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동기상관측시스템

Search Result 6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System Networking for the Monitoring and Analysis of Local Climatic Information in Alpine Area (강원고랭지 농업기상 감시 및 분석시스템 구축)

  • 안재훈;김기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Conference
    • /
    • 2001.06a
    • /
    • pp.61-64
    • /
    • 2001
  • 대관령 인근 고랭지는 표고가 높아 여름철에도 서늘하여 오래 전부터 씨감자와 호냉성원예작물의 주산지로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저온기후자원을 이용하여 농업활동이 이루어지는 고랭지는 산지의 특이한 지형조건 때문에 날씨변화가 심하고 이에 따른 작물피해가 잦다. 기상청 자동기상관 측장치(automated weather station : AWS)가 일부 지점에 설치되어 있으나 기온과 바람 강우량만이 관측되고 있어 농업적인 이용에는 한계가 있다.(중략)

  • PDF

OWL OS(운영 및 제어시스템) 개발

  • Park, Seon-Yeop;Im, Hong-Seo;Jo, Jung-Hyeon;Bae, Yeong-Ho;Park, Yeong-Sik;Mun, Hong-Gyu;Choe, Yeong-Jun;Park, Jang-Hyeon;Kim, Tae-Hun;Park, Hui-Seon;Jin, Ho;Lee, Jeong-Ho;Geum, Gang-Hun;Choe, Jin;Kim, Jae-Hyeo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215.2-215.2
    • /
    • 2012
  •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체계(OWL: Optical Wide-field Patrol)는 전세계에 5개의 50cm급 자동 망원경과 1개의 2m급 망원경을 설치하여 인공위성의 궤도 정보를 얻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을 운영하게 될 소프트웨어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해외 원격지에 설치되는 관측소의 50cm급 망원경의 마운트와 검출기, 돔, 기상 측기, 전원 제어 장치를 통합하여 무인으로 관측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본부에 보고하며, 각 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SOS(Site Operating System)와, 스케줄러에 의하여 각 관측소에 필요한 관측 일정을 작성하여 전달하고 관측소의 운영 현황을 모니터링 하는 NOS(Network Operating System)로 구성된다. OWL OS를 위하여,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운영하는 운영 시나리오를 설계하였으며, 이 시나리오에는 기상조건 악화와 장비 오류 등의 경우에 시스템을 보호하고 상황을 즉시 보고하는 비상사태 대처 방안을 포함하였다. 이러한 운영의 모든 단계에서 주기적 또는 필요시 로그 기록이 남도록 하였으며, 이 로그 기록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원할 때에 본부에서 운영상황을 요약하여 보여주는 각종 통계 자료를 작성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Meteorological Information Analysis Algorithm based on Weight for Outdoor Activity Decision-Making (야외활동 의사결정을 위한 가중치 기반 기상정보 분석 알고리즘)

  • Lee, Moo-Hun;Kim, Min-Gy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3
    • /
    • pp.209-217
    • /
    • 2016
  • Recently, the outdoor activities were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economic growth and improved quality of life. In addition, weather and outdoor activities are closely related. Currently, Outdoor Activities decisions are determin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or's forecasts and subjective experience. Therefore, we need the analysis method that can provide a basis for the decision on outdoor activities based on meteorological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that can analyze meteorological information to support decision-making outdoor activities. And the algorithm is based on the data mining. In addition, we have constructed a baseball game schedule with automatic weather system's observation data in the training data. We verified the improved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Production System of Agricultural Weather Information Using the Biosphere-Atmosphere Transfer Scheme (BATS) (지표대기모형 BATS를 이용한 농업기상정보 자동산출시스템 개발)

  • Shin Hyun-Cheol;Suh Ae-Sook;Lee Sun-Mi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 no.2
    • /
    • pp.135-141
    • /
    • 1999
  • The information on agricultural weather over the Korean Peninsula was produced, using the Bio-sphere-Atmosphere Transfer Scheme(BATS). We modified the input and output portions of BATS such that the whole processes can be excuted as a package. Based on this approach, automatic production system of agricultural meteorology information was developed. The results of this model was compared with the observed data.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odel results and observed data for surface temperature, rooting zone temperature and top soil temperature were 2.0$^{\circ}$C, 2.0$^{\circ}$C and 2.6$^{\circ}$C, respectively.

