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동 업데이트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4초

맞춤형 정보제공을 위한 RSS 기반 교육정보시스템의 개발 (A Development of RSS-based Educational Information System for Providing Adapted Information)

  • 강정민;전석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93-30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교사, 학생 및 학부모와 같은 교육정보 사용자들에게 맞춤정보를 제공하는 RSS 기반 교육정보시스템을 개발한다. 다양한 교육정보 웹페이지로부터 교육정보를 수집하기 위해서 우리는 웹기반 RSS 리더기를 설계한다. 웹기반 RSS 리더기는 RSS를 제공하는 해당사이트나 블로그 등의 URL의 주소를 입력받아 RSS 파일인지를 인식하고 파서에 로드하여 XML 문서로 생성하고 분류하여 시스템에 등록한다. 시스템에 등록된 문서에 해당되는 웹페이지에 새로운 정보가 업데이트 되면 자동으로 이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준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자신에게 적합한 정보를 얻기 위해 일일이 해당되는 사이트를 검색하지 않고서도 실시간으로 맞춤형 교육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 PDF

지식과 강의 팟캐스트의 현황 분석과 발전방향 (Analysis and Improving Suggestions for Knowledge and Lecture Podcasts)

  • 한성원;허기택;김은석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1-125
    • /
    • 2008
  • 휴대기기들의 하드웨어 성능과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인터넷에서 제공되고 있는 오디오와 비디오 파일들을 PC에 저장하여 휴대기기에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인터넷에서 제공되고 있는 오디오와 비디오 미디어 파일들은 단순한 다운로드에서 자동 업데이트 서비스로 제공되는 팟캐스트의 출현으로 이어졌다. 현재 미국과 유럽의 메이저 방송사들과 대학에서 그들의 정보 제공 방법의 하나로 팟캐스트를 사용하며, 이에 따라 많은 양의 지식과 강의 팟캐스트가 활발하게 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양의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지식과 강의 팟캐스트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식과 강의 팟캐스트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 PDF

HDR 기술을 활용한 2018 러시아 월드컵 UHD방송 VOD 서비스 (2018 Russia World Cup UHD VOD Service Using HDR Video)

  • 하종진;이돈일;구자훈;엄영식;박석기;송재호;장진희;전성규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9-52
    • /
    • 2018
  • KBS를 비롯한 지상파방송 3사는 실시간 UHD방송과 VOD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가 결합된 세계 최초의 지상파 양방향 UHD 플랫폼인 Tiviva(이하 티비바) 서비스를 2017년 11월 오픈하였다. 티비바는 별도의 셋톱박스 없이 UHD TV에 직접수신 안테나와 인터넷을 연결하여 지상파 방송사의 실시간 방송 채널 외에 다양한 UHD VOD와 클립을 이용할 수 있고, 스포츠와 드라마, 종편(JTBC, MBN), 영화 등 50여 개의 IP채널을 추가로 볼 수 있는 서비스이다. 이후 2018년 1월에는 이용자 편리성과 자동추천 기능 등 UI/UX를 크게 개선한 티비바 2.0을 업데이트 하였고, 평창올림픽 기간에는 전 경기 실시간 스트리밍 및 올림픽특별관을 운영하였다. 2018년 6월 러시아 월드컵 기간에는 축구 경기 UHD HDR 방송 중계와 함께 티비바를 통한 HDR VOD를 최초로 서비스하여 스포츠 경기를 즐기는 또다른 즐거움을 선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러시아 월드컵 HDR VOD 서비스를 준비하고 시행하기 위한 시스템 설계 및 진행과정, 기술 이슈 등에 대해서 기술하려고 한다.

