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료개발

Search Result 19,163,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The Study on Basic Data Construction and Verification Method for Production Control (공정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구축 및 검증 방안 연구)

  • Kong, Myung-Dal;Nam, Sang-Jin;Kim, Jung-Ja
    • IE interfaces
    • /
    • v.10 no.3
    • /
    • pp.155-166
    • /
    • 1997
  • 기초자료는 시스템 구축과정에서 시스템 테스트 및 운영을 위한 가장 기본이 되는 원시자료(source data)로서 프로그램 개발과 병행하여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기초자료의 구축없이 시스템 운영은 어려우며, 따라서 기초자료 구축 및 검증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결국 시스템 개발 기간을 단축시키는 하나의 효과적인 방법이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공정관리 시스템 개발시 필요한 기초 자료 구축 및 이에 따른 검증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Hydrologic Data Aquisition and Management System(HDAMS) in Anyangcheon watershed (안양천 유역의 실시간 수문모니터링 자료관리시스템 개발)

  • Lee, Kyoung-Do;Kim, You-Jin;Kim, Nam-Il;Lee, Kil-Se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29-2033
    • /
    • 2007
  • 오늘날 특정 유역에서의 수문현상 및 수문순환에 대한 분석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수문자료의 관측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며, 관측자료의 품질관리 및 원시자료의 관리 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관측된 수문자료의 품질관리라 함은 자료의 신뢰도 분석과 자료의 보완의 두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신뢰도 분석이라 함은 자료 속에 포함된 불확실성을 판별하는 작업을 의미하며, 자료의 불확실성은 위에서 언급된 자료의 불충분 및 불안정을 제외한 부정확, 불일관성에서 비롯된다. 자료의 보완이라 함은 자료의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자료 속에 포함된 불확실한 성분들을 찾아내고, 이를 제거한 후 완전한 자료로 대체하고, 자료가 결측된 경우 공백을 연결함으로써 자료의 완전성을 유지하거나 또는 불충분한 자료를 확장하는 일련의 보완작업이라고 정의한다. 자료의 품질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는 크게 관측소 관리의 하드웨어적인 측면과 자료 분석의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이 있다.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의 수문자료 품질관리를 위해서 본 과제에서는 현장에 설치된 수위계, 강우량계의 센서 등에 대한 장비를 점검하고, 현장실측을 통해 지속적으로 측정값을 보정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인 측면에서 수문자료의 품질관리를 위해서는 수문자료의 수집 단계부터 시작하여 데이터베이스 저장, 필터링, 통계분석, 웹 및 C/S(Client Server)를 통한 배포 등의 일련의 자료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수문자료관리 프로그램을 웹 시스템과 C/S로 분류하여 정의내릴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자료의 관리자 입장에서의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자료를 관리하고 분석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문자료관리시스템(Hydrologic Data Aquisition and Management System, HDAMS)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안양천 유역에서 시범 적용하고 있으며, 범용성을 전제로 개발되었다. 또한 수문자료 관리 프로그램의 DB 구조 및 DB 자료를 활용한 다양한 분석기능은 갖도록 설계하였으며 계획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바탕으로 계측기 인터페이스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데이터베이스 간의 연동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개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study of 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making use of GIS ( Well analysis program, connection program of ground water modeling ) (GIS를 이용한 지하수관리시스템 개발 연구 (관정분석 프로그램, 지하수모델링 연계프로그램))

  • 이병호;김양빈;설민구;송양권;송무영
    • Proceedings of the KSEG Conference
    • /
    • 2002.04a
    • /
    • pp.235-248
    • /
    • 2002
  • Ground water development skill growth and life circumstances improvement increase ground water use. So managerial difficulties and various problems about ground water occur. Poor ground water management organization, lack of management person, thoughtless development add ground water pollution and lack of water volume. And local excessive developments or abandoned well occur. This paper presents 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model making use of GIS and helps effective management by realizing necessary analysis functions in 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and ground management methods. Local information of ground water recorded and development data, site examination data made D/B. And linearment analysis data making use of a satellite image data, hydraulic test data, the quality of water examination data, these local characteristic values made out thematic maps and making use of these data can form elementary data of ground water modeling It makes easy to understand environmental development conditions and pollution source conditions about new ground water development location, linearment growth, DRASTIC, the quality of water examination. 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making use of these functions can choose right location of ground water.

