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기 공명 영상

Search Result 1,65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담췌관계의 자기공명영상의 최근경향

  • 김명진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1999.11a
    • /
    • pp.17-18
    • /
    • 1999
  • 최근까지 복부 자기공명영상은 간의 국소병변의 특성을 규명하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자기공명영상의 기법과 장비의 발달로 인해 그 적응증이 더욱 확대되어 가는 추세에 있고 , 특히 자기공명담췌관촬영술의 도입과 발전은 복부 자기공명영상의 적응증을 한층 넓히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와 함께, 2차원 또는 3차원 경사에코기법과 조영제를 병용하여 호흡정지 상태에서 자기공명혈관촬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되어 자기공명담췌관촬영술과 혈관촬영술을 복합하여 다양한 담췌관질환을 평가하는 데 이용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 강의 에서는 최근에 널리 사용되는 자기공명담췌혈관촬영술 또는 역동적 역상과의 복합적 사용의 유용성을 돌아보고자 한다.

  • PDF

전류주입자기공명영상기법을 이용한 은도 변화 측정에 관한 연구

  • 강현수;오석훈;이수열;조민형;우응제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2001.11a
    • /
    • pp.114-114
    • /
    • 2001
  • 목적: 열적인 방법으로 시술을 할 때 발생한 생체 조직의 온도 변화는 생체조직의 전기임피던스 변화를 야기하는데 이 전기임피던스 변화가 자기공명영상의 위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생체조직의 전기임피던스는 조직부위에 따라 다르나 온도계수가 평균적으로 -2%/$^{\circ}C$에 이를 만큼 온도에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여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자기공명영상의 위상을 계산하여 보았다. 그 결과를 토대로 0.3Tesla 자기공명영상시스템으로 팬텀을 촬영하여 자기공명영상의 위상을 구하였다.

  • PDF

1.5T 자기공명영상기기에서 수소 자기공명분광법을 이용한 모델용액 내 포도당의 정량분석 및 임상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 이경희;이정희;조순구;김용성;김형진;서창해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2001.11a
    • /
    • pp.173-173
    • /
    • 2001
  • 목적: 1.5T 생체용 자기공명영상기기를 이용한 수소자기공명분광법으로 용액 내 물질의 정량분석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0.01%에서 50%까지의 여러 농도를 갖는 포도당+증류수 혼합액의 모델용액을 만들어 생체용 자기공명영상기기와 시험관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분광기에서 각각 수소 자기공명분광법을 시행하여 스펙트럼을 얻었다. 또한 12명의 당뇨환자에서 방광내의 소변에 대해 생체용 자기공명영상기기에서 스펙트럼을 얻고 소변을 추출하여 시험관 NMR 분광기에서 수소자기공명분광법을 시행하였다 각각의 방법으로 얻은 스펙트럼 상에서 포도당 농도에 따른 포도당/물 피크의 면적 비의 변화를 구하였고, 통계처리는 상관분석과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회귀식을 산출하였다. 또한 생체용 자기공명영상기기를 이용하여 얻은 결과가 객관적인지 알아보기 위해 시험관 NMR 분광기에서 얻은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 PDF

전류주입 자기공명영상기법을 이용한 내부 전류밀도 영상에 관한 연구

  • 오석훈;이병일;강현수;우웅제;이수열;조민형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2001.11a
    • /
    • pp.115-115
    • /
    • 2001
  • 목적: 인체에 전류를 주입할 때, 내부의 전류밀도 분포는 인체 및 전극의 구조, 주입전류, 그리고 생체조직의 임피던스 분포에 의해 결정된다. 내부의 전류밀도 분포는 전류주입 자기공명영상기법에 의해 영상화할 수 있으며, 자기공명 전기임피던스 단층촬영법과 전자기 치료의 최적화 등에 응용할 수 있다. 본 논문은 3차원 팬텀 내부의 전류밀도 분포를 영상화하는 전류주입 자기공명영상기법의 실험결과를 기술한다.

