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동차 간 통신

Search Result 32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oward Mobile Cloud Computing-Cloudlet for implementing Mobile APP based android platform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바일 APP 개발을 위한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

  • Nkenyereye, Lionel;Jang, Jong-Wo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6
    • /
    • pp.1449-1454
    • /
    • 2015
  • Virtualization lacks capabilities for enabling the application to scale efficiently because of new applications components which are raised to be configured on deman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rchitecture that affords mobile app based on nomadic smartphone using not only mobile cloud computing-cloudlet architecture but also a dedicated platform that relies on using virtual private mobile networks to provide reliable connectivity through LTE(Long Term Evolution) wireless communication. The design architecture lies with how the cloudlet host discovers service and sends out the cloudlet IP and port while locating the user mobile device. We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rchitecture by implementing an android application responsible of real time analysis by using a vehicle to applications smartphone interface approach that considers the smartphone to act as a remote users which passes driver inputs and delivers outputs from external applications.

Horizontal Control System using CAN Communication (CAN통신을 이용한 수평제어 시스템)

  • Kim, Gwan-Hyung;Sin, Dong-Suk;Kim, S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101-102
    • /
    • 2013
  • CAN통신은 자동차 내부 전자제어장치 간의 통신을 위하여 개발되었으며, CAN통신은 UART 방식과는 달리 전송속도와 안정성 측면에서도 뛰어나고 배선 결선에서도 간편한 버스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어서 배선량을 줄일 수 있어 생산시간의 단축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최근에는 자동제동장치, 선박의 엔진제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AN통신을 기반으로 하여 3개의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를 통하여 수평 플랜트에 대한 수평제어를 구현하였다. 또한 본 논문의 수평제어시스템은 수평조절을 하는 액추에이터와 CAN통신을 내장한 AT90CAN128로 구성되어 있다. CAN통신을 기반의 수평제어를 통해 선박이나 자동차의 액추에이터를 조절하여 수평을 제어하고자 한다.

  • PDF

Support for Real-Time Communication Domains on an Automotive Network Gateway (실시간 통신 도메인을 고려한 차량용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 Chung, Sung-Moon;Lee, Mu-Youl;Jin, Hyun-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63-64
    • /
    • 2009
  • 자동차 내에는 여러 종류의 차량용 네트워크가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에서 요구되는 서비스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차량용 네트워크의 특성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최근 이들 네트워크 간의 협업이 중요하게 인식되어 차량용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등장하게 되었으나 서로 다른 특성의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 그 대표적인 예로서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통신 실시간성 요구를 만족하기 위한 효율적인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운전 및 안전성과 직결되는 전장용 네트워크 도메인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 도메인을 구분하고 전장용 네트워크의 실시간성을 지원하기 위한 리눅스 기반의 차량용 네트워크 게이트웨이를 제안한다. 성능 측정 결과 제안된 게이트웨이는 인포테인먼트 네트워크 도메인의 통신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장용 네트워크 도메인의 실시간성을 보장해줄 수 있음을 보인다.

Implementation of E-Training Contents Authoring System based on HTML5 (HTML5 기반의 E-Training 콘텐츠 저작 시스템 구현)

  • Kim, Yu-Doo;Moon, Il-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6
    • /
    • pp.1509-1514
    • /
    • 2013
  • In the distance education system existing, change of content by the content provider has not been performed in real time. But current car model is changed quickly. So it must modifying by contents provider in real-time. In this paper, we implement contents authoring system for modifying E-training contents easily. Especially, it use HTML5 technology. Through it, contents providers can modifying contents in various platforms easily.

Key Exchange Protocol based on Signcryption in SMART Highway (SMART Highway 환경에서의 사인크립션 기반 키 교환 프로토콜)

  • Kim, Su-Hyun;Lee, Im-Yeong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6 no.2
    • /
    • pp.180-189
    • /
    • 2013
  • The SMART Highway project combines road construction with advanced technology and vehicle telecommunications. Its expected outcome is a world-leading intelligent road that is green, fast, and comfortable. A vehicular ad-hoc network(VANET) is the core technology of the SMART Highway, whose transport operation is based on road vehicles. The VANET is a next-generation networking technology that enable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or between vehicles and a road side unit(RSU). In the VANET system, a vehicle accident is likely to cause a serious disaster. Therefore, some information on safety is essential to serve as the key exchange protocol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However, the key exchange scheme of the general network proposed for a fast-moving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unsuitable for vehicles. In this paper, communication between multiple vehicles more efficient and secure key exchange at the vehicle certification by signcryption is propose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trol Functions of an AVM system using DIO (DIO를 이용한 AVM 시스템 제어기능 설계 및 구현)

