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동 품질관리

Search Result 199,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Complement Standard Outlier Detection of National Quality Control System Hydrological Data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 이상치 점검 기법 보완)

  • Cho, Herin;Park, Heeseong;Kim, Hyoung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70-470
    • /
    • 2017
  • 우리나라는 2007년부터 국토교통부 주도하에 관측소별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강수량, 수위 수문자료를 축척 및 유관기관에 제공하고 있다. 또한 관측소 장비의 오작동 및 주변환경의 영향으로 수문자료에서 이상치 자료가 발견되는 것에 대해서도 자동 및 수동 품질관리 기법을 활용하여 보정하고 있다. 수문자료에 대한 신뢰도와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상치 점검 기법에 대한 지속적인 보완 및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 구축된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에서 이상치 점검에 대한 추가 기법을 조사 및 현 시스템에 적용하여 품질관리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각 수문자료 관측소에 맞는 품질관리시스템을 지원함으로써 수문자료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for Storage of Horticultural Crops on the Web (웹을 이용한 원예작물의 저장을 위한 환경관리 시스템)

  • 박병수;양용준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2.05a
    • /
    • pp.203-20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원예작물의 저장고 내 정확한 품질판정을 위하여 관련된 여러 환경요인들을 일차적으로 센서에서 감지하고 그 정보를 컴퓨터에 자동 입력하여 이러한 환경을 자동으로 관리한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측정된 데이터를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도록 웹 페이지로 구축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저장고의 상태를 설정을 할 수 있는 원격 시스템을 구현함으로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한다. 따라서 신뢰성 있는 센서 제어기를 이용하여 원예작물의 저장환경을 관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 하드페어 및 응용 소프트웨어를 구축하여 자동 측정된 데이터의 분석 및 환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을 구성한다.

A study on the collection of river water usage using IRDiMS (IRDiMS를 활용한 하천수 사용량 수집 방안에 관한 연구)

  • Sang Uk Cho;Dong Heon Oh;Jong Seok Baek;Jeong Hwan C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40-440
    • /
    • 2023
  • 하천수 사용량 자료는 하천법에 따라 사용자가 월단위로 사용량(농업용수 8,000m3/s 이상)을 한강홍수통제소 하천수사용관리시스템에 직접 입력 또는 우편이나 공문 등으로 전달되어 입력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와 같이 월단위로 수집되는 자료로는 하천수 사용량 통계자료 분석이나 효율적인 물관리를 위한 하천 유량 관리에는 활용에 한계가 있어 정확한 하천수 사용량 관리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계측되어 표준화된 자료로 전송되는 자료를 현재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운영중인 첨단 계측장비를 이용해 하천 유량 자료를 실시간으로 수집 및 관리하고 있는 IRDiMS(Integrated Real-time Discharge Measurement System)를 활용하여 하천수사용관리시스템에 하천수 사용량 자료를 실시간으로 입력하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RDiMS는 계측장비를 통해 하천 유량 자료를 수집하여 품질관리를 거쳐 하천의 유량자료를 관리하고 있어 실시간 하천수 사용량 자료는 IRDiMS 의 처리체계를 동일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IRDiMS에서 처리된 자료는 물리적·소프트웨어 측면에서 한강홍수통제소 내부DB와 같은 공간에 위치하여 자료를 하천수사용관리시스템 외에도 국가수문DB 및 타시스템에 연계하는데 유리하다. 실시간 기반의 하천수 사용량 자료는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계측되어 산정된 하천수 사용량 자료를 일정한 형식에 따라 10분 주기로 IRDiMS의 수신서버로 전송하고 수집된 자료를 처리서버에서 품질관리를 거친 후 자동유량DB에 저장된다. 저장된 자료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국가수문DB로 자동 연계하고, 실시간으로 외부망에 있는 연계서버를 통해 하천수사용관리시스템DB에 자료를 저장하도록 하천수 사용량 수집에 대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of Quality Control System for Compaction Grouting Method (컴팩션 그라우팅 공법의 품질관리 시스템 개발 및 신뢰성 검증)

  • Seo, Seok-Hyun;Lee, Jung-Sang;Jung, Eui-Youp;Park, Sang-Yeong;Lee, Hyo-Bum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 /
    • v.19 no.4
    • /
    • pp.11-20
    • /
    • 2020
  • This study introduced the compact grouting method that can be used for improving soft ground and restoring buildings with unequal subsidence. The pump used in the traditional compact grouting method is a system that injects one hole each, which reduces the construction efficiency, and the analog injection method manually manages the construction by field workers, making it difficult to manage consistent quality. Pump and quality control system were developed to solve problems in existing construction. Since field supervisor determines amount of injected materials by using analog equipment and controls manually, it is difficult to manage consistent quality of construction. Therefore, the quality control system was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at problem. The quality control system consists of automatic mixing system of injection materials, multiple simultaneous injection pumps, and injection management monitoring system. Performance of the quality control system was verified through on-site testing, and ground improvement performance was verified through quality testing after testing and testing of the compact grouting metho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integrated quality control system developed will improve the quality assurance and efficiency and stability of construction at sites where construction and quality verification are difficult.