  • PDF

Liver MRI Protocol (간의 자기공명영상 프로토를)

  • 김용우;이석홍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4 no.1
    • /
    • pp.1-6
    • /
    • 2000
  • Protocol이란 Dorland의 의학사전에 의하면 "어떤 술기의 절차에 대한 명백하고 상세한 계획서(an explicit detiled plan of a procedure)"로 정의된다. 그래서 liver MR imaging protocol은 간에 발생한 병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자기공명 영상술을 실시하는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지침서를 말하게 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병원에 따라 imaging protocol은 조금씩 다르다. 왜냐하면 자기공명영상 장비가 다르고, 적절한 펄스파형(pulse sequence)에 대한 통일된 안이 없기 때문이다. 자기공명영상술은 지금도 계속해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통용되는 영상 술기에 대한 자세한 지침은 곧 소용이 없게 된다. 그래서 본 소고에서는 간의 자기공명영상화의 병변의 특성화에 대한 기본적인 면에 더욱 중점을 두고 기술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of Internal Structure of Beef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소고기의 내부 구조 평가)

  • Kim, S. M.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4 no.6
    • /
    • pp.531-538
    • /
    • 1999
  • 비파괴 품질 평가 기술인 핵 자기공명 분광법과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소고기의 내부 구조를 분석하였다. 이완 상수 T$_1$과 T$_2$가 육류의 내부 구조와 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근육부분의 면적 비율이 증가할수록 T$_1$이 증가했다. 지방 부분의 T$_2$는 배 내부 부분의 T$_2$와 비슷한 값을 보였다. 자기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육류의 원하는 부위의 T$_2$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구하였다. 근육 부분의 T$_2$가 길었으며 지방 부분의T$_2$가 짧았다. 부위별로 최적의 신호를 얻을 수 있는 자기공명영상 인자 TR과 TE를 구하였다.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근육, 지방 그리고 뼈 성분에 따른 육류의 품질을 비파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및 확산텐서영상을 이용한 전음성 난청과 감각신경성 난청군의 비교 연구: 예비 결과

  • 이재준;황문정;이영주;김인성;배성진;장용민;이상흔;우성구;강덕식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2003.10a
    • /
    • pp.94-94
    • /
    • 2003
  • 목적: 기능적 자기공명영상과 확산텐서영상기법을 이용하여 전음성 난청과 감각신경성 난청에서의 뇌활성화 양상 그리고 청신경경로상의 차이점을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음성 난청군 (n=4)과 감각신경성 난청군(n=5) 그리고 정상군(n=5)에서의 기능적 자기 공명영상과 확산텐서영상을 획득하였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의 경우 1.5T Siemens MR scanner에서 BOLD 기법을 이용하여 500 Hz 순음 청각자극에 대한 뇌활성화 영역을 검출하였고 영상촬영시 발생하는 기계적 소음을 차폐하기 위한 청각자극기를 특별히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뇌백질신경로를 영상화하는 확산텐서영상은 3.0T GE whole body MR scanner를 사용하였으며 미세한 확산운동을 검출하기 위해 초고속 영상기법인 EPI 기법을 사용하였다. 영상의 화질을 높이기 위해 공간적으로 25개의 다른 방향으로 확산경사자장을 가하였다. 청신경로의 비등방성 영상, 신경로 방향 영상등을 구현하기 위해 획득한 확산영상들에 대한 영상 후처리과정을 시행하였다.

  • PDF

Nondestructive Internal Quality Evalu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농축산물의 비파괴 내부품질 평가)

  • Kim, S.M.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v.24 no.6
    • /
    • pp.523-530
    • /
    • 1999
  • 자기공명영상 (MRI)기법은 최근에 그의 이용 분야가 식품공학 및 농학 분야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MRI의 기본 원리를 알아보고 어떤 요인들이 자기공명영상의 명암을 결정하는지 알아 보았다. MRI를 이용하여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농축산물의 내부 구조 영상을 얻고 이로부터 토마토의 내부 공동, 감자의 공동병, 사과와 파파야의 멍, 버찌씨의 유무, 망고와 감자의 벌레에 의한 손상, 망고와 마늘의 내부 결함, 키위의 성숙도에 따른 변화, 그리고 소고기의 내부 구조 둥을 판별할 수 있음을 알아 보았으며 농축산물의 품질을 결정짓는 이러한 내부 요인들이 어떻게 자기공명영상을 형성하는지 알아 보았다. 대상 시료에 따라 적당한 자기공명영상 인자(TR과 TE)를 선택하여야 한다. 또한 특정 인자를 강조하기 위해서는 최적의 자기공명영상 인자를 선택하여야 한다.