  • Seo, Sang-uk;Jang, S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463-465
    • /
    • 2013
  • 최근 자동차 산업의 활성화로 인해 자동차 이용자 수가 증가하고 교통사고가 문제화되면서 사고를 최소화시키고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보조시스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AVM 시스템은 차량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어린이 통학차량에 부착하여 교통사고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DIO와 AVM 시스템을 접목시켜 차량의 문이 열리면 DIO를 통해 신호를 받고 모니터의 화면에 AVM 영상이 출력되는 시스템을 구현하여 어린이 통학차량의 교통사고를 최소화하였다.

  • PDF

V2X 통신을 위한 보안기술

  • Lee, You Sik;Kim, Duk Soo;Sim, Sang Gyoo
    • Review of KIISC
    • /
    • v.24 no.2
    • /
    • pp.28-34
    • /
    • 2014
  • 차량간 소통을 통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운전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V2X는 차세대 자동차 기술 중 하나로 인식되어, 주요 자동차 생산 업체는 물론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심을 가지고 연구 및 기술개발에 힘쓰고 있는 기술이다. 본 고에서는 IEEE 1609.2를 중심으로 V2X 통신 중 보안부분(Security Service)에 대한 설명과 차량을 위한 PKI 시스템 구축 등을 소개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한다.

A Study of the Electric Vehicle Industry and Policy Implications (전기자동차 산업 현황 및 정책적 대응방향)

  • Chun, Hw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471-473
    • /
    • 2013
  • This paper is analyzing the situation of the electric vehicle Industry and draw the policy implications to promote electric vehicle industry. Major automobile makers as GM, BMW, Nissan, Audi produce various electric vehicles. But in recent times, only few electric vehicle sold in the world. So, many automobile makers gave up the production of electric vehicles. and the fuel-cell vehicle will replace the electric vehicle as a environment car in the future. We should take the build up of eco system between vehicle makers and the small parts companies, construction of battery charging infrastructure, promotion of standardization activities, and the government's support to revive the electric vehicle industry.

  • PDF

Research Trends and Considerations of Invasion Threat and Countermeasures for Connected Car Security (커넥티드 카 보안을 위한 침해 위협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 Lee, Young Hun;Ryu, Jung Hyun;Kim, Nam Yong;Park, Jong Hy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8.10a
    • /
    • pp.253-256
    • /
    • 2018
  • 최근 4차 산업혁명은 기존에 한정적이던 사물들의 역할을 끝없이 확장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인간, 사물, 환경 등 모든 것은 연결이 가능한 Internet of Things(IoT)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여 안전기능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ICT의 융복합의 발전에 따라 자동차도 기존과 다르게 IoT 환경에 포함된다. 커넥티드 카는 차량, 인프라, 모바일 디바이스, 주변 환경 간의 통신을 통해 실시간으로 다양한 정보를 자동차를 중심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커넥티드 카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전 과정 속에서 커넥티드 카의 보안성의 문제는 반드시 해결되어야 한다. 보안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운전자에 대한 악의적인 공격을 통해 일반적인 보안 침해사고 수준을 넘어 사고를 유발시킬 경우 인명과 재산상의 큰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커넥티드 카의 통신구조를 알아보고 취약점 분석과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안하여 안전한 커넥티드 카의 활용 방안을 연구한다.

IEEE 802.19 무선 상호공존 표준화 동향

  • Gang, Hyeon-Deok;Park, Ae-Sun;Bang, Seung-Cha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3 no.10
    • /
    • pp.24-30
    • /
    • 2016
  • 본고에서는 IEEE 802.19 무선 상호공존(Wireless Coexistence) 워킹그룹(Working Group)의 구성 및 역할, TV 우휴대역 주파수 공유 시스템간 상호공존 표준기술 및 현재 논의가 진행중인 일반허가접속(General Authorized Access) 주파수 공유시스템간 상호공존 표준기술과 자동차 환경에서의 주파수 공유시스템간 상호공존 표준기술을 소개하고, 비면허대역 LTE(Long Term Evolution)와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시스템과의 주파수 공유 등의 무선상호공존 이슈들과 관련 표준화 동향에 대해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