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기충돌

Search Result 11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Fast Self-Collision Handling in Cloth Simulations Using GPU-based Optimized BVH and R-Triangle (GPU 기반의 최적화된 BVH와 R-Triangle을 이용한 옷감 시뮬레이션에서의 빠른 자기충돌 처리)

  • Moon, Seong-Hyeok;Kim,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373-37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삼각형 메쉬 기반에서 옷감 시뮬레이션(Cloth simulation)에서 계산양이 큰 자기충돌(Self-collision) 처리를 GPU기반으로 가속화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CUDA기반으로 병렬 최적화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1)재귀적으로 계산하여 충돌판정을 하는 BVH(Bounding volume hierarchy) 트리를 GPU기반에서 효율적으로 빌드, 업데이트, 트리 순회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2)삼각형 메쉬 기반에서는 중복되는 프리미티브(Primitive) 충돌검사를 최소화하기 위해 R-Triangle기법을 GPU에서 최적화 시키는 방법을 소개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GPU 환경에서 옷감 시뮬레이션의 자기충돌과 객체충돌 처리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고, 다양한 장면에서 실험한 결과 모든 결과에서 빠른 시뮬레이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Conflict Resolution Model based on Priority Using Auto-Correlation Coefficient of binary variables in Situation Aware Collaboration System (자기 상관계수를 이용한 우선순위 기반의 정황인지 협동 시스템 충돌 해결 모델)

  • Chae Hee-Seo;Lee Dong-Hyun;Kim Do-Hoon;In Hoh Peter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77-82
    • /
    • 2006
  • Situation awareness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context와 action이력을 기술하여 협동 시스템을 표현할 수 있는 Situation Aware-Interface Definition Language(SA-IDL) 접근방법이 유용하다. 하지만, SA-IDL로 다수의 상황인지 서비스를 만들게 될 때 서비스 단독으로는 문제가 없을지라도 여러 개의 서비스들 사이에서는 충돌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충돌을 검출해내고 해결하기 위해서, 을 수학적으로 모델링된 SA-IDL을 통해, 충돌을 수학적으로 정의하여 기술하고, graph theory적인 접근 방법과 자기 상관계수를 통한 마크호프 예측 기법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 PDF

CubeSat mission for a lunar magnetic field measurement

  • Lee, Hyojeong;Lee, Jung-Kyu;Baek, Seul-Min;Jin, Ho;Kim, Kwan-Hyuk;Song, Young-Joo;Hemingway, Doug;Garrick-Bethell, Ia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9 no.2
    • /
    • pp.108.2-108.2
    • /
    • 2014
  • 과거 달 탐사 미션으로 달에는 global magnetic fields는 존재하지 않고 표면에 국부적으로 자기장이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렇게 측정된 자기장 데이터는 일정 고도 (> 20 km) 이상에서 측정되었기 때문에, 지표에 비해 그 세기가 매우 약해 자기장의 형태와 분포를 연구하는데 한계가 있다. 보다 자세한 연구를 위해서는 표면에서부터 다양한 고도에 이르는 위치에서 측정된 자기장 데이터가 필요하며, 이는 달 표토의 자화나 Swirl 형성 메커니즘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큐브위성을 이용하여 저궤도부터 지표까지의 자기장을 측정하는 방안을 소개한다. 큐브위성은 달 궤도 모선에서 사출되어 자기이상 지역 표면에 충돌하는 임무를 가진다. 자력계는 모선과 큐브위성에 각각 탑재되어 자기장을 측정하며, 모선으로 부터 사출된 큐브위성은 충돌 직전까지 자기장을 측정하고 모선에 습득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이렇게 측정된 자기장 데이터는 모선의 궤도부터 표면에 이르기까지 여러 고도에서 측정되었기 때문에 자기이상 지역의 자기장 구조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달의 자기이상 지역과 큐브위성 임무 설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

