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녀의 가사노동시간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the Mothers Satisfaction about Their Childrens Household Work Performance (자녀의 가사노동 수행에 대한 어머니의 만족에 관한 연구)

  • 차성란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9 no.1
    • /
    • pp.17-31
    • /
    • 2001
  • This study purposed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act of a number of family and household work variables on childrens household work performance and their mothers satisfactions on that.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39 mothers and their children respectively living in Daejeon. Data were analys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1) A childs household work was influenced by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health status, a childs sex, her expectation on the childs household work performance, and the grade. (2) Mothers satisfaction on the childs household work was most influenced by the length of household work time and their spontaneity.

  • PDF

The Household Work Time Management Strategies on the Expanding Stage of the Family Life Cycle of Homemakers (확대기 가정주부의 가사노동 시간관리 전략)

  • 채옥희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1
    • /
    • pp.88-98
    • /
    • 1995
  • 본 연구는 확대기 가정주부의 가사노동 시간관리 전략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부의 가사노동시간은 1일 평균 6시간정도로서 80년대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변수는 주부 의취업여부와 가족수이다. 둘째, 가사노동시간관리전략은 주부의 교육수준, 취업여부, 첫자녀나이, 월 총소득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가사노동 시간관리전략의 하위영역인 가족성원간의 분담화는 주부의 취업여부, 첫 자녀나이, 가족수에 따라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가사노동 계통화에서는 가사노동 시간관리 전략의 하위영역중 가장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냈으나 변수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가사노동 간소화는 주부의 교육수준, 취업여부, 결혼지속년수, 주거형태, 가족수, 월총소득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난것으로 보아 대다수의 주부들이 가사노동을 간소화시키려는 의지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가사노동 기계화는 주부의 교육수준, 월 총소득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탄났다. 세째, 가사노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가사노동시간관리전략은 간소화, 사회화 및 분담화로서 가사노동시간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계통화와 기계화는 가사노동 시간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전략으로 나타났다.

  • PDF

Factors Affecting Role Division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Housework and Childcare Time: Changes in the Work and Commute Times of Dual-Income Couples Engaging in Childrearing in Japan after the COVID-19 Pandemic (부부간 역할분담과 가사 및 자녀돌봄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일본 자녀양육기 맞벌이 부부의 노동시간 및 통근시간 변화를 중심으로-)

  • Lee Sujin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 /
    • v.27 no.1
    • /
    • pp.53-65
    • /
    • 2023
  • This study focused on Japanese families engaging in childrearing to discover changes in their daily lives, such as in the role division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hours spent on housework and childcare, caused by the unexpected crisis of COVID-19. An empirical analysis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chang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such as working and commuting hours, affected the role division between husband and wife, as well as housework and childcare hours spent. The data analyzed were extracted from the 2021 "3rd Survey on Changes in Lifestyle Awareness and Behavior Due to the Impact of COVID-19" conducted by the Japanese Cabinet Office. A total of 983 couples aged 20 or older, living with their spouse, having at least one child under the age of 18, and both employed were selected.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ivision of roles between husband and wife changed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husband's role in housework and childrearing. Second, the decrease in working and commuting hours increased the husband's role. Third, housework and childcare hours were more clearly related to changes in the working environments of husbands and wives than to changes in role division between husband and wife. In conclusion, changes in men's working and commuting hours had a greater impact on role division, as well as housework and childrearing hours in the family, than changes in women's working and commuting hours. In the future, an analysis that considers labor market factors is necessary.

Determinants of Householdwork and child Care Time of Wives and Housbands (부인과 남편의 가사 및 육아시간 결정요인 연구)

