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동차 간 통신

Search Result 32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 Decision Scheme of Dynamic Task Size for Cloud Server composed of Connected Cars (연결형 자동차로 구성된 클라우드 서버를 위한 동적 작업 크기 결정 기법)

  • Min, Hong;Jung, Jinman;Kim, Taesi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0 no.3
    • /
    • pp.83-88
    • /
    • 2020
  • With developing vehicle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cars can communicate with road-side infrastructures and among other cars. As autonomous driving cars have been developed, the cars are equipped with many sensors and powerful processing units. There are many studies related to provide cloud services to users by using available resources of connected cars. In this paper, we proposed a dynamic task size decision scheme that considers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a vehicle and a base station as well as available resources while allocating a proper task to each vehicle. Simulation results based on the proposed model show that a vehicle can complete its allocated task when we considers available resources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s.

Design of Monitoring System with Rapid Charger (급속충전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 Choo, Yeon-Gyu;Kim, Sung-D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762-765
    • /
    • 2011
  • 전기자동차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급속충전관련 기술 확보 및 시설확충에 관한 투자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다양한 급속충전 기술 중에서 공동 인프라용으로 적합한 방식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살펴보고, 급속충전시스템을 이용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 기타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해 BMS의 CAN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급속충전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BD-II Diagnosis Software on Common Rail Engine (커먼레일 엔진에서 OBD-II 진단 S/W 설계 및 구현)

  • Kim, Hwa-seon;Jang, Seong-jin;Jang, Jong-yu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321-324
    • /
    • 2013
  • 디젤엔진에서 노킹 현상은 엔진의 성능 및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인자이며, 엔진 밸런스 또한 엔진 출력 및 내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노킹 진단 및 엔진 밸런스 보정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ECU를 최적화 하고자 한다. 또한 OBD-II 표준을 사용하여 차량 위주의 진단기를 개발하여 운전자 중심의 진단 서비스를 제공하며, 자동차 고장진단 신호 및 센서 출력 신호를 실시간 통신이 제공 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자동차 고장진단 신호 및 센서출력 신호를 유선시스템과 무선 시스템인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실시간 통신이 제공 될 수 있는 OBD-II 진단기 S/W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for Car Signal Control System with Controller Area Network (CAN) Communication Protocol (Controller Area Network(CAN) 통신 프로토콜에 의한 자동차 신호제어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정차근;신희준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1.05a
    • /
    • pp.195-19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최근 그 응용이 증가하고 있는 CAN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차량내 network개념을 도입하여 차내 각종 전기신호와 센서 입출력을 제어하는 통합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것을 간략히 기술한다. CAN시스템은 최대 1Mbps의 전송 비트율과 에러검출 및 에러영향의 시스템 내로의 한정 등의 기능이 뛰어난 높은 레벨의 통신 안정성을 가지면서 분산 실시간 제어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serial bus communication프로토콜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은 4개의 독립 제어시스템과 관련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어시스템간의 정보의 교환은 CAN통신 프로토콜에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자동차의 고급화와 함께 향후 실용화가 기대된다.

A design of vehicle diagnostic system with Windows Phone (윈도우폰을 이용한 실시간 자동차 진단 시스템 설계)

  • Park, You-Sin;Jang, J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10a
    • /
    • pp.499-502
    • /
    • 2011
  • The advances in Information Technology have made examining the condition of vehicles possible with using various functions of a Smart Phone. Users have not realized the necessity of auto diagnosis system, for previous system required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vehicles. Because of this inconvenience, special system which is easy to use and quick to grasp its condition by smart phone is asked for users. In this research, auto diagnosis system is designed in Windows Phone. The replacement cycles for auto consumables, examining vehicle problems, and information of eco driving indicator are delivered in real time for auto drivers by using OBD-II information which is through wifi module in OBD-II protocol adaptor connector.