Optical Characteristics of Impact Craters on Mercury

  • Sim, Chae Kyung;Kim, Sungsoo S.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3 no.2
    • /
    • pp.44.3-44.3
    • /
    • 2018
  • 수성의 대기와 자기장은 매우 희박하여 그 표면이 우주 환경에 거의 그대로 노출되어있다. 표면의 토양은 태양풍입자와 미소유성체 등에 의해 계속해서 밝기가 어두워지고 입자의 크기도 작아진다. 이러한 현상을 종합적으로 '우주풍화'(space weathering)라고 부르는데, 그 정도를 정량화하거나 상대적으로 평가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왜냐하면 우주풍화의 정도에는 원인이 되는 입자의 입사 플럭스는 물론이고, 표면의 지역 조성비와 토양의 노화도 등이 모두 섞여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를 극복하는 한 가지 방법은 수성 표면을 뒤덮고 있는 수많은 충돌구(impact crater) 내의 광학적 특성 분포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충돌구 안쪽의 토양은 충돌 시점에 동시에 형성되었고, 그 성분이 충돌구 밖 임의의 지역에 비교해 상대적으로 균질하며, 지형적으로 충돌구 안팎의 경계가 분명하게 정해져 있다. 또한, 충돌구는 수성 전구(全球)에 걸쳐 어디에서나 발견되므로 각 충돌구의 특성을 경도 위도 연대 등 여러 측면에서 조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메신저(MESSENGER) 탐사선의 MDIS 영상기에서 얻은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수성 충돌구의 광학적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 PDF

dispersion characteristics and RE power absorption for a mangetized plasma (자화 플라즈마의 분산특성과 유효광학계수 변화)

  • 라상호;정재성;오범환;박세근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9 no.3
    • /
    • pp.285-289
    • /
    • 2000
  • It has been well known that weak axial magnetic field on the process plasma enhances plasma density. As the magnetic field helps a specific polarized EM wave mode to penetrate into the plasma, the energy transfer to the plasma enhances and the ion density increases. We have analyzed systematic change of the dispersion relation caused by the cyclotron resonance condition. This resonance occurs at near 5 gauss to provide minimum penetration depth, as known before. RF penetration depth increases abruptly beyond the magnetic field of 5 gauss, and this phenomena lessen as the collision frequency increases.

  • PDF

Acromion Morphology in Coronal and Sagittal Plane; Correlation with Rotator Cuff Syndrome (관상면과 시상면에서의 견봉 형태와 회전근개 파열의 연관성)

  • Jo, Chris H.;Kim, Jung-Taek;Yoon, Kang-Sup;Lee, Ji-Ho;Kang, Seung-Baek;Lee, Jae-Hyup;Han, Hyuk-Soo;Rhee, Seung-Wha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v.12 no.2
    • /
    • pp.126-136
    • /
    • 2009
  • Purpose: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of the anatomic parameters of the acromion those represent on the magnetic resonance image (MRI) of impingement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2004 to December, 2005, 71 cases were surgically proven to be impingement syndrome, and the anterior acromial hooking angle, the lateral acromial hooking angle (AAHA and LAHA) and the acromial hooking index (AHI: the sum of the AAHA and LAHA) were compared to 16 control cases. At the same period, 55 cases were surgically proven to be partial or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and age, gender and twelve anatomic parameters, including the acromial type, the acromial angle, the anterior covering, the acromial slope, the AAHA, the lateral acromial angle, the acromial torsional angle, the lateral acromial angulation, the LAHA, the lateral covering, the acromiohumeral distance and the AHI were assessed. Results: The AAHA and AHI were increased as impingement syndrome proceeded. The acromial type and acromial angle, and the AAHA, LAHA and AH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s and the rotator cuff tear patients on univariant analysis. On multivariant analysis, gender was most strongly correlated with rotator cuff tear. Age, AAHA and the acromial angle showed similar correlation, respectively. Conclusion: The coronal acromial shape is correlated with rotator cuff tear, and it is important to correct the lateral acromial shape when performing acromioplasty.