  • PDF

레벨 4 자율주행자동차의 제작 안전 가이드라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Safety Guideline of Level 4 Automated Driving Vehicles)

  • 이광구;우현구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86-94
    • /
    • 2021
  • Since automated driving system (ADS) has great potential to innovate various fields of automobile and mobility industries, major countries are establishing safety standards for autonomous vehicles to support technology development. However, in order to prevent technology development from being hampered by the safety standards for technologies still under development, safety guidelines are applied until the technologies are mature. For example, the safety 'guideline' for level 4 ADS was published in December 2020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f Korea, while the safety 'standards' for level 3 ADS was promulgated in December 2019. In this study, the domestic safety guideline for level 4 ADS is analyzed with the guidelines of major advanced countries in terms of safety elements. As it takes a lot of time before the safety standards of level 4 ADS is introduced, it is expected that the safety guideline will be updated several times. As necessary considerations when updating the safety guideline, industry acceptance, harmonization between safety elements, validation methods of system performance, and the user options are discussed.

DSTM 기술을 이용한 IPv6/IPv4 이동성 지원 메커니즘 (IPv6/IPv4 Mobility Support Using DSTM Mechanism)

  • 이상도;신명기;김형준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0권5호통권95호
    • /
    • pp.139-148
    • /
    • 2005
  • 본 논문은 MIPv6 망에서의 IPv6 이동 노드와 IPv4 망의 노드간의 DSTM 연동메커니즘을 이용한 이동성을 지원하는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MIPv6는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통신하는 단말이 모두 IPv6 노드인 환경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MIPv6 플랫폼을 IPv6/IPv4가 혼재된 망에서 사용할 때 바인딩 업데이트과정이 처리되지 않기 때문에 IPv6의 기본기능인 경로 최적화 기능을 수행할 수 없다.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삼각 라우팅 방식은 홈 에이전트 및 네트워크의 병목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DSTM의 경계 라우터의 기능을 확장하여 IPv4 망의 상대방 노드의 기능을 대신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제안하고자 한다. 향후 새로운 차세대 망의 도입 시 기존의 망과의 이동성을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IPv6 기반의 차세대 망의 도입을 고려할 때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부드러운 헤비사이드 계단 함수 기반의 NavMesh 제어 기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NPC의 경로 추적 (Efficient Path Tracking of Non-Player Character with Controlling NavMesh Based on Smoothed Heaviside Step Function)

  • 김종현;김수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1호
    • /
    • pp.339-34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다양한 물리적 속성 중 부드러운 헤비사이드 계단 함수와 다양한 물리적 속성(속도, 시점 등)을 활용하여 가중치 맵을 계산하고 이로부터 논플레이어 캐릭터(Non-player character, NPC)의 경로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NavMesh 제어 기법을 제시한다. 게임과 같은 가상환경에서 NPC는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메쉬(Navigation mesh, NavMesh)를 이용하여 이동한다. 하지만, NavMesh는 정적인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디자인되어야 하고,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고자 자동으로 NavMesh를 업데이트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지만, 메쉬 복원을 자동화할 뿐 실제 NPC 행동 제어라고 하기에는 힘든 접근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 네비게이션 프레임워크를 유지한 채, 사용자의 시점과 물리적 특성을 통해 NPC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경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NavMesh의 형태에만 의존하던 NPC의 움직임을 완화하여 좀 더 사실적인 경로 제어를 보여준다.

  • PDF

Wiki정의로부터 ISA를 추출할 수 있는 언어적 규칙 (An Automatic Construction of ISA relations of Wordnet Using Wiki Definitions)

  • 한영석;오창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2-55
    • /
    • 2008
  • 워드넷(WordNet)의 논리적 내포관계(ISA)를 자동으로 WIKI와 같은 동적인 백과사전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면, 워드넷과 같은 지식베이스를 전문분야로까지 쉽게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동적인 백과사전에 기반하기 때문에 지식베이스의 동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하게 된다. 본 논문은 워드넷과 같은 정적이고 수동으로 제작된 개념망이 온라인상의 동적 백과사전에 의해서 어느 정도 자동화 될 수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워드넷의 IT관련 100개의 표제어에 대해서 WIKI 백과사전에서 추출한 정의를 이용하여 ISA관계를 구축하고 그 결과가 워드넷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자동 구축된 ISA관계는 워드넷에 대하여 80%의 일치율을 보였다.

