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궁경부암 세포주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1초

계형등 약침액이 자궁경부암 세포주 SUN-17의 세포 사멸에 미치는 효과 (Spatholobi Caulis Herbal-acupuncture Solution Induced Apoptosis in Human Cervical Cancer Cells, SNU-17)

  • 서보명;이윤경;이봉효;이경민;임성철;정태영;서정철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107-113
    • /
    • 2007
  • 목적 : 본 연구는 계혈등 약침액이 자궁경부암 세포주 SNU-17에서 세포 사멸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자궁경부암 세포주 SNU-17에서 세포 사멸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 MTT cytotoxicity assay, DAPI staining, TUNEL assay, RT-PCR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 세포독성 검사에서 계혈등 약침액은 자궁경부암 세포주 SNU-17에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계혈등 약침액의 세포독성이 세포사별로 인한 것인지 다른 기전에 의한 것인지 알아본 결과 계혈등 약침액에 의한 세포독성은 DAPI staining 과 TUNEL assay에서 세포사멸의 특정적인 소견들을 나타내었다. 계혈등 약침액이 Bax, Caspase-3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RT-PCR로 관찰한 결과 계혈등 약침액은 Bax, Caspase-3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결론 : 이상의 결과 계혈등 약침액이 자궁경부암 세포주 SNU-17에서 세포 사멸을 야기하여 자궁경부암의 치료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Verapamil의 인체 자궁경부암 세포주에서 5-FU 및 Cisplatin 감수성에 관한 효과 (The Effect of Vernpamil on Chemosensitivity by 5-Fluorouracil and Cisplatin in Human Uterine Cervical Carcinoma Cell Lines)

  • Sang Won Han;Soo Kie Kim;Dong Soo Ch;Sun Ju Choi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53-158
    • /
    • 1996
  • Verapamil은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실험적으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약제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인과 종양중 자궁경부암 치료시에 발생하는 항암 화학요법제에 대한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기초적인 실험으로 인체 자궁경부암 유래의 HeLa 및 Caski 세포주를 이용, MTT법으로 verapamil과 5-FU 및 DDP를 단독 혹은 병용 처리하여 세포독성 상승효과를 측정하였다. Verapamil 단독투여시 각 세포주는 용량에 비례하여 세포독성이 증가하였으며, 각 항암제와의 병용 투여시에 세포독성의 상승효과가 관찰이 되었으며, HeLa세포주에서 그 효과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세포내 내성발현의 기전의 탐구가 필요하며 자궁경부암 화학요법에 verapamil사용의 이론적인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PDF

이달의 과학자 - 가톨릭대 의대 산부인과 교수 김진우 박사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29권11호통권330호
    • /
    • pp.80-81
    • /
    • 1996
  • 우리나라 여성들에게서 발병 사망률이 높은 자궁경부암의 세포주를 배양하여 암의 발생원인 특성을 밝혀낸 가톨릭대 의대 김진우교수. 김교수는 난소암 자궁내막암 세포배양에도 성공하여 앞으로 임상실험을 하기 위한 재료확보와 암의 항원 전체구조를 파악하는 연구를 계속할 것이라고 한다.

  • PDF

군집을 이루는 자궁 경부암 세포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cognition of Clustered Cells in Uterine Cervical Pap-Smear Image)

  • 최예찬;김선아;김호영;김백섭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B)
    • /
    • pp.511-513
    • /
    • 2000
  • PaP Smear 테스트는 자궁 경부암 진단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높은 위 음성률(false negative error, 15~50%)을 나타내고 있다. 이런 큰 오류율은 주로 다량의 세포 검사에 기인하여, 자동화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자궁 경부암의 특징인 군집을 이루는 암세포를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첫 단계에서는 저 배율(100배)에서 간단한 영상처리와 최소 근접 트리(Minimum Spanning Tree)를 통해 군집을 이루는 세포를 찾는다. 두 번째 단계서는 고 배율(400배)로 확대하여 군집 세포들로부터 여러 가지 특징을 추출한 후 KNN(k-Neighbor) 방법을 통해 인식하는 단계이다. 50개의 영상 (640X 480, RGB True Color 25 개의 100배 영상 , 25개의 400배 영상)이 실험에 사용되었다. 한 영상을 처리하는데 약 3초 (2.984초) 소요되었으며, 이는 region growing(20초)나 split and merge(58초) 방법 보다 덜 소요되었다. 100배 영상에서 정상과 비정상의 두 그룹으로 나누었을 경우에는 96%의 높은 인식율을 나타내었으나 비정상을 다시 5개의 그룹으로 나누었을 때는 45%로 나타내었다. 이는 영역 추출(segmentation) 단계에서 오류와 트레이닝 데이터의 비정확성에 기인한다. 400배 영상에서는 각각 92%와 30%로 나타내었다. 이는 영역추출 단계에서 사용한 Watershed 방법의 오류로 기인한 것으로 본다.