Software development for magnetron sputtering cathode for wafers (반도체용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음극 전산 모사 소프트웨어 개발)

  • Ju, J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6.11a
    • /
    • pp.108-108
    • /
    • 2016
  •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은 박막의 증착에 널리 사용되는 기술로 음극의 설계가 핵심적이다. 영구 자석과 전자석을 겸용하는 경우도 있고 고주파 코일을 추가하여 2차 플라즈마 발생을 유도하여 공정의 유연성을 한층 높인 방법도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전자의 자기장 하에서의 운동은 Lorentz force를 적분하여 예측할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한 전자 - 중성간의 충돌 과정인 탄성 충돌, 여기 충돌, 이온화 충돌을 고려하면 보다 실질적인 마그네트론 플라즈마의 거동을 이해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자석 배치를 설계할 수 있다. PIC (particle-in-cell) code를 이용하면 플라즈마 내의 전자기장 효과를 상세히 검증해볼 수 있지만 계산 시간의 부담 때문에 고성능 병렬 컴퓨터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 이유는 하전입자(전자, 이온)의 공간적인 분포에 변화가 발생하면 전위가 영향을 받고 전자의 가속이 발생하는 쉬스(sheath)의 두께가 따라서 변화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계산 시간의 단축을 위한 가정, 즉, 쉬스의 두께가 일정하다는 사실을 적용하면 계산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 시킬 수 있으며 병렬 계산의 효율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원리에 입각한 코드를 개발하고 평판 디스플레이용 사각형 음극에 대해서 적용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원형의 스캔형 마그네트론 음극 구조의 이해와 설계에 적용하고자 코드를 개발하였다.

  • PDF

Electron trajectories analysis in a planar magnetron sputtering cathode by a particle model (입자 모델을 이용한 평판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음극의 전자 운동 분석)

  • Ju, J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8.11a
    • /
    • pp.17-17
    • /
    • 2008
  • 3차원 입자 모델을 이용하여 $12\;mm{\times}625\;mm$ 크기의 평판형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용 음극에서 전자의 운동을 해석하였다. 전자와 중성 가스 입자의 충돌은 모두 세 가지를 고려하였으며 Runge-Kutta 4th order 방법을 이용하여 전자의 궤적을 계산하였다. 400 eV의 전자는 5 mTorr의 압력에서 알곤과 평균 8 - 12회 이온화 충돌 후 집중 방전 영역에서 벗어났으며 문헌에 보고된 2차원 실린더형 마그네트론에서 보고된 값보다 작았다. 마그네트론의 집중 방전 특성은 전자와 중성의 소각 산란에 의해서 주로 발생되었으며 이온화 충돌에 의해서 발생되는 2차 전자는 충돌 위치에서의 자기장 값에 의해서 궤적이 결정되었다.

  • PDF

Crashworthiness Analysis of the Urban Maglev Vehicle according to Korean Railway Safety Law and Urban Transit Safety Law (철도안전법과 도시철도안전법을 적용한 도시형 자기부상열차의 충돌안전도 해석)

  • Lee, Hyun-Cheol;Koo, Jeong-Se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7 no.5
    • /
    • pp.115-126
    • /
    • 2009
  • This paper studied on the application of the crashworthiness regulations of Korean Railway Safety Law and Urban Transit Safety Law to the urban Maglev vehicle of KIMM. The Urban Maglev vehicle has to comply with the crashworthiness regulations for urban transit vehicles. The collision load cases have been simulated by using explicit finite element analysis. From the numerical results, the crashworthiness regulations of the Urban Transit Safety Law were completely satisfied, but maximum crash pulse requirement in 25 km/h crash event and no plastic deformation requirement in 10 km/h crash event in the Korean Railway Safety Law were not. If a commercial urban Maglev vehicle is developed in the near future, it is necessary that some soft buffing and energy absorbing devices are adopted in its front end so as to satisfy the crashworthiness regulations of the Korean Railway Safety 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