A Study on Quality Control Method for Minutely Rainfall Data (분 단위 강우자료의 품질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Kim, Min-Seok;Moon, Young-Il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5 no.2
    • /
    • pp.319-326
    • /
    • 2015
  • Rainfall data is necessary component for water resources design and flood warning system. Most analysis are used long-term hourly data of surface synoptic stations from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others. However, It will be used minutely data of more high density automatic weather stations than surface synoptic stations expecting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heavy precipitation. But minutely data has a problem about quality of rainfall data by auto observation. This study analyzed about quality control method using automatic weather station's minutely rainfall data of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t was performed assessment of the quality control that was classified quality control of miss Data, outlier data and rainfall interpolation. This method will be utilized when hydrological analysis uses minute rainfall data.

생산工程의 自動化에 關하여 (I)

  • 이봉진
    • Journal of the KSME
    • /
    • v.20 no.1
    • /
    • pp.31-39
    • /
    • 1980
  • Automation(자동화)은 1946년 Ford 자동차회사에서 출생한 이래 반도체공업의 기술정보를 배 경으로 한 Computer, NC, Digital 정보처리기술, 도형정보처리기술등의 개발로 급격히 발전하 였다.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공업계기의 발달로 계장 system의 Hardware가 성능이나 신뢰성이 실용화레벨에 올라서 Roqort, 인공화능, man-machine system까지도 나타나게 되었다. 생산 system의 자동화에 있어서도 생산공정의 소재관리, 기계가공, 조립, 검사, 포장등을 일관서있는 연속작업이 되도록하는 종래의 Machanical Automation이 있다. 이는 소품종 다량생산체제에서 고능율, 고도의 가공효율의 요구에 따라 제품의 품질관리 및 제조를 자동전용기에 의한 양산체 제라 하겠는데 이것이 선진국의 1950년대의 자동화의 형태라 할수 있다. 1960년대에 들어서 앞서 기술한 전기 전자 기술의 발달과 제품에 대한 사회의 요구와 그것에 부응하기 위하여서는 생산 Line의 자동화가 점차 지능화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Mechatronical Automation이라 부르기도 하나 이 점이 종래의 자동화와 성격이 다르다고 하겠다. 여기서는 생산시스템의 자동 화에 대한 새로운 경향이 어떠한 것이며 또 앞으로의 전망등을 살펴보기로 한다.

  • PDF

A Framework of Automating Inspection Task Generation for Construction Projects (건축 시공단계 검측 업무 자동 생성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 Jo, Seuckyeon;Lee, Jin Gang;Choi, Jaehy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4 no.1
    • /
    • pp.40-50
    • /
    • 2023
  • Quality control (QC) is an essential work for the successful construction project execution. Recently, robust application of ICT to the QC tasks leads to utilizing innovative technologies and equipment. However, overall planing of QC works needs to take place before applying new technologies to each and individual QC task.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involve developing a database and an algorithm that identifies QC tasks and related information upfront. In addition, the researchers developed a methodology to generate inspection tasks in conjunction with construction work tasks. The Korean Ministry of Land and Transportation provides standard supervision checklists. They were classified based on criteria of inspection items, methods, period and the scope. Reinforced concrete work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for validation of the method. This framework can function when planing construction tasks with any type of planning tools and innovative technologies. The researchers expect this framework may contribute to various construction projects when developing QC plans and tasks with applicable technologies.

Development of Rule for Quality Checking Items to Raise Quality of BIM Model -Focusing on the Domestic BIM Guidelines- (BIM 모델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품질검토항목의 룰 개발 - 국내 BIM 지침을 중심으로 -)

  • Song, Jong-Kwan;Ju, Ki-Beom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4 no.5
    • /
    • pp.131-143
    • /
    • 2013
  • There is the difference of criteria to apply guidelines among the project participants and to depend on the purpose of utilizing BIM models, although modeling criteria are basically provided through BIM guidelines. Therefore, it is quite important to check compliance with guidelines to raise quality of the BIM model. But Quality Checking (QC) items and method for BIM model modeled in accordance with guidelines is not provided. This study suggested QC items and Rule Specifications(RS) for automatic QC. First of all, QC items were derived by analyzing domestic BIM guidelines and a process for structuring natural language is conducted by utilizing flowchart and pseudocode. So, by combining them, RS was suggested. Finally, RS-based case study was conducted by implementing automatic QC process with solibri model checker$^{TM}$.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design quality and completeness of BIM model including huge data of 3 dimension.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BIM guidelines according to the use case and to provide detailed process and standard for QC of BIM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