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기표현욕구

Search Result 5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라이프스타일과 자기표현욕구가 비건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Jeong-In;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11a
    • /
    • pp.187-191
    • /
    • 2022
  • 최근 기초화장품 트렌드로 클린 화장품, 비건 화장품 등이 브랜드별로 새롭게 출시되고 시장내 성장하고 있다. 한동안 화장품의 성분에 대한 관심과 영향이 커지면서 기능성화장품, 코스메슈티컬화장품, 더마화장품들이 신뢰를 얻고 인기가 있던 가운데, 효능 외의 요소를 소구하는 브랜드와 제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중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에 있어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소비가치의 상관관계가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고 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ESG가 강조되는 사회 분위기 속에 클린 화장품 또는 비건 화장품의 소비가 일종의 자기표현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역할로써의 관계가 있는지도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기초 화장품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과 자기표현욕구가 비건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소비가치를 매개변수로 하여 라이프스타일과 자기표현욕구와 구매의도 간의 영향을 살펴하고자 한다. 독립변수는 라이프스타일의 하위변수인 외모관리 지향형, 질적건강추구형으로 구분하였고, 자기표현욕구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대학생, 직장인, 주부등 20대부터 40대까지 연령층을 대상으로 진행하여 실증분석에 사용할 예정이다. SPSS v22.0을 사용하여 3단계 매개모형을 기반으로 회기분석할 예정이다.

  • PDF

The Effect of Social Anonymity on Community Quality : Mediated by Self Expression, Self Control, and Community Ties (사회적 익명성이 커뮤니티 품질에 미치는 영향 : 표현욕구, 자기통제, 유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Shin, Ji-Myoung;Kim, Kyung-Kyu;Park, Joo-Yeo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6 no.4
    • /
    • pp.257-28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anonymity on community quality and find out mediating factors that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onymity and community quality in online community sites.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ors such as self expression, self control, and community ties to investigate their mediating ro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onymity and community quality. Also, discussion quality and information quality are used to measure online community qu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ocial anonymity is directly related to discussion quality but not related to information quality. As for the mediating effects, self expression, self control and community ties are all shown to have strong mediating effects on the social anonymity and community quality relationship.

A Study on the Effects of Lifestyle and Self-Expression Desire on Vegan Cosmetics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Value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자기표현욕구가 비건화장품 구매의도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가치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 Kim, Jung-In;Chul-Moo He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8 no.5
    • /
    • pp.217-240
    • /
    • 2023
  • For a while, Functional cosmetics, Cosmeceutical cosmetics, and Derma cosmetics have gained trust and become popular due to the consumers' strong interest in ingredients & efficacy. It's remarkable that Clean or Vegan brands are growing fast because they are emphasizing on different values from the other cosmetic brands. It's needed to attempt to analyz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lifestyle and social value in these changes, and to find out whether the consumption of vegan cosmetics is related to satisfying the need for self-expression in a social atmosphere where ESG is emphasized on.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lifestyle types and self-expression need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vegan cosmetics by mediating social values for cosmetics consumers. Lifestyle types were classified into appearance-oriented, health-oriented, and fashion-oriented. For empirical analysis, 321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cosmetics consumers living across the country were used. SPSS v26.0 and PROCESS macro v4.2 were used to analyze based on a single mediating model as a single mediato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lifestyle types and self-expression needs, excluding appearance-oriented typ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social values.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value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vegan cosmetics. Third, appearance-oriented, health-oriented, trend-seeking lifestyle types and self-expression needs were all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vegan cosmetics. Fourth, social values were found to mediate lifestyle types, self-expression needs, and purchase intentions, except for appearance-oriented types. Appearance-oriented consumers do not directly affect social values but affect purchase intentions, suggesting that appearance-oriented consumers may not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product-related social values. In a comparison of the relative influence size using standardization coefficients, self-expression needs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vegan cosmetics when mediating social values, and health-oriented ones had the least impact. The academic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clude contributing to consumer behavior research by providing insights, mediation mechanisms, and consideration of the niche consumer sector, and directing further research into the cosmetics industry beyond forming marketing strategies and sustainable business practices.

  • PDF

2002년 한.일 월드컵에 나타난 여성의 응원 패션에 관한 연구

  • 김은정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43-43
    • /
    • 2003
  • 현대산업사회로의 전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인은 소외의식, 욕구불만, 자기정체성에 대한 물음 등을 안고 살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다양한 방식을 통해 표현되어지고 있는 오늘날. 의식상황을 나타내는 내면은 자신의 가장 근본적이며 본질적인 욕구를 말하며 자신의 내면을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드러내어 자신의 존재를 찾기를 원한다. 또한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식과 방법론을 추구하고 있으며, 인간의 내면의 본질적인 감정을 표현하려고 한다.