  • PDF

Unmanned Multi-Sensor based Observation System for Frost Detection - Design, Installation and Test Operation (서리 탐지를 위한 '무인 다중센서 기반의 관측 시스템' 고안, 설치 및 시험 운영)

  • Kim, Suhyun;Lee, Seung-Jae;Son, Seungwon;Cho, Sungsik;Jo, Eunsu;Kim, Kyura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4 no.2
    • /
    • pp.95-114
    • /
    • 2022
  • This study presented the possibility of automatic frost observation and the related image data acquisition through the design and installation of a Multiple-sensor based Frost Observation System (MFOS). The MFOS is composed of an RGB camera, a thermal camera and a leaf wetness sensor, and each device performs complementary roles. Through the test operation of the equipment before the occurrence of frost, the voltage value of the leaf wetness sensor increased when maintaining high relative humidity in the case of no precipitation. In the case of Gapyeong- gun, the high relative humidity was maintained due to the surrounding agricultural waterways, so the voltage valu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RGB camera image, leaf wetness sensor and the surface were not observed before sunrise and after sunset, but were observed for the rest of the time. In the case of precipitation, the voltage value of the leaf wetness sensor rapidly increased during the precipitation period and decreased after the precipitation was terminated. In the RGB camera image, the leaf wetness sensor and surface were observed regardless of the precipitation phenomenon, but the thermal camera image was taken due to the precipitation phenomenon, but the leaf wetness sensor and surface were not observed. Through, where actual frost occurred, it was confirmed that the voltage value of leaf wetness sensor was higher than the range corresponding to frost, but frost was observed on the surface and equipment surface by the RGB camera.

Development of Urban Flash Flood Warning System Using X-band Dual-Polarization Radar (X-밴드 이중편파 레이더를 이용한 도시 돌발홍수 경보시스템 개발)

  • Lee, Dong-Ryul;Jang, Bong-Joo;Han, Myung-Sun;Hwang, Suk-Hwan;Noh, Hui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1-21
    • /
    • 2017
  • 최근 서울, 부산, 울산 등에서 도시 돌발홍수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고 이에 따른 인명 손실 및 재산 피해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집중 호우의 대부분은 저고도 대기에서 생성 및 발달되며, 소멸까지의 시간은 2-3 시간에 불과하여 기존의 우리나라 수문기상 관측시스템은 이러한 유형의 강우량 예측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상, 재난 관련 정부 기관들이 저고도 수문기상 관측을 위한 도시형 X-밴드 레이더 네트워크 구축을 계획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보다 선행하여 돌발성 수문기상 재해연구를 위해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도입한 X-band 이중 편파 레이더 시스템을 이용하여 보다 간단하고 정확한 재난 감시 및 예경보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X-밴드 레이더 데이터로부터 추정된 정량적 강수량을 모니터링 하여 도시 지역의 돌발홍수를 자동으로 경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Google 어스 플랫폼을 사용하여 정확한 3D QPE-GIS 매칭 기법을 개발함으로써, 심각한 수문기상 현상이 발생하는 정확한 위치를 추적하고 직관적인 경보서비스를 가능케 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경보시스템은 레이더 데이터 분석도구, 위험결정 도구 및 위험경고 표시 도구의 세 가지 기술로 구성된다. 제안된 돌발홍수 경보시스템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X-밴드 레이더 데이터로부터 정량적 강수량이 계산되며, GIS 상에서 레이더 반사도 및 강우강도가 3차원 이미지 형태로 표시된다. 그런 다음 Google 어스에서 3D 큐브 블록으로 대표되는 강수량이 동시에 누적표출 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분석된 X-밴드 레이더 데이터로부터 지역별 누적 강수량을 업데이트 및 모니터링하고 기 설정된 돌발홍수 발생 한계치(trigger)에 도달하면 홍수경보 메시지를 표시한다. 향후, 제안된 경보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도구를 개선하면서 대규모 수문기상 레이더 네트워크로 광범위한 강우를 모니터링하면 전국적인 돌발홍수 경보시스템으로 확대가 가능하다.

