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기 주도적 교수

Search Result 33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sign of a Web Based System for Self Directed learning (웹 기반 자기 주도적 학습 시스템의 설계)

  • 안성훈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 no.2
    • /
    • pp.1-9
    • /
    • 2002
  • In this paper, I design a web based system for self directed leaning. I search a teaching and teaming model for self directed teaming on web. I design a pertinent mood of system to carry out a teaching and teaming model. Also, I propose a Dan which a model d system use pertinently. If a web based system for self directed teaming is used on vacation, after school or actual learning, I expect that we take the effect of instruction.

  • PDF

An Implementation of a Stepwise Learning Model for Learner-based Solving of Mathematical Problems on the Remote Instruction (웹 기반 학습자 중심의 수학문제 풀이를 위한 단계학습 설계모형 개발)

  • 조우제;김태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752-757
    • /
    • 2001
  • 본 논문은 웹 상에서 자기 주도적 문제풀이 학습을 통하여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학교과의 학습목표 및 내용, 관련된 학습자료를 탐색하고, 교수자나 다근 학습자와 서로 상호작용을 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원격강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을 기초로 웹 기반 코스웨어 설계모형을 제시하고 학습자 중심의 실시간 수학문제 풀이 원격학습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는 웹 기반의 수학 코스웨어 및 텍스트 모드로 제작 설계되었으며 자기 주도적인 수학 문제 풀이 단계학습을 목적으로 한다.

  • PDF

Development of a Self Directed Learning System for the Course 'Computer' in Middle and High Schools (중등학교 컴퓨터 교과에 대한 자기 주도적 학습 시스템의 개발)

  • Kim, Heung-Hwan;Jeon, Soo-Jeo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8 no.1
    • /
    • pp.1-12
    • /
    • 2005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ourse 'computer' o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propose new organization of the course to enhance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We also develop a learning system for new organization, based on self-directed teaching and learning principles. The developed learning system makes students choose the topics according to their interest and advance learning by the schedule they set by themselves. To promote students' participation, the teacher also gives students various learning tasks. Through e-board and Q&A, we also accelerate mutual communication among teachers and students, to do teaching-learning activities vigorously.

  • PDF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eaching Method for Computer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을 위한 창의적 교수법 개발)

  • Ko, Jung-Rim;Kim, Jong-Ho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1a
    • /
    • pp.204-209
    • /
    • 2006
  • 지식을 스스로 찾아내고, 정리하는 능동적인 학습자 중심의 참여 교육이 강조되기 시작했기에 교육현장에서는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기존의 교수법이 아닌 새로운 창의적인 교수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컴퓨터 교육에 있어서 그와 같은 교수법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 초등학교의 컴퓨터 교수법의 실태를 분석하고, 실제 초등학교 현장의 교수 학습 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창의적 교수법을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준에 맞추어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래서 활동 결과 학생들이 컴퓨터 학습에 지속적으로 흥미를 갖도록 하며, 자기 주도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해 창의적 교수법을 개발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해 보고자 하는 교사들과 컴퓨터와 친해져서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하려는 초등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PDF

수학 개념의 자기 주도적 구성을 위한 교수 ${\cdot}$ 학습 모델 개발 - Cabri Geometry II와 MathView 활용을 중심으로 -

  • Park, Yong-Beom;Kim, Han-Hui;Park, Il-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9
    • /
    • pp.97-114
    • /
    • 1999
  • 새로운 세기의 수학 교육은 직관과 조작 활동에 바탕을 둔 경험에서 수학적 형식, 관계, 개념, 원리 및 법칙 등을 이해하도록 지도되어야 한다. 즉 학생들의 내면 세계에서 적절한 경험을 통하여 시각적 ${\cdot}$ 직관적으로 수학적 개념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상황과 대상을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을 활용한 자기주도적 수학 개념 형성에 적합한 교수 ${\cdot}$ 학습 모델을 구안하여 보았다. 이는 수학의 필요성과 실용성 인식 및 자기주도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상호작용적 매체의 활용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수학 교수 ${\cdot}$ 학습 이론을 근간으로 대수 ${\cdot}$ 해석 ${\cdot}$ 기하 및 스프레트시트의 상호 연계를 통하여 수학 지식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학습수행지를 제작하여 교사와 학생의 다원적 상호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omepage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홈페이지 설계 및 구축)