  • PDF

Safety Service Design and Development using V2V (차량통신을 활용한 안전 서비스 설계 및 구현)

  • Lee, Bo-Won;Lee, Su-Kyng;Park, Eun-Mi;Park, Ji-Hye;Shimelis, Sisay;Baidya, Samanjana;Paul, Anand;Lee, Jae-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11a
    • /
    • pp.226-229
    • /
    • 2013
  • ITS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교통 분야에 관련한 서비스들이 제시되고 있다. 최근 V2X 기술은 기존 자동차 또는 도로 인프라에 IT기술이 접목되는 IT 융합 기술 중 하나이며, 주요 자동차 선진국들과 메이커들은 차세대 자동차 기술 중 하나로 생각하고 있다. 또한 국제적으로 차량 간 통신을 이용한 국가 프로젝트 및 서비스가 제안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안전 서비스에 대한 시나리오가 많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 간 통신을 활용하여 안전 서비스 설계 및 구현을 제시한다. 이 시나리오 구현 결과 운전자, 보행자 모두 안전 할 수 있는 방법을 보인다. 향후 차량 통신이 실제 차에 적용되었을 경우 고려해야 할 결과를 결론에서 제시하였다.

Addressing Big Data solution enabled Connected Vehicle services using Hadoop (Hadoop을 이용한 스마트 자동차 서비스용 빅 데이터 솔루션 개발)

  • Nkenyereye, Lionel;Jang, Jong-Wo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3
    • /
    • pp.607-612
    • /
    • 2015
  • As the amount of vehicle's diagnostics data increases, the actors in automotive ecosystem will encounter difficulties to perform a real time analysis in order to simulate or to design new services according to the data gathered from the connected cars. In this paper, we have conducted a study of a Big Data solution that expresses the essential deep analytics to process and analyze vast quantities of vehicles on board diagnostics data generated by cars. Hadoop and its ecosystems have been deployed to process a large data and delivered useful outcomes that may be used by actors in automotive ecosystem to deliver new services to car owners. As th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s involved to guarantee safety, reduce rate of crash and injured in the accident due to speed, addressing big data solution based on vehicle diagnostics data is upcoming to monitor real time outcome from it and making collection of data from several connected cars, facilitating reliable processing and easier storage of data collected.

Trends of State-of-the-art IT Technologies and Industrial Standardization Applied to Smart Car (스마트카 적용 첨단 IT기술 및 산업표준 동향)

  • Han, T.M.;Park, M.R.;Cho, J.H.;Lee, J.H.;Sung, K.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9 no.5
    • /
    • pp.9-17
    • /
    • 2014
  • 기존 자동차산업은 안전성과 편리성을 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여 기계장치에서 전자장치로 변화하고 있다. 최근 IT기술과 산업 간 융합이 활발한 가운데 자동차 IT부문에도 각종 첨단 IT기술이 접목되면서 운전자의 안전 및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스마트카(Smart Car)로 진화하고 있다. 스마트카는 인포테인먼트와 텔레매틱스 뿐만 아니라 전기 전자시스템이 합쳐진 자동차로 사고 예방을 위한 첨단센서와 컴퓨팅기술, 차량주행 관리기술 및 음성인식기술 등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스마트카에 적용되는 첨단 IT기술과 최근 스마트카에 적용되는 첨단 자동차-IT 융합기술 및 서비스와 자동차 전자장치용 소프트웨어 표준 플랫폼인 AUTOSAR(AUTomotive Open System Architecture)의 표준동향 및 이슈를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Vehicle's Sensor Signal Monitoring and Control Using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and Web-based Embedded System (지그비 무선통신과 웹 기반의 임베디드 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차 센서신호 감시 및 제어에 관한 연구)

  • Yang, Seung-Hyun;Lee, Suk-W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0 no.1
    • /
    • pp.67-74
    • /
    • 2009
  • In this paper, we constructed Embedded web-server to be monitored and controlled for intelligent vehicle on the base of embedded system and Zigbee wireless communication. By interfacing main controller and embedded system with ECU including every information of vehicle,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cruising information of vehicle, and sensor signal added to inside and outside of vehicle is transferred to embedded system through Zigbee communication. Web-server is constructed using embedded system, that's why the access to vehicle is possible using PC or mobile instrument, and the real-time check and control of vehicle is possible as well.

Design of Message Sending & Receiving Mechanism for Internal Communication of OSEK COM (OSEK COM의 내부 통신을 위한 메시지 송수신 메커니즘 설계)

  • Rim, Seong-Rak;Lee, Woo-You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441-443
    • /
    • 2011
  • OSEK COM은 OSEK/VDX에서 제안한 자동차 ECU의 태스크 간 통신 규약이다. 본 논문에서는 OSEK COM의 규약을 준수하는 내부 통신을 위한 메시지 송수신 메커니즘을 제시한다. 제시한 메커니즘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ARM 프로세서가 탑재된 EZ-AT7에서 태스크 간의 정상적인 내부 통신 동작 상태를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