  • 허경옥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2
    • /
    • pp.90-105
    • /
    • 1994
  • 본 연구의 기본적 취지는 부인과 남편의 가사와 자녀 양육노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가사분담 및 육아시간 설명에 유용하게 쓰여온 다양한 관점의 이론을 도입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입된 이론은 경제적 효율가설(Economic Efficiency), 수요 및 실행가능가설 (Demand/Response Capability), 성 역할관념가설(Sex-Role Ideology), 그리고 상대적 자원가설(Relative Resources)이다. 이 가설들로부터 유출된 대용변수들의 부인과 남편의 가사와 육아시간에 미치는 효과가 검증되었는데 이 변수들은 임금률 부부간의 임금률 비율 노동시 장에서의 근로시간 어린자녀 수 성별에 따른 역할에 대한 사고관, 소득, 부부간의 상대적 소 득수준 교육수준 직업 연령 가족형태, 인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는 1988년 미국 위스콘신 대학 (메디슨)내의 인구 및 생태국(Center for Demography and Ecology)에서 실시한 전국 가족 및 가계조시(National Survey of Families and Households)이다. 부인과 남편의 가사 및 육아 시간량을 설명하는 이론의 효과검증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역할 관념가설을 부인과 남편모두의 가사 및 육아노동 시간을 잘 설명하는 가설로 나타났고 수요 및 실행가능성가설은 남편보다는 부인의 가사와 육아시간에 더 설득력있는 가설임이 밝혀졌다. 대체적으로 경제적 효율가설과 상대적 자원가설의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요 및실행가능가설이 남편의 총가사시간을 설명하는 효과는 크지 않았으나 남편의 여성중심형 과업시간에는 유의마한 변수로 나타난 것은 주목할 만하다.

  • PDF

농촌여성의 노동실태와 복지수준

  • 최덕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1999.07a
    • /
    • pp.49-64
    • /
    • 1999
  • 농촌생활의 질의 풍요로움을 연구하기 위한 일환으로 농가 생활경영을 시점으로 한 농업겨영과 농가주부의 관계, 가사운영과 가계관리를 중심으로 살펴 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경영과 주부와의 관련에 대해 우선 열거할 수 있는것은 생산 노동력의 분담상황에서의 주부노동의 실태이다. 전체평균에서 78.1%의 주부가 남편과 함께 기간노동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농업생활에서 주부의 역할리 매우 큼을 단적으로 지적해 주는 것이었다. 그리고 종사하는 종작업과 경영 참여의 내용은 다양하다. 그 결과 시간적으로 본 주부 담당의 가사작업은 농번기와 농한기의 시기에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계관리상의 문제점으로 자녀의 교육비나 교제비의 부담이 거론되었고, 수입의 불규칙, 빚과 부채의 부담이 큰 문제로 지적되었다. 셋째, 가정생활의 만족도, 지역생활의 만족도는 모두 만족과 불만의 중간을 보였다. 가정생활에서의 만족도에서 평균점 보다 낮은 항목은 가족 동반의 식사, 부부대화, 내구소비재의 순이었고, 지역생활환경에 관하여는 보건소, 병원에 관하여는 불만족스러운 대답을 보였다. 넷째, 농작업의 효율화 대책은 기계화, 조직화, 공동화, 작업의 계획화이었으며, 가사노동에 있어서는 "주부의 농작업 감량대책"과 함께 "가족의 협력에 의한 가사분담","가족이 신변의 것을 스스로 한다","가사작업의 계획화"등이 요구되어진다.

  • PDF

The Effects of Increase in Childcare Subsidy on Time Allocation of Women -Focusing on Low-income and Moderate-income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보육료 지원 확대가 여성의 생활시간 배분에 미치는 영향 -미취학자녀가 있는 중하위소득 가구의 여성을 중심으로-)

  • Byun, Geumsun;Heo, Yongcha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6 no.2
    • /
    • pp.101-125
    • /
    • 2014
  •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crease in childcare subsidy on time allocation of women, particularly low- and moderate-income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For the purpose, the study adopts seemingly unrelated tobit and analyses data from the 2004 and 2009 Time Use Survey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irst of all, the results reveal that the policy changes in childcare subsidy affect time allocation of low- and moderate-income women with pre-school children, which increases paid-work whereas decreases caregiving and housework in a daily life. The results show that the changes take place in accordance with the goals of childcare subsidy promoting women's employment and reducing women's burden of caregiving. Yet the study has a couple of limitations- the only marginally significant impact in several variables, little effect on time allocation of all women- for the generalization of the findings. Nevertheless, the results indicate that employment policies for women, particularly for mothers, and the provision of childcare services should be improved to maximize the positive effects of increase in childcare subsidy.