  • Jung, Kwang-Soo;Hong, Ki-Che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640-649
    • /
    • 2004
  • 최근 학교 현장에서는 전통적인 교수 학습 방법을 탈피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교수 학습 방법은 거스를 수 없는 정보화 사회의 새로운 교수 학습 모형으로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실 여건을 개선하고 교육과정이 요구하는 목표 달성을 위하여 학생들의 인터넷 사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커뮤니티 활동을 미니홈페이지라는 공간을 통해 교사와 학생 사이에 학습과 대화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ICT 활용 교육 커뮤니티를 구축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학습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으며 학생 자신이 주도적으로 학습 과제를 해결하는 학습과정으로 교수 학습 방법의 개선을 통하여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신장되도록 ICT 활용 교육을 활성화하여 ICT 활용 교육이 우리 학교 현장에 튼튼히 뿌리를 내리는 데에 기여하고자 HTML학습을 위한 홈페이지를 블로그툴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contents Management system for Self-Directed Learning Method (웹기반의 자기 주도적 학습 방식을 위한 콘텐츠 관리시스템 설계 및 구현)

  • Park, Su-Kyu;Jang, Hae-Suk;Lee, Jin-Kwan;Park, Ki-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0.07a
    • /
    • pp.503-506
    • /
    • 2010
  • 정보기술의 급격한 발달은 오늘날의 교육체계를 변화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끊임없는 지식습득과 평생교육이라는 모토로 학습자의 다양한 상황을 고려한 웹 기반 자기 주도적 학습기능을 가진 문제은행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자기가 원하는 학습과 자기 수준별 학습평가를 통하여 학습 습득률과 전달률을 높이고, 교수가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강조함으로써 교수와 학습자간의 신뢰성을 높이고 학습능률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인터넷이 되는 장소라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학습이 이루어지고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다양한 형태의 문제해결에 필요한 학습이 즉시 이루어 질수 있는 환경이 구현되도록 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courseware to extend self-learning ability in concrete operation age (구체적 조작기 아동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을 위한 웹기반 학습 프로그램의 설계와 적용 -초등학교 3학년 수학 '자료 정리하기' 단원을 중심으로-)

  • Lee, Dong-Gi;Lee, Jae-In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650-659
    • /
    • 2004
  •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을 육성하기 위하여 제7차 교육과정은 자율과 창의에 바탕을 둔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을 표방하고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신장에 역점을 두고있다. 이에 따라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신장을 위한 수학과 교수 학습 자료들이 제작되어 보급 활용되고 있으나 구체적 조작기 아동의 특성에 맞는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교과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 연구 사례들을 분식하여 나타난 단점들을 수정, 보완하고, 초등학교 '확률과 통계'영역 중 3학년 나 단계의 '자료 정리하기' 단원을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웹기반 학습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Problem-Solving Based and Self-Directed Learning System on Web (웹에서 문제 해결 기반 및 자기 주도적학습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 Kim, Kyung-Deok;Lee, Sang-Woo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7 no.7
    • /
    • pp.944-955
    • /
    • 2004
  • The modern society as a high-level information-oriented society lays a great emphasis on lifelong education. It emphasizes all the learners' creative learning ability and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as well. We need the self-directed learning to meet these requirements, and one of the solutions is the self-directed teaching-learning process employing the web. Though many educators, so far, developed a number of teaching materials, they are no more than web-based teaching materials for simple learning activities or simple item-bank systems. So, this paper suggests an problem-solving based and self-directed learning system on web in order to overcome such simplicities, and it show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Suggested learning system enables learners to get thinking skill though self-directed control of learning level after they learn the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on the web as self-directed learning. For example, the system was applied to mathematics education for a middle school students. It supports a test of questions chosen from the item bank in a self-directed way, and helps learners to understand their learning levels for themselves and to solve their questions through on-line discussions with their instructor. The system can also be helpful in improving the learners' learning effects by sharing mutual information through the data room or the Q&A between learners and learners or between learners and instructors.

  • PD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Learner-Learner Inter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온라인 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상호작용 및 수업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 Yoo, Jieun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v.63
    • /
    • pp.255-28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learner-learner inter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EM). Participants of the study consisted of 300 students (110 = high school students, 190 = college students). Through latent mean analysis (LM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tudy variables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groups. However, thorough multi-group analysi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a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for the college group via learner-instructor and learner-learner interactions, while learner-learner interaction played a full mediating rol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lass satisfaction for the high school group. In addi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a stronger influence on learner-learner interaction for the college group than the high school group. These results would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different mechanisms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online learning contex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