  • PDF

Analysis of Peak Flow Changes Using the Measured Data (실측자료를 이용한 하천의 수위변화 분석 - 강원도를 사례로 -)

  • Bae, Sun-Ha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4 no.2
    • /
    • pp.1-13
    • /
    • 2011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water level using the measured data. During the rainfall event from September 9 to September 12, 2010, the rainfall and water level data were measured from automatic weather systems and automatic water level measurement systems which have been installed throughout Gangwon province.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peak flow change was different by basin and tributar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build a plan for preventing disasters and rainfall-runoff models for the river basins in Gangwon province.

최신 전자기술에 의한 항공기 전체 계통의 변화(2)

  • Lee, Sang-Jik;Byeon, U-Seo;Byeon, Jin-Gu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7 s.245
    • /
    • pp.38-47
    • /
    • 1999
  • 대기의 상태는 지역, 시간, 기상 조건 등에 따라 변하므로 고도를 계산하는데는 북반구 중위도 지방에서 관측된 기상자료 등을 기준으로 제정한 표준대기를 적용한다. 속도를 계산하는데 전압과 정압의 압력차로 정의하는 항공기용 대기속도계 차압표를 사용한다. 계산된 에어 데이터는 비행계기나 cockpit display에 표시되어 조종사에게 정보로 전달됨과 동시에 자동조종 장치, 관성항법 장치, 비행관리 시스템, 항공관리 트랜스폰더 등에 기초 자료로 공급된다

  • PDF

Radar rainfall estimation and accuracy verification according to rainfall types (강우유형에 따른 레이더 강우 추정 및 정확도 검증)

  • Gi Moon Yuk;Sang Min Jang;Kyoung Hun 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67-267
    • /
    • 2023
  • 최근 이상기상현상과 기후변화로 인하여 국지적인 집중호우의 빈도 및 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돌발 홍수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레이더는 넓은 영역에 대해 고해상도의 강우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위험기상 감시 및 실황 예측 모형의 입력자료로써 활용도가 높다. 레이더 강우량은 대기 중 강수입자에 대한 레이더 반사도와 강우강도의 Z-R 관계식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강우 추정 과정에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여름철 한반도의 집중호우는 층운형 강우와 함께 대류형 강우가 동반되는 복합적인 강우시스템에서 자주 발생하지만, 레이더 강우는 일반적으로 단일 강우시스템에 대한 고정된 Z-R 관계식으로 추정하므로, 이러한 현상에 대해 과대 추정 혹은 과소 추정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집중호우에 적합한 강우를 추정하기 위해 2021년 8월 21일부터 8월 25일까지 경남 호우사례를 대상으로 층운형, 대류형, 열대형의 Z-R관계식과 반사도 조건에 따라 층운형과 적운형을 구분하여 Z-R 관계식을 적용하여 레이더 강우량 자료를 산출하였으며, 지상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레이더 자료 처리를 위해 Radar Software Library (RSL)를 이용하여 수평으로 1km 해상도의 1.5km CAPPI (Constant Altitude Plan Position Indicator) 자료로 변환하였다. 레이더 강우 추정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레이더 지점으로부터 100 km 이내에 위치하고 있는 기상관서와 자동기상관측소의 강우관측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 PDF

Optimization of Z-R relationship in the summer of 2014 using a micro genetic algorithm (마이크로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2014년 여름철 Z-R 관계식 최적화)

  • Lee, Yong Hee;Nam, Ji-Eun;Joo, Sangw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6 no.1
    • /
    • pp.1-8
    • /
    • 2016
  •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has operated the Automatic Weather Stations, of the average 13 km horizontal resolution, to observe rainfall. However, an additional RADAR network also has been operated in all-weather conditions, because AWS network could not observed rainfall over the sea. In general, the rain rate is obtained by estim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dar reflectivity (Z) and the rainfall (R). But this empirical relationship needs to be optimized on the rainf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ptimize the Z-R relationship in the summer of 2014 using a parallel Micro Genetic Algorithm. The optimized Z-R relationship, $Z=120R^{1.56}$, using a micro genetic algorithm was different from the various Z-R relationships that have been previously used. However, the landscape of the fitness function found in this study looked like a flat plateau. So there was a limit to the fine estimation including the complex development and decay processes of precipitation between the ground and an altitude of 1.5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