  • PDF

Husband's Time Spent Structure and Husband and Wife's Perceptions of the Family Life Problem (남편의 생활시간구조와 가족생활시간에 관한부부의 지각)

  • 이기영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2 no.1
    • /
    • pp.145-160
    • /
    • 1994
  • 이 논문의 목적은 남편의 장시간노동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는 실정에서 남편이 직업노동과 관련해서 소비하는 시간이 어느정도나 되며 이것이 다른 생활시간배분에 어떤 영향을 주고 또 가정생활시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해보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1) 남편의 총직업노동시간의 실태를 보면 평일 11시간 43분 토요일이 8시 간 21분 일요일이 1시간 13분으로 나타났다 평일 직업노동시간을 5집단으로 나누어 다른 생 활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직업노동시간이 긴 집단이 짧은 집단에 비 해서 다른 모든 생활시간- 생리적, 가사적, 사회문화적 시간-에 소비하는 시간이짧은 것으 로 나타났다 . 2) 남편의 장시간노동으로 인한 가정생활문제에 대한 지각에 있어서는 남편 은 주로 자신의 피로회복문제나 스포츠.여가시간 부족문제 생활의 여유가 없다는 문제 가 족단란시간 부족문제 자녀와의 접촉시간 부족문제 등을 심각하다고 지각하고 있었고 부인은 남편의 건강염려 남편의 자녀접촉시간 부족 가족단란시간 부족 남편과 취미 스포츠를 할 시 간 부족 부부간 대화시간 부족등이 문제가 된다고 지각하였다 3)남편의 장시간노동으로 인 한 가정생활문제에 대한 지각은 남편의 경우에는 연령 부인의 취업여부 막내자녀연령, 직업 노동시간, 직업노동시간에 대한 태도에 따라서 부인의 경우에는 연령, 부인의 취업여부, 막 내자녀연령, 남편의 직업노동시간에 대한 태도, 성역할태도 따라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The Choice of Self-Employment and Career Interruption Among Females (여성의 자영업 결정요인과 경력단절 가능성)

  • Sung, Jaimie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25 no.1
    • /
    • pp.161-182
    • /
    • 2002
  • The self-employment can provide work time flexibility. Work time flexibility would be a critical factor for married females' labor supply considering allocation of their time to market work and household work. This study used the 1998 and 2000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 for the empirical analyses. Applying the bivariate probit model with partial observability, this study analyzed factors related to the choice of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and choice of self-employment.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rriage and the presence of younger children on changes in decisions related to labor supply using the multinomial logit model: exit from the labor market, increasing and decreasing work hours. The presence of the younger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while positive, but insignificant, effect on self-employment. Compared with females working for others, self-employers without employees and unpaid family workers are less likely to exit labor market rather than increasing work hours. The self-employment would be a good alternative to evade females' career interruption and therefore to enhance the potential human resources.

  • PDF

Determinant Factors of Time Allocation within Married Couple (부부의 시간배분 결정요인: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 Cho, Sungho
    • Journal of Labour Economics
    • /
    • v.39 no.1
    • /
    • pp.57-79
    • /
    • 2016
  • This study analyses determinant factors of time allocation within married couple using 2014 Time-use survey. Findings show that husbands spend less time on child care and housework than wives do. When wives have high income and young kids, husbands' time spending on child care and housework increases. Wives' time allocation is associated with husbands' income- wives' working time is negatively associated, but wives' housework tim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usbands' income. However, both wives' and husbands' income is not related to child care time. When wives' income increases, while, husbands' time spent on housework and child care increases. There are complementary relations within time allocation, but substitute relationships between wives' and husbands' housework time. In other words, if a wife works long hours, husband spends more time on housework, but if a wife or a husband spends on housework, her husband or his wife does not spends on it. However, findings of married couple time allocation for weekend shows different patterns from weekday time use.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Married Women's Intention of Childbirth (기혼여성의 출산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Un, Sun-Kyoung;Park, Hyo-J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4
    • /
    • pp.210-217
    • /
    • 2020
  • This paper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hildbirth intention of married women with the goal of analyzing whether times of spouses' housework, marital satisfaction, values of children and traditional gender role, and social services related to the reduction of low fertility contribute to women's intention to give birth. The respondents of the research were 1,000 married women,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482 women of childbirth inten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ge of sociodemographic factors has an influence on the childbirth intention. Related to family's character, factors influencing childbirth intention are number of children, times of spouses' housework, and marital satisfaction. In addition, emotional and instrumental values of children, number of recognized public services for reduction of low fertility. In other words, the more women share housework with spouses and satisfy their marital life, the more childbirth intention of women is increased. In order to improve childbirth intention, changes of perception of gender role and sharing housework, reinforcement of social system for work and family compatibility that convert changes of perception into action, advanced marital relationship programs, extensive support for subfertility and a huge build-up of social services related to reduction of low fertility need to b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