해시를 활용한 사이버킬체인 기반의 사물인터넷 보안 정책 (Cyber KillChain Based Security Policy Utilizing Hash for Internet of Things)

  • 정소원;최유림;이일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9호
    • /
    • pp.179-185
    • /
    • 2018
  • 4차 산업 혁명의 정보통신기술 산업 분야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는 사물인터넷 기술은 단순한 보안 기술을 넘어 신뢰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신뢰성은 IoT 제품의 기획 및 설계 단계부터 고려되어 제품을 개발하고 평가하며 사용하는 모두가 보안성을 측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사용되는 IoT 기기 수의 급격한 증가와 사용 생명주기의 증가는 소프트웨어 패치와 업데이트 및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한 보안 취약성 증가로 이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IoT 산업 분야의 기술적 정책적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IoT 기기의 보안성과 확장성의 한계점을 분석한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블록체인의 요소 기술인 해시를 활용해 소프트웨어의 무결성을 자동 검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해시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무결성 자동 검증 방법으로 사물인터넷의 보안성과 확장성을 강화하고, 제안하는 보안 기술 적용을 위한 정책적 솔루션을 제시한다.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기반의 안전한 펌웨어 배포 시스템 (Hybrid blockchain-based secure firmware distribution system)

  • 손민성;김희열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21-132
    • /
    • 2019
  • 4차 산업시대에 들어가며 IoT기기들의 수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증가하는 IoT기기들의 보안사고와 비례하여 보안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IoT기기들의 제한적인 성능으로 인해 기존의 보안 솔루션을 적용하기에는 제약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자동 펌웨어 배포 솔루션을 필요로 한다. 우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을 사용하는 새로운 자동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을 제안한다. 퍼블릭 블록체인은 다양한 펌웨어 제공업자들이 공통된 시스템을 사용하여 펌웨어 배포를 가능하게 해준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퍼블릭 블록체인의 트랜잭션 과부하 문제를 해결하며 IoT 기기들의 관리를 용이하게 해준다. 또한 분산 파일 저장소를 사용하여 단실실패점 없이 높은 가용성을 보장한다. 따라서 본 시스템을 사용하면 IoT 기기들의 보안 향상에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버전동기화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 응용 소프트웨어 변경 관리 시스템의 구축 사례 (A System for Change Management of Sensor Network Applications based on Version Synchronization)

  • 김재철;김주일;정기원;이우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6A권2호
    • /
    • pp.125-13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센서 네트워크의 중단 없이 노드의 응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결함 수정이나 기능 변경 및 개선 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버전동기화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 응용 소프트웨어 변경 관리 시스템을 제시한다. 응용 소프트웨어 변경 관리 시스템은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인 NADE, 노드 관리 서버 및 노드 에이전트로 구성된다. NADE는 노드에 설치할 응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Eclipse 기반의 개발환경으로 버전 관리 도구인 CVSNT를 연동하여 응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버전 관리를 수행한다. 노드 관리 서버는 NADE에서 개발한 응용 소프트웨어의 버전과 노드에서 수행되고 있는 응용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비교하여 동기화시킴으로써 노드에서 수행되는 응용 소프트웨어가 항상 최신의 버전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관리하며, 노드 에이전트는 노드에 탑재되어 노드의 정보를 서버에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수정된 노드의 정보를 저장 및 업데이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안한 버전동기화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 응용 소프트웨어 변경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면, 개발자들이 노드의 응용 소프트웨어에 대한 결함을 수정하거나 기능 변경 및 소프트웨어를 개선하여 응용 소프트웨어의 버전이 변경되면 자동으로 센서 노드의 응용 소프트웨어가 업데이트 되므로, 센서 네트워크를 중단하거나 지연시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실행을 관리할 수 있으며, 센서 네트워크 응용 소프트웨어의 변경 관리에 대한 가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