  • PDF

자궁경부암 환자의 예후인자에 관한 분석 (An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in the Uterine Cervical Cancer Patients)

  • 양대식;윤원섭;김태현;김철용;최명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4호
    • /
    • pp.300-308
    • /
    • 2000
  • 목적 :자궁경부암은 우리나라 여성에서 가장 많은 발생을 보이는 악성종양으로 비교적 완치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경부암의 치료는 병원 마다 매우 다양해졌으나 방사선에 의한 치료가 주이며 높은 완치율을 얻고있다. 치료의 실패는 대부분 3년이내에 일어나며, 국소재발시에는 자궁방 결합조직에서 더 많이 재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방사선치료를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치료성적과 재발여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생존률과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여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1981년 1월 1일부터 1998년 12월 31일까지 고려대학교 방사선 종양학과에서 자궁경부암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970명중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8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는 방사선 단독치료군과 수술후 방사선치료군으로 나누었으며 각 환자에 대하여 나이, 임상적 병기, 세포병리학적 소견, 재발유무 등이 치료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고 특히 치료 후 자궁경부질세포진검사(Papanicolaou smear; Pap smear), 배아성항원(carcinoembryogenic antigen; CEA)와 편평상피 암종항원(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SCC antigen) 수치가 생존률과 국소재발에 유의한 인자인가를 알아보았다. 결과: 전체환자의 평균나이는 51.3세(방사선 단독치료존 53.1세, 수술 후 치료곰 48.3세)였고,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38.6개월(방사선 단독치료군: 38.8개월, 수술후 치료군: 38.4개월)이었다. 방사선 단독치료군의 경우 대상환자는 521명이었고, 임상병기는 CIS; 5명, IA; 3명, IB; 36명, IIA; 77명, IIB; 284명, IIIA; 31명, IIIB; 47명, IVA; 21명, IVB; 3명, 재발암 14명이었다. 세포병리학적 소견상 편평상피암 495명, 선세포암 23명이었고 완치상태로 추적관찰된 환자는 314명(60.3$\%$), 국소재발: 47명(9$\%$), 대동맥 림프절전이; 28명(5$\%$), 폐전이: 19명(4$\%$), 골전이: 12명(2$\%$)이었다. 수술 후 치료군은 326명이었고 임상병기는 CIS; 6명, IA: 50명, IB: 181명, IIA; 46명, IIB; 43명이었다. 세포병리학적 소견상 편평상피암: 291명, 선세포앓 32명이었고, 완치상태로 추적관찰된 환자는 276명(85$\%$), 국소재발 8명(2$\%$), 대동맥 림프절전이: 7명(2$\%$), 폐전이: 10명(3$\%$), 골전이; 10(3$\%$)이었다. 전체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5년 생존율은 71.2$\%$(방사선 단독치료군: 55.8$\%$, 수술 후 치료군: 88.1$\%$)였고 생존율에 있어서는 단변량분석상 임상병기(p=0.0001), 재발유무(p=0.0001), 방사선치료 후 자궁경부질세포진검(p=0.0329), CEA수치($\geq$5 ng/ml, p=0.00001), SCC수치$\geq$2 ng/ml, p=0.0001)가 의미있는 인자로 나타났고, 재발율에 있어서는 CEA가 $\geq$5 ng/ml인 경우, SCC는 $\geq$2 ng/ml인 경우가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방사선치료 후 Pap smear, CEA, SCC는 생존율과 재발율에 모두 비교적 의미있게 작용하는 예후인자로 나타나 앞으로 방사선치료 후 환자의 추적관찰시 자궁경부암의 국소재발과 전이 그리고 생존률을 미리 예견할 수 있는 지표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손바닥 선인장(Opuntia humifusa) 발효액의 화학적 성분과 자궁경부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작용 (Anti-tumor Activity of Fermented Liquid Opuntia humifusa in Cervical Cancer Cells and Its Chemical Composition)

  • 최화정;박승춘;홍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525-1530
    • /
    • 2005
  • 손바닥선인장(Opuntia humifusa)의 줄기, 뿌리 그리고 잎 발효액의 화학성분 비교 및 자궁경부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 활성을 조사하였다. 줄기 발효액의 열량, 조단백, 조지방 그리고 조탄수화물의 성분비율은 86.21 kcal, $0.92{\%}$, $0.12{\%}$ 그리고 $20.34{\%}$로 분석되었다. 열매에서는 65.32 kcal, $0.08{\%}$, $1.04{\%}$ 그리고 $15.15{\%}$로 각각 구성되었다. 무기물 분석에서 줄기와 열매의 발효액에 칼슘(calcium)과 철(ferrous)의 농도는 100g 당 1,800 mg과 388 mg 그리고 21 mg과 10 mg으로 분석 되었다. 발효 전에 물, 메탄올 그리고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항암활성을 측정한 결과 자궁경부암 세포주인 Caski, SiHa 그리고 HaCaT에서 어떠한 항암활성도 보여주지 않았다. 그러나 손바닥선인장(Opuntia humifusa)의 열매를 효모균으로 발효한 발효액에서 HaCaT를 제외한 CaSki와 SiHa에 대해서는 항암활성을 보여주었다.

