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nt Factors of Time Allocation within Married Couple

부부의 시간배분 결정요인: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6.02.01
  • Accepted : 2016.03.23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This study analyses determinant factors of time allocation within married couple using 2014 Time-use survey. Findings show that husbands spend less time on child care and housework than wives do. When wives have high income and young kids, husbands' time spending on child care and housework increases. Wives' time allocation is associated with husbands' income- wives' working time is negatively associated, but wives' housework tim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husbands' income. However, both wives' and husbands' income is not related to child care time. When wives' income increases, while, husbands' time spent on housework and child care increases. There are complementary relations within time allocation, but substitute relationships between wives' and husbands' housework time. In other words, if a wife works long hours, husband spends more time on housework, but if a wife or a husband spends on housework, her husband or his wife does not spends on it. However, findings of married couple time allocation for weekend shows different patterns from weekday time use.

본 연구는 "2014 생활시간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부부의 시간배분 결정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체로 남편의 육아 및 가사시간은 아내에 비하여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내의 임금이 높고, 어린 자녀가 있을 경우 남편의 육아 및 가사시간이 증가하였다. 아내 시간배분의 경우는 주로 배우자(남편)의 임금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남편의 임금이 증가할수록 아내의 노동시간은 감소하며, 가사시간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육아시간은 아내와 남편 모두의 임금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내의 임금이 증가할 경우에 남편의 육아 가사시간이 같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시간배분의 상관관계에서 아내의 노동시간과 남편의 가사시간은 보완관계에 있었으나, 아내와 남편의 가사시간은 대체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곧 아내가 일을 많이 하여 생긴 가사일의 부족분을 남편이 채우게 되지만, 집안일을 부부의 누군가가 한다면 다른 한 쪽은 안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주말에는 이러한 관계가 크게 변하게 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정.김은지.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 - 교환 혹은 젠더보상?. 한국사회학 41 (2) (2007.4): 147-174.
  2. 김외숙, 이기춘. 시간사용연구에 관한 분석적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26 (3) (1988.9): 171-187.
  3. 성지미. 맞벌이 여성의 시간 분배 결정요인. 노동정책연구 6 (4) (2006.12): 1-29.
  4. 손문금. 맞벌이 부부의 무급노동분담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5 (2005.10): 239-287.
  5. 유소이, 최윤지. 성인남녀의 생활시간 실태 및 결정요인 분석 - 유급노동시간, 가사노동시간, 육아시간 및 여가시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3 (3) (2002.12): 53-68.
  6. 윤자영. 모의 시간 배분 결정요인 분석. 노동경제논집 33 (2) (2010.8): 27-52.
  7. 은기수. 한국 기혼부부의 가사노동분업. 한국인구학 32 (3) (2009.12): 145-171.
  8. 이기영, 이승미. 가정생활주기에 따른 도시근로자 가정주부의 생활시간 구조. 대한가정학회지 32 (3) (1994.8): 11-26.
  9. 조미라, 윤수경. 한국 기혼남성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연구 - 교육수준에 따른 격차를 중심으로 -. 한국가족복지학 44 (2014.6): 5-30.
  10. 조성호. 부부의 육아 및 가사 분담의 국제비교연구. 여성경제연구 12 (1) (2015.6): 163-187.
  11. 채옥희. 취업주부 가사노동의 시간관리전략.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 (1) (1997.3).: 13-26.
  12. 한경미. 취업주부의 가사노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7 (2) (1989.12): 1-13.
  13. 한경미. 취업주부의 시간사용과 영향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 (2) (1991.12): 171-190.
  14. 허수연. 맞벌이가구 여성과 남성의 가사노동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학 24 (3) (2008.9): 177-210.
  15. Addabbo, Tindara, Antonella Caiumi, and Anna Maccagnan. "Allocation of Time within Italian Couples: Exploring the Role of Institutional Factors and Their Effects on Households Wellbeing," CAPPaper n. 85, Febbraio, 2011.
  16. Becker, Gary S. "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The Economic Journal 75 (299) (September 1965): 493-517. https://doi.org/10.2307/2228949
  17. Becker, Gary S. A Treatise on the Family: Enlarged Edi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18. Bloemen, Hans G. and Elena G. F. Stancanelli. "How Do Spouses Allocate Time: the Effects of Wages and Income." THEMA working papers 2008-40, 2009.
  19. Bloemen, Hans G., Silvia Pasqua, and Elena G. F. Stancanelli.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Time Allocation of Italian Couples: Are They Responsive?" Review of Economics of the Household 8 (September 2010): 345-369. https://doi.org/10.1007/s11150-009-9083-4
  20. Chiappori, Pierre-Andre (1992). "Collective Labor Supply and Welfar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00 (3): 437-467. https://doi.org/10.1086/261825
  21. Gershuny, J. Changing Times: Work and Leisure in Post-industrial Societi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22. Gronau, R. "Leisure, Home Production, and Work - The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Revisited."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5 (6) (December 1977): 1099-1123. https://doi.org/10.1086/260629
  23. Kimmel, Jean and Rachel Connelly. "Mother's Time Choices: Caregiving, Leisure, Home Production, and Paid Work." Journal of Human Resources 42 (3) (Summer 2007): 643-681.
  24. Gupta, Nabanita D. and Leslie S. Stratton. "Institutions, Social Norms, and Bargaining Power: An Analysis of Individual Leisure Time in Couple Households." IZA DP No.3773, October, 2008.
  25. Pollak, Robert A. "Bargaining Power in Marriage: Earnings, Wage Rates and Household Production." NBER Working Paper No.11239, March 2005.
  26. Stancanelli, Elena G. F. and Leslie S. Stratton. "Her Time, His Time, or the Maid's Time: An Analysis of the Demand for Domestic Work." IZA DP No.5253, October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