  • PDF

A State-of-the Art MRI of the Lungs Using Hyperpolarized Gas

  • 이동훈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1999.11a
    • /
    • pp.19-25
    • /
    • 1999
  • 허파에 대한 수소 자기공명영상은 현재까지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허파의 조직과 비어있는 공간 사이의 심한 자화율(susceptibility) 차이로 인해서 영상왜곡 현상이 유발되어 그릇된 영상정보를 만들기 때문이다. 본 강좌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레이저 광펌핑 방법으로 초편극화된 비활성기체를 이용한 자기공명연구를 소개한다. 일반적인 자기공명 신호와 쳐편극화된 비활성기체를 이용한 자기공명 연구를 소개한다. 일반적인 자기공명 신호와 초편극화 기체를 이용한 신호의 차이와 물리적인 원리를 고찰할 것이다 . 비활성기체가 초편극화 되었을 때, 일반적인 자기공명의 경우에 (자기장: 1 Tesla, 온도는 $30^{\circ}C$의 열평형상태) 비해서 약 $10^{5}$ 정도의 magnetizaion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기체상태라는 점이 감안된다 해도 의미 있는 자기공명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비활성기체를 초편exchange 방법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가스를 편극화 시키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이들의 기본적인 원리와 두 방법의 장단점 등을 알아 볼 것이다. 더불어, 초편극화 정도가 외부자기장의 세기 차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다는 특성을 이용하는 경우, 비용을 최소화 하면서 고해상도의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이동성이 용이한 낮은 자기고명진단기가 가능한데 이에 대한 소개를 할 것이다. 그리고, 초편극화가스를 이용한 자기공명영상 연구의 현재 동향 및 미래에 대해서 논의한다.

  • PDF

Study of Motion Effects in Cartesian and Spiral Parallel MRI Using Computer Simulation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직각좌표 및 나선주사 방식의 병렬 자기공명 영상에서 움직임 효과 연구)

  • Park, Sue-Kyeong;Ahn, Chang-Beom;Sim, Dong-Gyu;Park, Ho-Chong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12 no.2
    • /
    • pp.123-130
    • /
    • 2008
  • Purpose : Motion effects in paralle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re investigated. Parallel MRI is known to be robust to motion due to its reduced acquisition time. However, if there are some involuntary motions such as heart or respiratory motions involved during the acquisition of the parallel MRI, motion artifacts would be even worse than those in conventional (non-parallel) MRI. In this paper, we defined several types of motions, and their effects in parallel MRI are investigated in comparisons with conventional MRI. Materials and Methods : In order to investigate motion effects in parallel MRI, 5 types of motions are considered. Type-1 and 2 are periodic motions with different amplitudes and periods. Type-3 and 4 are segment-based linear motions, where they are stationary during the segment. Type-5 is a uniform random motion. For the simulation, Cartesian and spiral grid based parallel and non-parallel (conventional) MRI are used. Results : Based on the motions defined, moving artifacts in the parallel and non-parallel MRI are investigated. From the simulation, non-parallel MRI shows smaller root mean square error (RMSE) values than the parallel MRI for the periodic (type-1 and 2) motions. Parallel MRI shows less motion artifacts for linear(type-3 and 4) motions where motions are reduced with shorter acquisition time. Similar motion artifacts are observed for the random motion (type-5). Conclusion : In this paper, we simulate the motion effects in parallel MRI. Parallel MRI is effective in the reduction of motion artifacts when motion is reduced by the shorter acquisition time. However, conventional MRI shows better image quality than the parallel MRI when fast periodic motions are invol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