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동조종

Search Result 16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Control Loading System (시뮬레이터의 조종감 제시기)

  • 윤석준
    • ICROS
    • /
    • v.7 no.6
    • /
    • pp.10-1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훈련용과 연구용 시뮬레이터들에서 차량조종 및 자동조종(autopilot) 시스템들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기술들을 소개한다. 여기서 언급하는 차량 조종 시스템들은 고정익기와 회전익기의 비행제어시스템은 물론 지상차량의 조종 시스템들을 모두 포함한다. 본 논문은 다양한 유형의 비행 및 지상차량 조종 시스템들에 대한 검토로 시작된다. 다음으로 차량조종 및 자동조종 시스템들의 시뮬레이션과 모델링, 조정 부하(control loading)라 통상 일컫는 조종감(control feel)의 시뮬레이션, 조종계통 모델링툴 시스템 통함 및 시스템 성능 비준 등의 주요 주제들이 이어진다.

  • PDF

The Analysis of the Robustness of the Autopilot for the UAV (무인비행체 자동조종장치의 강건성 해석에 관한 연구)

  • Lim, Ho;Park, Chong-Ku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E
    • /
    • v.39 no.4
    • /
    • pp.350-354
    • /
    • 2002
  • In this paper, we designed an autopilot of the unmanned piloted vehicle to guide to the specific position, and analyzed robustness of the designed autopilot. We divide an aircraft velocity into the three case which are low, cruising and high speed, and designed autopilot gains are gain scheduled. We generated the turbulence for the operational altitudes and proved robustness of the designed autopilot for the turbulence using simulation.

자동 비행 조종 장치 기술 동향

  • 송찬호
    • ICROS
    • /
    • v.3 no.2
    • /
    • pp.14-19
    • /
    • 1997
  • 현존하는 비행체는 항공기에서 유도탄에 이르기까지 실로 그 종류가 다양하지만 대부분 비행체 운동 제어라는 공통된 기능과 특성을 갖는 자동비행조종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자동비행조종장치의 기술동향을 주로 Software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Radiocontrolled Airplane Controller for Leisure Industrial (무선조종 모형비행기의 제어기 개발)

  • 김종훈;양승현;이석원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1.11a
    • /
    • pp.163-165
    • /
    • 2001
  • 본 연구개발은 입력된 항로를 스스로 비행하며 사진 촬영, 국토 및 환경을 감시ㆍ관리할 수 있는 지능형 무인 비행 시스템 개발을 위한 레저 산업용 무선 조종 모형 비행기에 관련된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상업화를 위한 전 단계의 시작품을 제작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무선 조종 비행 관련 데이터를 확보 및 습득하고, 이의 활용으로 표준조종 기술을 확립하도록 했다. 또한, 자동 비행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자동 비행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했으며, 확보된 비행기술을 데이터화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수행한 정보를 프로그램화하여 자동 비행을 하도록 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이용하여 서보모터를 구동할 수 있는 제어기를 개발하였다.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itch Autopilot Flight Control Law (세로축 자동조종 비행제어법칙 개선에 관한 연구)

  • Kim, Chong-Sup;Hwang, Byung-Moon;Lee, 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6 no.11
    • /
    • pp.1104-1111
    • /
    • 2008
  • The supersonic advanced trainer based on digital flight-by-wire flight control system uses aircraft flight information such as altitude, calibrated airspeed and angle of attack to calculate flight control law, and this information is measured by IMFP(Integrated Multi-Function Probe) equipment. The information has triplex structure using three IMFP sensors. Final value of informations is selected by mid-value selection logic to have more flight data reliability. As the result of supersonic flight test, pitch oscillation is occurred due to IMFP noise when altitude hold autopilot mode is engaged. This tendency may affect stability and handling quality of an aircraft during autopilot mode. This paper addresses autopilot control law design to remove pitch oscillation and these control laws are verified by non-real time simulation and flight test. Also, pitch response characteristics of pitch attitude hold autopilot mode is improved by upgrading the control law structure and feedback gain tuning during bank turn.

비행선의 정점체공 모드 자동조종장치 예비설계

  • Ryu, Hyeok;Tunik, Anatol A.;Kim, Seong-Pil;Ju, Gwang-Hyeok;Ahn, Iee-Ki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 no.1
    • /
    • pp.11-21
    • /
    • 2003
  • This paper deals with preliminary design results of autopilot for station keeping mode of airship. Linear equations of motion for the airship are derived. Basic architecture of the control laws for cruising and station keeping modes are proposed. Performance analysis results show that autopilot design for station keeping mode of airship is feasible.

