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동화 항만

Search Result 290,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효율적인 공컨테이너 관리를 위한 수직형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이송모델 연구

  • Jang, Jae-Hwan;Lee, Jeo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218-220
    • /
    • 2019
  • 전 세계 주요 항만에서 컨테이너터미널의 자동화가 추진되고 있으나, 기존 터미널 자동화 모형은 수출입 화물의 단순 양하에 초점을 둔 서구형 수직 배열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이로 인해 다양한 On Dock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우리나라 컨테이너 항만의 경우, 터미널 자동화 추진에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컨테이너터미널 On Dock 서비스 중 주요 업무인 공컨테이너 관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수직 배열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내 이송모델을 제시하고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Optimized Design for Yard Operating System Layout of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자동화항만의 야드 운영시스템 레이아웃 설계)

  • Hong, Dong-Hee;Chung, Tae-Cho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0D no.1
    • /
    • pp.101-108
    • /
    • 2003
  • Construction of automated terminal it urgently demanded to gain the foundation of hub-port in north east Asia. Therefore we suggest an adequate operating system layout of automated terminal in Korea. In this paper the aim of automated terminal operating system is satisfied. four basic models are divided according to moving course of export and import cargo of each automated equipments, several input data are changed and analyzed dynamically by Trial and Error method, and then an optimized operating system model is selected, and designed for yard operating system layout on the basis of the selected model. Particularly, the productivity of automated port is up to the kind of automated equipments. However, because expense and present work process must be considered actually.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of the work, the method to optimize the present work and substitute prevent equipments and automated equipments was designed. It is a premise that ail the yard equipments described in this paper must be automatic except quay crane.

컨테이너 통합검색정보 표준화 연구

  • 서종희;이준호;박순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27-229
    • /
    • 2023
  • 해상을 통해 반출입되는 항만 컨테이너는 선박과 항만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국제해상위험물규칙의 규정을 준수하였는지 검사하고 컨테이너의 안전성을 점검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컨테이너 및 위험화물의 검색은 대부분 사람에 의한 수동 운용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향후 자율운항선박의 도래에 따른 자동화 항만을 위해서는 자동화된 검색 기술과 더불어 대상 컨테이너의 무인 자동화 검색이 가능하도록 운영이 될 필요가 있으며, 보다 진보적이고 효과적인 컨테이너 검색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컨테이너 검색정보 표준을 개발하여 컨테이너 보안검색의 효율성 및 검색 활동에 대한 업무 비효율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 PDF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자동화 서비스 실증 모델 개발 연구

  • 이준호;박순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33-235
    • /
    • 2023
  •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자동화 서비스 실증 모델 개발 연구는 자율운항선박과 스마트항만이 도래되었을 때 스마트 해상 물류 통합을 위해 자동화할 수 있는 일부 업무들을 해상물류 중심의 프로세스와 상호 프로세스를 도출하고 관련 업무의 분야별 데이터를 통합하여 해상물류 통합 프로세스 자동화 서비스 실증 모델을 개발하고 검증하는 연구 내용이다.

  • PDF

항만 자동화 게이트시스템 구축을 위한 최적 기술 대안 선정에 관한 연구

  • Choe, Hyeong-Rim;Lee, Chang-Seop;Choe, Seong-Pil;Son, Jeong-Rak;Lee, Ho-In;Sin, Jung-J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9.06a
    • /
    • pp.192-193
    • /
    • 2009
  • 세계 항만환경은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등장이후, 허브 & 스포크(Hub & Spoke)의 형태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이에 해외 선진항만들은 중심항만으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해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을 구축하는 등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에 관한 연구, 그중 자동화 게이트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화 게이트시스템을 구축 시, 최적 기술 대안을 선정하기 위해 국내 외 게이트 운영현황과 관련 기술들의 분석함으로써 자동화 게이트시스템 구축 시 필요한 기술을 도출하다. 그 결과를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의 기술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현재 게이트시스템의 만족도와 문제점 그리고 향후 게이트시스템 구축 시 사용하고자 하는 기술과 기대효과를 찾고자 하였다. 하지만 1차 설문결과 내용만으로는 어떤 요소 기술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대효과를 만족시킬 수 있는 최적 기술 대안인지 제시하기 힘들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정성적인 주관적 평가요소를 객관화하여 각 평가기준에서 나타나는 적용상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인 AHP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생산성 보안성, 경제성 3가지 평가 기준을 고려하여 최적 기술 대안을 선정한 결과 RFID가 최적의 기술대안으로 평가되었다.