  • PDF

인터넷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사회적자본 이론과 자기표현욕구를 중심으로

  • Han, Jin-U;Yu, Cheol-U;Choe, Yeong-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8.10b
    • /
    • pp.170-177
    • /
    • 2008
  • 기존의 지식공유에 관한 연구들은 KMS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폐쇄적 성격을 가진 KMS 뿐만 아니라 개방적인 성격의 인터넷 공간에서도 지식 공유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네이버의 지식인, 포털 사이트들의 지식공유 공간들은 그 중요한 예가 될 것이다. 이런 인터넷 공간에서의 지식공유에 행동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상황들은 고찰하여 사회적자본 이론(Social Capital Theory)과 자기표현 개념을 중심으로, 인터넷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서 구조모형을 제안하였으며 PL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회적자본과 자기표현은 지식공유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Constructivist Study on Psychosocial Needs of Elderly Female Residents living in Nursing Home (일 무료요양시설 거주 여성 노인의 심리사회적 욕구에 대한 구성주의 연구)

  • Kang, Jeonghee
    • 한국노년학
    • /
    • v.31 no.2
    • /
    • pp.243-25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hieve an understanding of psychosocial needs of elderly female residents living in the nursing home and their evaluation about psychosocial services from their perspectives. In-depth interview by constructivist inquiry was conducted to explore residents' needs. Purposive sampling was used to ensure that participants could communicate verbally and share their experience of living in the nursing home. 8 female residents who cognitively intact and aged 65 or over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anuary 1 to 5 in 2008.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Constant comparison method was used for data analysis. Levels of psychological needs were identified as four categories-satisfied needs; unmet needs; hidden needs; lack of expression of needs. While nursing home generally focuses on medical care provision, residents' psychosocial needs tend to be relatively overlooked. The satisfaction of psychosocial needs is significant in guaranteeing well-being in later life.

Key Factors Influencing Online Relational Intimacy in the Context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환경에서 온라인 관계 친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들)

  • Kim, Byoungs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7
    • /
    • pp.149-156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key factors affecting online relational intimacy in the context of SNS. Based on the use and gratification theory, self-presentation, relationship formation and information searching were identified as the main needs of SNS usage. These needs were expected to influence online relational intimacy through user satisfaction, subjective well-being, and disclosing information behaviors. The theoretical framework was validated by a longitudinal method. Hypotheses were tested by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s to data from 199 Facebook users. Self-presentation and information searching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user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relationship form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both user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Us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ly on online relational intimacy. Subjective well-being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nhancing both disclosing information behaviors and online relational intimacy. Finally, it has been found that disclosing information behaviors are a key factor in enhancing online relational intima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key antecedents of online relational intimacy.

The Effect on the Contents of Self-Disclosure Activities using Ubiquitous Home Robots (자기노출 심리를 이용한 유비쿼터스 로봇 컨텐츠의 효과)

  • Lee, Tae-Jun;Kim, Su-Jung;Han, Jeong-Hye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1a
    • /
    • pp.129-135
    • /
    • 2008
  • 본 연구는 인간의 자아표현 욕구와 창조적 욕구로 인해 자신을 대체할 산물들을 끊임없이 만들어 내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작용되는 자기노출라는 심리를 이용하여 아바타와 학습자의 얼굴을 합성하는 증강가상을 통하여 가상세계에서의 현실감을 부여함으로써 학습자의 몰입을 유도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증대하고자 하였다. 이를 실증하기 위하여 컴퓨터기반으로 컨텐츠를 개발한 후, 로봇 컨텐츠로써의 활용을 위해 컨버팅하고 자동 로딩을 통한 학습자의 사진을 아바타와 합성시켰다. 실험 결과 자기노출기반 컨텐츠의 효과는 모든 집단의 경우에서 학습에 대한 집중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학업성취도에는 유의미하지는 않지만 긍정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자기노출 개념 적용에 대하여 긍정적인 결과라고 보여지는데, 보다 유의미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단순히 사진을 찍어 로딩시키는 증강가상보다는 얼굴검출을 통한 실시간 증강가상과 같이 증강가상 효과의 증대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Phase of Nurse-Patient Relationships (인간관계 - 간호에 있어서의)

  • Yoo Kyung Za
    • The Korean Nurse
    • /
    • v.6 no.5 s.31
    • /
    • pp.92-100
    • /
    • 1967
  • Nursing Process의 일련의 합목적적인 성격을 평가할 때 간호계획은 환자의 질병을 자신의 중대한 학습경험으로 만듣는데 필요한 단계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환자 자신의 경험의 의미를 이해한다는 것은 nursing이 교육적이고 치료적이며 또 성숙시키는 힘으로써 기능을 하다록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환자의 곤란(질병등)에 대한 초기의 연상은 분화되고 문제에 포함된 모든 요인들을 정리하고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들은 환자와 그의 목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문제에 대한 태도를 분명히 한다는 것은 새로운 환경의 도전에 의해 재생된 과거와 또는 새로운 욕구와 감정의 표현을 가져온다. 늘 풍부하고도 무조건적인 보살핌을 주는 보조자를 상징하는 nurse와의 동일시는 필요하다고 느끼는 욕구와 자기를 위협하는 문제를 처리하는 한 방편이 된다. 초기의 욕구가 처리되면 이들 욕구는 더욱 성장하여 더 성숙한 욕구가 다시 생기게 된다. 환경이 제시하는 것을 철저히 이용한다는 것은 문제에 대한 새로운 분화를 가져오며 인간관계의 기술을 개선시킨다. 개인적 노력을 통해 새로운 목표는 실현될 수 있다. 병원 환경에서 사회 생활에로 참여하는 것은 N-P relationship의 해결을 필요로 하고 새로운 사회적 상호 의존 관계를 위해 인격의 강화가 필요하다. 환경적 결핍 위에 resolution이 일어났을 때는 환자의 육구는 강화되고 전체적 경험의 동정이 제한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