  • PDF

Application of discrete stochastic optimal control system for aircraft autopilot design (항공기의 자동조종장치설계에 대한 이산확률최적설계의 적용)

  • 이상기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87.10b
    • /
    • pp.537-540
    • /
    • 1987
  • 항공기가 평형상태로 비행하는 도중 돌풍과 같은 외부교란을 만난 교란상태운동은 선형화된 미분방정식으로 표현되며 비교적 짧은 비행시간동안의 비행은 선형시 불변계가 된다. 돌풍은 Gauss-Markov확률과정으로 모델링 되며, 항공기가 돌풍을 만난 교란상태운동은 시스템론적으로 보면 백색잡음이 성형필터를 거쳐 계에 입력되는 것과 같다. 초기의 설계방법은 고전적인 주파수영역에서의 해석방법을 사용하였으나 1960년대에 최적제어이론이 도입되면서 평가함수를 사용하여 원하는 비행특성을 얻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었다. 그 후 계에 입력되는 외란과 측정시의 잡음으로 인한 불확실한 측정량으로부터 최적상태변수의 추정을 위해 필터링이론을 도입한 확률제어이론을 적용하여 자동조종장치를 설계하게 되었다. 이때까지는 연속제어계로 설계되었으며 그 후 측정신호를 샘플링하여 연속제어계와 등가의 이산제어계를 사용한 자동조종장치가 등장하였으며 이 경우 설계기법으로는 연속제어계를 사용하고 실현시킬 때는 디지털컴퓨터를 사용하였다. 이는 제어하는 동안 계의 계수와 제어법칙을 바꾸어 줄 수 있는 이산제어계의 장점을 이용하지 못하므로 처음부터 계를 등가의 이산계로 보고 제어계를 설계하는 방법이 도입되었다. 이 때 샘플링간격의 결정과 Quantization 영향이 설계시 고려되어야 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the Aircraft Autopilot System Simulator based on VOR/DME System (VOR/DME 시스템 기반의 자동 조종 시스템 시뮬레이터 구현)

  • Lee, Dong-Kyu;Lee, Sang-Chul;Oh, Hwa-S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8 no.6
    • /
    • pp.564-569
    • /
    • 2010
  • VOR/DME is the short range radio navigation system for much of the world. The navigation with VOR/DME is used for a long time because of its reliability. It can be used for almost all civil aircraft. To simulate the small aircraft's autopilot system based on VOR/DME system, we developed a simulator by using SIMULINK. The output panel of the simulator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ckpit instrument of an actual aircraft.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simulator several scenarios were planned. And we showed that the simulator performed well.

Implementation of UAV with Automatic Navigation Flight (자동항법비행이 가능한 무인기의 구현)

  • Park, Myeong-Chul;Kim, Dong-Hee;Lee, Seung-Woo;Lee, Gyu-Y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279-280
    • /
    • 2018
  • 본 과제는 비행체에 자동제어 시스템인 자동항법비행기능을 탑재한 무인기를 제작한다. 자동항법비행이 가능한 무인기는 사람이 직접 조종하는 기존의 비행체들 보다 정밀하고 섬세한 제어가 가능하며 조종자의 시야가 닿지 않는 곳에서의 비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공에서 영상을 촬영하며 5.8GHz대역의 영상 송 수신기를 통한 실시간 영상 확인이 가능하다. 본 과제는 GPS를 이용한 프로그래밍을 통해 미리 지정한 좌표를 따라 비행이 가능하며 실시간 영상 수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 갈 수 없는 오염된 지역 등의 정찰이 가능하고, 비행체에 장착되는 장비에 따라 군용, 소방용 등의 다양한 범위에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무인항공기의 제어기술개발 동향

  • Gang, Yeong-Sin;Park, Beom-Jin;Yu, Chang-Seon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4 no.2
    • /
    • pp.55-67
    • /
    • 2006
  • 20세기에 탄생한 동력비행기는 인간의 이동능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켰다. 인류의 미개척지였던 항공분야의 발전은 지속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더 빨리, 더 멀리, 더 높이 향하기 위해서 계속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와중에 최근에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룬 컴퓨터와 소프트웨어 산업의 발전은 비행임무에 따라 위험성이 높거나, 사람이 하기 힘든 반복적이고 지루한 비행을 대신하기위한 로봇 비행체 즉, 무인항공기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였다. 무인항공기의 탄생 초기에는 조종사의 희생을 줄이기 위해 군사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나, 산림감시나 해안정찰, 기상관측, 재난관측, 조난자 수색 등 민수분야의 임무로 점차 활동영역이 넓혀지고 있다. 현재 무인항공기에 탑재된 인공지능의 수준은 안정된 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조종(autopilot)과 주어진 비행경로를 추종하기위한 항법유도(Navigation & Guidance)정도이며, 비행 중 발생하는 비상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의사판단은 지상의 조종자에 의해 결정된다. 앞으로는 계획되지 않은 상황을 맞이했을 때 무인기 스스로 판단하여 경로를 변경하고, 동시에 여러 무인기들과 협력하여 임무를 수행함으로써 임무효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인공지능의 수준이 향상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의 무인항공기 개발추세와 이들 무인기에 고려되고 있는 제어기에 대해 살펴보고, 향후 무인항공기에 적용될 자율비행 알고리듬과 제어기 시스템의 개발동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