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기개발

Search Result 4,012,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Precise Measurement of Magnetic Field Using CW-NMR Technique (CW-NMR 기법을 이용한 자기장 정밀측정)

  • 이정한;이대행;김민철;이순칠;홍계원;이호준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5 no.1
    • /
    • pp.79-85
    • /
    • 1995
  • A precise magnetic field probe was designed to measure the field distribution inside a superconducting magnet.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developed equipment is based on cw-NMR. The range of field is from 2.8 T to 5.8 T, and the resolution is better than 0.3 ppm NMR samples were water and heavy water contained in a tube of 4 mm diameter and 4mm height. This equipment can be manufactured very inexpensively compared with the currently available commertial ones.

  • PDF

지구자기장의 발생기작을 설명하기 위한 마찰전기 실험장치 개발

  • Kim, Chil-Yeong;Jeong, Gi-Ju;Seo, Man-Cheol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32-33
    • /
    • 2010
  • 달의 기조력에 의한 조석현상으로 인하여 지구의 자전속도가 늦어지고, 결과적으로 층상구조를 이루고 있는 지구의 내부는 서로 다른 각속도로 자전한다는 차등자전 개념이 최근에 도입되었다. 지구내부의 각층에서 차등자전이 일어날 경우 각층의 경계면에서는 필연적으로 마찰열과 마찰 정전기가 발생하는 바, 특히 맨틀과 외핵의 경계부분에서 발생하는 마찰전기는 방전과정에서 대규모의 자기장, 즉 지구자기장을 발생시킬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에서는 마찰전기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실험 장치를 개발하고, 고감도 자기센서로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유의미한 자기장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지구 자기장이 차등자전으로 인한 마찰전기에 의해 발생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f the Change of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According to TPACK Education (TPACK 교육에 따른 예비 교사의 자기효능감 변화 연구)

  • Kim, Seong-Wo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215-216
    • /
    • 2019
  • 테크놀로지의 발달에 따라 교육에서 테크놀로지의 중요성이 증가하였지만, 교사와 예비 교사의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인하여 수업에 테크놀로지를 통합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Kim과 Lee(2018)은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TPACK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는 진행되었지만, 예비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규명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세 집단의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ICT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래밍 교육,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예비 교사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특수적 자기효능감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ICT 기반 TPACK 교육과 프로그래밍 교육을 받은 예비 교사는 자기효능감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예비 교사는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특수적 자기효능감 모두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 PDF

자기핵융합과 KSTAR

  • Gwon, M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1-1
    • /
    • 2010
  • 핵융합에너지는 1930년대 한스 베테에 의해 태양과 별 에너지의 근원임이 밝혀진 후 소핵 폭탄실험 성공으로 그 위력적인 에너지를 인공적으로 만들 수 있음을 세상에 드러내게 된다. 그 뒤 이 에너지의 평화적인 이용 노력이 시작되었고 1958년 스위스에서 핵융합에너지의 평화적 이용에 대한 첫 국제회의가 열리게 되면서 에너지원으로서의 연구를 통해 냉전시대의 경쟁 대상의 과학기술의 하나로 부각되면서 눈부신 성능 향상을 보여주게 되었다. 아직 여러 어려운 관문이 남아있지만 기후변화와 에너지원 고갈에 의한 새로운 에너지원에 대한 강력한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ITER와 같은 대형 국제공동연구시설 건설이 시작되었고 2030년대에는 최초의 핵융합발전소를 건설하려는 꿈도 그려가고 있다. 핵융합에너지를 얻는 방식에는 여러 방법이 시도되었는데 현재는 자기장을 이용해 플라즈마를 핵융합반응이 일어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가두는 자기핵융합방식과 관성으로 플라즈마를 가두는 관성핵융합방식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자기핵융합방식의 경우 플라즈마를 만들고 가열하여 핵융합반응 확률이 높은 고온으로 가열하고 그 조건을 오래 지속시키는 기술들이 필요한데 이 기술들은 오늘날의 거의 모든 극한기술들이 망라되어 적용되는데 초전도, 고주파/ 초고주파, 대전력 공급, 대형 시설 실시간 제어기술, 대규모 신호처리기술, 고온 플라즈마 진단 기술, 대규모 시스템 시뮬레이션 기술 등이 그것이다. 여기에 또한 중요한 기술의 하나로 초고진공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이 집약되고 서로 통합되어 하나의 목적을 위해 쓰여지도록 고안되고 만들어진 장치가 자기핵융합 장치이며 따라서 현대의 자기핵융합장치들은 굉장히 복잡하며 대형 시설로 지어질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는 1970년대 말부터 소형의 플라즈마 연구시설을 시작으로 자기핵융합 연구를 시작하면서 인력 양성을 시작하였으며 가속기 등 대형 연구시설이 본격적으로 지어지던 1990년대에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는 초전도 자기핵융합장치인 KSTAR장치 건설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다. 총 11년이 넘는 건설기간 동안 여러 학교와 연구기관, 그리고 산업체가 참여하여 성공적으로 시운전을 실시하였으며 당당히 세계적인 장치를 통한 핵융합연구 대열에 동참하게 되었다. 이를 통한 기술 개발의 결과로 국제적 공동연구장치 ITER의 건설사업에 참여하게 되었고 KSTAR와 ITER를 통해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 기술 개발을 국가적인 기술개발의 목표로 결정하고 연구개발계획을 전략적으로 세워 진행하고 있다. 이번 논문에서는 자기핵융합의 특징과 연구 동향을 통해 우리나라의 기술 수준을 조망하고 특히 진공 기술 분야와의 상호 의존적 영향 분석을 통해 공동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 PDF

미래지향적 교통수단으로서의 자기부상렬차

  • 한규환;김재홍
    • Journal of the KSME
    • /
    • v.32 no.9
    • /
    • pp.758-764
    • /
    • 1992
  • 자기부상열차는 환경영향성, 안락성, 경제성, 고속성 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측면에서 미래 지 향적인 교통수단으로 각광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외국에서는 약 20년에 걸친 개발을 통하여 약 500KPH 기량의 시험속도를 달성하고 실용화를 위해 주행시험을 계속하고 있다. 국내의 개 발현황으로는 아직 저속(50KPH 이하)에 머물고 있으나 계속적인 연구개발을 추진하여 새로운 교통수단의 실용화를 앞당기고자 하는 노력이 관련 국가연구소 및 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93년 대전세계 박람회에서 운행될 자기부상열차의 성공여부가 금후의 자기 부상열차 실용화에 중요한 전기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첨단과학기술현장 - 자기부상열차는 언제쯤 뜰까?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3 no.4 s.371
    • /
    • pp.78-83
    • /
    • 2000
  • 시속 5백km의 빠른 속도로 날면서 달리는 자기부상열차(maglev라고도 함)는 과연 언제쯤 상업화 될 수 있을까? 지난 30여년간 자기부상차의 연구개발을 위해 수십억달러를 퍼부었던 이 분야의 선발국가들인 독일과 일본은 이미 1970년대와 1980년대에 각각 시범용 차를 제작하여 시속 5백km의 시험주행에는 성공했으나 아직도 실용화시기를 이날 저날로 미루어 오다가 요즘은 기약없이 보류하고 있다. 지난 봄까지만 해도 2002년경에 인천국제공항 등에 설치 운용할 계획이었던 우리나라의 자기부상열차 개발사업도 2000년 예산에는 겨우 10억원이 배정되어 당분간은 상업화의 꿈을 접어둘 수 밖에 없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