  • PDF

Web-Based Data Preprocessing and Model Linkage System for Agricultural Water-Resource Management (농촌유역 물순환 해석을 위한 웹기반 자료 전처리 및 모형 연계 시스템 개발)

  • Park, Jihoon;Kang, Moon Seong;Song, Inhong;Song, J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03-503
    • /
    • 2015
  • 농촌유역의 물순환 해석은 기후변화, 사회/경제적 변화, 유역환경변화 등의 복잡한 상호작용과 불확실성을 수반한 다양한 형태로 발현하고 있다. 효율적인 농촌유역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농촌유역에 적합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여 농업생산기반시설, 유역 특성, 기상 및 수문 자료, 기후 변화 자료를 각각 구축하고, 외부 환경의 일회성 평가에 기반을 두어 수행되었던 과거의 접근 방법에서 나아가 내외부의 복합적인 환경변화를 능동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요소 모듈 방식의 지능형 관리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유역 물순환 해석을 위해 필요한 자료를 효율적으로 가공 및 사용할 수 있는 웹기반 자료 전처리 및 모형 연계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다. 농촌유역 물순환 해석을 위해 농촌유역 데이터베이스 설계, 농업생산기반시설 인벤토리 구축, 유역 물리특성/기상/수문 등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후변화 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웹으로 구현하여 물순환 해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농촌유역 물순환 해석을 위한 자료 전처리 및 모형 연계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지능형 물순환 해석 및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Streamflow Data Management System (유량자료 관리 및 분석 시스템 개발)

  • Hwang Seok Hwan;Kim Won;Jung Sung Won;Kim Chi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502-1506
    • /
    • 2005
  • 하천 유량자료는 이수, 치수, 수질관리 등의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수문관측 자료 중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유량자료는 여러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어서 수문자료로서 제대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유량자료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서는 현장 유량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일차적으로 필요하지만, 측정된 유량자료를 검증하고 수위-유량관계를 개발하여 유량으로 환산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현장에서 측정된 유량자료를 총체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유량을 제공할 수 있는 운영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해당하는 사용 사례별로 구분하는 방법론을 적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시간 하천 유량정보를 생산할 수 있도록 유량측정기술, 분석 기술, 수위-유량관계 개발 및 분석 기술, 실시간 유량생산 기술 등을 각 단계별 모듈로 구성하여 사용자 및 관리자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관리 및 이용할 수 있는 웹 기반의 실시간 유량정보 생산 및 제공 기반을 구축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gap filling technique for statistical downscaling of cimate change scenario data (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의 통계적 상세화를 위한 결측자료 보정 기법 개발)

  • Cho, Jaepil;Kim, Kwang-Hyung;Park, J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6-16
    • /
    • 2019
  •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계절예측 자료를 포함한 기후정보를 수자원 분야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후정보의 시 공간적인 상세화(donwscaling)을 필요로 한다. 상세화의 경우 역학적 상세화와 통계학적 상세화로 구분될 수 있으며, 통계학적 상세화를 위해서는 대상 지역의 기후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장기 관측 자료의 확보가 중요하다. 국내의 경우에는 자동기상관측장비(Automatic Weather System, AWS)와 종관기상관측장비(Automatic Synoptic Observation System, ASOS)로 부터 수집된 기상관측자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통계적 상세화를 위해서는 30년 이상의 자료 기간을 포함하는 ASOS 자료가 적합하다. 하지만 개발도상국과 같이 기상관측기반이 열악한 지역에서는 잦은 결측 등으로 인하여 품질이 좋은 관측자료의 획득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측이 포함된 장기 기상관측 자료로부터 대상 지역의 기후특성을 재현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QC(Quality Control)을 거쳐 결측 자료를 보완할 수 있는 기법 및 R 기반패키지를 개발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개발된 기법의 적용성 평가를 위해서 기상청에서 QC를 통해 제공하고 있는 60개 ASOS 지점의 관측자료 중 강수량과 기온 변수를 사용하였다. 최대 50%까지의 현실적인 결측 패턴을 임의로 생성하기 위해 실제 개발도상국 관측자료의 일단위 결측 패턴을 이용하였다. 자료의 QC는 관측일 누락/중복 및 문자형 관측값 등 기본적인 오류 검사, 기온의 경우 물리적 허용 범위에 대한 검사, 최고기온과 최저기온의 비교 및 계측기 오작동에 의한 동일한 값의 반복 등을 포함한 내적 일치성 검사를 우선적으로 수행한다. 이후 결측값에 대해서 인근 기상관측소와의 상관성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결측값을 채우고, 최종적으로는 다양한 위성자료 및 재분석 자료 중에서 일단위 기후특성의 재현성 평가를 통해 선정된 격자형 자료와의 상관성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결측값을 보정하였다. 기온의 경우는 결측률이 높더라도 월평균 기후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강수의 경우에는 5% 이상의 결측이 발생하는 경우 월평균 강수량에 영향을 미쳐 지역의 강수량을 과소 추정하는 결과를 보였다. 개발된 QC 기법을 강수 자료에 적용한 결과 월평균 기후특성을 잘 복원하는 결과를 보였지만, 일단위 강우 사상의 재현에 있어서는 미흡한 결과를 보였다.

