub-Object의 분광반사값의 차이를 이용하여 임상도의 갱신을 위한 변화지역을 탐지하였다.라서 획득한 시추코아에 대해서도 각 연구기관이 전 구간에 대해 동일하게 25%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스굴 시추사업은 2008년까지 수행될 계획이며, 시추작업은 2005년까지 완료될 계획이다. 연구 진행과 관련하여, 공동연구의 명분을 높이고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시료채취 및 기초자료 획득은 4개국의 연구원이 모여 공동으로 수행한 후의 결과물을 서로 공유하고, 자세한 전문분야 연구는 각 국의 대표기관이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스굴에 대한 제1차 시추작업은 2004년 3월 말에 실시하였다. 시추작업 결과, 약 80m의 시추 코아가 성공적으로 회수되어 현재 러시아 이르쿠츠크 지구화학연구소에 보관중이다. 이 시추코아는 2004년 8월 중순경에 4개국 연구팀원들에 의해 공동으로 기재된 후에 분할될 계획이다. 분할된 시료는 국내로 운반되어 다양한 전문분야별 연구에 이용될 것이다. 한편, 제2차 시추작업은 2004년 12월에서 2005년 2월 사이에 실시될 계획이다. 수백만년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쳐 지구환경변화 기록이 보존되어 있는 ?스굴호에 대한 시추사업은 후기 신생대 동안 유라시아 대륙 중부에서 일어난 지구환경 및 기후변화를 이해함과 동시에 이러한 변화가 육상생태계 및 지표지질환경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lieve in safety with Radioactivity wastes control for harmony with Environment.d by the experiments under vari

  • PDF

Value and Prosect of individual diary as research materials : Based on the "The 12th May Diaries Collection" (개인 일기의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와 전망 "5월12일 일기컬렉션"을 중심으로)

  • Choi, Hyo Jin;Yim, Jin Hee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46
    • /
    • pp.95-152
    • /
    • 2015
  • "Archives of Everyday Life" refers to an organization or facility which collects, appraises, selects and preserves the document from the memory of individuals, groups, or a society through categorizing and classifying lives and cultures of ordinary people. The document includes materials such as diaries, autobiography, letters, and notes. It also covers any digital files or hypertext like posts from blogs and online communities, or photos uploaded on Social Network Services. Many research fields including the Records Management Studies has continuously claimed the necessity of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ordinary people's records on daily life produced every moment. Especially diary is a written record reflecting the facts experienced by an individual and his self-examination. Its originality, individuality and uniqueness are considered truly valuable as a document regardless of the era. Lately many diaries have been discovered and presented to the historical research communities, and diverse researchers in human and social studies have embarked more in-depth research on diaries, their authors, and social background of the time. Furthermore, researchers from linguistics, educational studies, and psychology analyze linguistic behaviors, status of cultural assimilation, and emotional or psychological changes of an author. In this study, we are conducting a metastudy from various research on diaries in order to reaffirm the value of "The 12th May Diaries Collection" as everyday life archives. "The 12th May Diaries Collection" consists of diaries produced and donated directly by citizens on the 12th May every year. It was only 2013 when Digital Archiving Institute in Univ. of Myungji organized the first "Annual call for the 12th May". Now more than 2,000 items were collected including hand writing diaries, digital documents, photos, audio and video files, etc. The age of participants also varies from children to senior citizens. In this study, quantitative analysis will be made on the diaries collected as well as more profound discoveries on the detailed contents of each item. It is not difficult to see stories about family and friends, school life, concerns over career path, daily life and feelings of citizens ranging all different generations, regions, and professions. Based on keyword and descriptors of each item, more comprehensive examination will be further made. Additionally this study will also provide suggestions to examine future research opportunities of these diaries for different fields such as linguistics, educational studies, historical studies or humanities considering diverse formats and contents of diaries. Finally this study will also discuss necessary tasks and challenges for "the 12th May Diaries Collection" to be continuously collected and preserved as Everyday Life Arch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