  • PDF

Port Performance of Fully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on the COVID Pandemic (코로나 팬데믹에서 완전자동화항만의 성과 비교 연구)

  • BoKyung Kim;GeunSub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327-328
    • /
    • 2022
  • The recent spread of the corona pandemic and a temporary surge in demand for consumer goods have resulted in an increase in port cargo volume, and the resulting port congestion is coupled with a shortage of labor in the port, exacerbating the global supply chain chaos. Supply chain disruptions will increase logistics costs and ultimately increase global inflationary pressures. In this situation, the role of the port, which is the nodal point between land and sea, is gradually becoming more important. And fully automated ports that are operated unmanned are evaluated as being able to respond stably and flexibly by reducing operational risks in situations such as COVID-19.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fully automated and non-fully automated terminals within the same port before and after the corona outbreak, and analyzed the fully automated terminal was stable in actual oper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ully automated terminal showed stable operating efficiency in all aspects of operational performance compared to the non-fully automated terminal even under severe port congestion due to COVID-19.

  • PDF

스마트 물류 R&D 동향과 PA의 추진전략

  • Jeon, Tae-Ryang;Yeon, Jeong-He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275-277
    • /
    • 2019
  • 최근 항만물류부문 4차 산업혁명과 IoT 기술 확산으로 스마트 물류와 자동화 항만에 대한 정부의 R&D 동향과 PA가 참여하는 기술개발 R&D 사업에 대한 추진전략을 제시함.

  • PDF

Optimized design for gate complex and operation method of automated port (자동화 항만에서의 게이트 구조물 및 최적 운영방식 설계)

  • Hong, Dong-Hee;Chung, Tae-Cho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0A no.5
    • /
    • pp.513-518
    • /
    • 2003
  • The quantity of container transportation of the world habors is constantly increasing by 8.8 per year until 2011. Present port facilities will not satisfy it. So facility expansion is necessary. Because the processing cost in the harbor becomes to 30% of total transportation expense, major pors inthe world are making an effort in the automation facilities to solve the problems of higher labor costs and indufficient labor an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work and use of the land. Especially, the automation of the gate, which is the place of cargo's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the node which creates the information, is now rising as the important issue. In this study suggest more efficient design for port gate automation. First, calculate scale of gate complex, and compare of 1 step gate and 2 step, and optimal design for automated operation method of gate process.

Simulation Methodology for Automation of Port Systems : Example of Container Terminal (항만 시스템의 자동화를 위한 시뮬레이션 방법론 : 컨테이너 터미널의 예)

  • Lee, Jang-Se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4 no.1
    • /
    • pp.154-162
    • /
    • 2010
  • A simulation technique is very useful method to analyze the performance on various engineering area. To automate port systems, we have need of simulation to analyze an effect of assigning and operating devices. Thus we propose simulation methodology to be applied to an analysis, evaluation, planning for port automation. To do this, we have adopted the 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based system entity structure / model base framework for modeling and simulation environment. We have performed modeling and simulation on entities of port systems such as container crane, yard tractor, transfer crane, etc. The proposed methodology has an advantage being able to effectively simulate on alternatives of composition and operation strategy for port systems. Some case studies will show the validity of proposed simulation methodology.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의 ASHC Dispatching Rule에 관한 연구

  • Choe, Hyeong-Rim;Yun, Su-Jin;Gwon, Hae-Gyeong;Park, Cha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216-218
    • /
    • 2007
  • 세계 선진항만은 해운물류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고, 경쟁력 확보 방안으로 첨단 자동화 장비와 운영시스템 도입을 통한 자동화를 지향하고 있다. 국내 부산항 신항 또한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동화 터미널은 각종 자동화 장비와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효율적인 운영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터미널의 안벽과 장치장 사이의 컨테이너 운송을 담당하는 이송장비는 컨테이너터미널의 핵심장비로 이의 효율적인 운영은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과 직결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의 운영생산성 향상을 위한 하역장비와 이송장비의 운영방안에 대하여 연구한다. 특히 DHST(Dual Hoist Second Trolley)타입의 QC와 ASHC의 장비특성과 장비간의 연계작업을 고려하여, QC의 대기시간을 최소화하여 하역 생산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ASHC Dispatching Rule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