  • PDF

퍼스날 컴퓨터용 수문데이타베이스(PCHISS)의 개발

  • Sin, Hyeon-Min;Kim, Seung;Seo, Byeong-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1.07a
    • /
    • pp.5-12
    • /
    • 1991
  • 수자원 관련 연구 및 설계는 대부분 수문자료의 분석으로보터 출발하며, 따라서 수문자료의 효율적 관리 및 제공시스템의 필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또한 설계회사 또는 학계, 연구소 등에서 수문자료의 분석시 퍼스날 컴퓨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으며, 단위 프로젝트에 필요한 비교적 적은 양 - 예를 들어 전국 중 특정 수계만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 의 수문자료는 퍼스날 컴퓨터로도 처리가 가능하므로, 프로젝트 단위 수문자료의 검색, 출력 및 기본적 분석기능을 제공하는 퍼스날 컴퓨터용 수문데이타베이스의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PCHISS(Personal Computer Hydrological Information Support System)는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폭넓게 보급, 사용되고 있는 퍼스날 컴퓨터 - MS-DOS로 운영되는 IBM 호환 16비트 AT 또는 XT - 를 대상으로 상기한 수문자료의 검색, 출력 및 기본적 분석기능과 관측소 정보의 출력기능을 제공하도록 개발되었다. 개발에 사용된 언어는 C언어이며, C언어 프로그램에 의해 색인화된 자료처리기능을 제공하는 C-ISAM(C-Indexed Sequential Access Method)이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였다. 개발된 수문데이타베이스는 반복되는 수문자료의 검색, 출력 및 분석업무의 효율성 제고를 기할 수 있으며, 퍼스날 컴퓨터 및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한 주변장치의 성능이 계속 향상되고, 반면 가격은 상대적으로 낮추어지고 있으므로 프로젝트 단위의 수문자료관리시스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oftware Development Effort Estimation for Testing Data Analysis (테스팅 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프트웨어 개발 노력 추정)

  • Jung, Hye-Jung;Yang, Hae-Sool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1D no.1
    • /
    • pp.173-182
    • /
    • 2004
  • The research to estimate development effort of software has been progress. But, it is not easy gain that testing data for estimating of development effort. Also, if we get the testing data, it is important that analysis testing data. In this paper, we study the data analysis of software development effort using the 789 software development projects which developed in the 1990's. Software development scale and software development team site are various. Using the characteristic of factor, we have to study characteristic of data and we estimate the development effort step by step. First, we prove the difference of development effort with the 789 project data according to development type, development environment, the development language etc. Also, we execute the crosstabs analysis that team site and function point.

Development of a Rainfall Forecast Model Using Wide Range Multi-Sensor Data (광역 다중센서 자료를 사용한 강우예측기법 개선에 관한 연구)

  • Kim, Gwang-Seob;Han, Kun-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23-12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상층기상자료, 자동 기상 관측망 자료 및 신경망기법을 사용하여 단시간 강우 예측 모형을 개발하였다. 호우를 동반한 이송 기상 시스템의 이동 경로가 라디오존데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상층기상 자료 즉 상층 풍향자료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가정 하에 원거리에서 발생하는 기상현상의 발달과정을 판단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러한 원거리 입력 자료와 예측하고자 하는 값 사이의 비선형 상관 관계를 연결하는 기법으로 인공 신경망 기법을 도입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2002년 태풍 루사로 인하여 큰 피해를 입은 감천지역에 적용하였다. 포항과 오산의 라디오존데에서 획득한 700mb에서의 풍향자료와 5년의 자료기간을 가지는 350개의 자동 기상 관측망 자료를 입력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상층기상자료를 사용하지 않고 예측한 결과에 대하여 개선된 강우 예측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with Using the Unity Physics Engine to Develop Augmented Reality Science Educational Materials (초등학교 교사의 유니티 물리엔진을 활용한 증강현실 과학교육 자료개발 경험 분석)

  • Kim, Hyunguk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3 no.3
    • /
    • pp.385-401
    • /
    • 2024
  • This study presents a step-by-step analysis of the experiences and discussions of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ile developing the Augmented Reality (AR) science educational materials, using the Unity Physics Engine. In the preparation phase to develop the AR materials, the teachers explored the features of the AR technology and decided to create AR materials for experiments related to magnetic fields in the magnetism unit, based on discussions about the unit selection. In addition, they complained about difficulties arising out of the lack of background knowledge about the C# programming language in the preparation phase. During the material development stage, there were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unfamiliar interface and other functions of the software. However, this was overcome through knowledge sharing an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among the teachers. The final materials developed were marker-type AR materials to perform experimental activities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magnet and the compass markers. Based on the developed materials, the teachers discussed their smooth utilization during the classroom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