옻 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자궁 경부암 바이러스 암 유발인자 E6 와 E7의 작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hus Extracts on The Cytotoxicity on Cancer Cells and E6 and E7 Oncogenes of Human Papillomavirus Type 16)

  • 조영식;정옥;조정원;이경애;심정현;김광수;이홍수;성기승;윤도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1389-1395
    • /
    • 2000
  • 자궁 경부암은 매년 약 50만명 정도씩 사망하는 여성의 치명적인 사망원인의 하나이다. 인두유종 바이러스(HPV) 16형 및 18형과 자궁 경부암과의 긴밀한 관련성은 잘 알려져 있다. 옻 추출물 Rhus가 HPV 16형의 E6, E7 발암 유전자를 억제하는지 여부를 측정하였다. 이 Rhus는 자궁 경부암 세포주(C-33A, SiHa, Caski)와 HaCaT keratinocytes의 분열은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In vitro binding assay와 효소면역측정법에 의하면 Rhus가 암 억제인자인 p53과 결합하여 분해 시키는데 필수적인 E6와 E6AP와의 결합을 억제할 뿐더러 암 억제인자 Rb와 E7과의 결합을 억제하였다. RT-PCR에 의하면 Rhus에 의해 E6 mRNA의 level이 감소하였으나 E7 mRNA는 변하지 않았음을 보여주었다. 이들 결과에 의하면 Rhus가 HPV 16형의 E6와 E7의 발암성을 억제함을 보여 주므로 HPV에 의해 유도된 자궁 경부암의 치료에 유효할 것으로 사료되어 좀 더 자세한 in vitro실험 등이 요구된다.

  • PDF

자궁경부암 환자의 근치적 방사선치료 시 VEGF 발현의 임상적 의의 (The Significance of VEGF Expression in Stage II Carcinoma of Uterine Cervix Treated with Definitive Radiotherapy)

  • 박원;최윤라;허승재;윤상민;박영제;남희림;안용찬;임도훈;박희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37-43
    • /
    • 2006
  • 목적 : 종양 내 VEGF의 발현이 방사선저항성과 관련이 있고, 자궁경부암에서 VEGF 발현이 예후와 관련된다는 보고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VEGF 발현에 따른 임상적 특성 및 환자 예후와 연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 년 9 월부터 2003 년 4 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자궁경부의 편평상피세포암 FIGO 병기 II로 진단받고 근치적 방사선치료가 시행된 환자 중 면역조직학 검사를 위한 파라핀 블록이 유용한 31 명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들의 연령 분포는 $38{\sim}83$세 (중간값 65세)였다 종양의 크기는 $1.2{\sim}8.2cm$( 평균 4.1cm)였고, 골반 내 림프절 전이는 7예 (22.6%) 에서 있었다 방사선치료는 15 MV 광자선으로 매일 1.8 Gy씩 주 5회, 전골반 내 조사가 시행되었는데 외부방사선치료 선량은 $45{\sim}56.4 Gy$ ( 중간값 50.4 Gy) 였고, 강내치료는 point A 에 1회 4Gy씩 주 2회, 총 24 Gy 조사되었다. 방사선치료 기간은 $48{\sim}67$일 (중간값 53 일) 이었다. VEGF 면역조직학 검사상 양성은 종양세포 중 VEGF 분포가 10% 이상인 경우로 정하였다. 대상환자들의 추적관찰기간은 $12{\sim}119$개월 (중간값 58 개월) 이었다. 결과 : VEGF 양성인 경우는 21 예 (67.7%)였다 VEGF 발현에 따른 골반 내 림프절 전이 유무, 종양 크기와 방사선 치료에 따른 관해 정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체 환자 중 7 예에서 재발이 있었는데 국소재발, 원격전이, 국소 재발과 원격전이가 동반된 경우가 각각 3예, 3예, 1예였다. VEGF 음성과 양성인 경우에 방사선치료 후 완전관해율 이 각각 90%와 81%로 의의있는 차이는 없었지만, 재발은 모두 VEGF 양성인 환자에서 발생하여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40). 3년 무병생존율은 77.4%였는데, VEGF 음성과 양성인 경우 각각 100% 와 66.7%로 차이가 있었다 (p=0.047). 결과: 자궁경부암 lGO 병기 2기 환자의 근치적 방사선치료 시 종양 내 VEGF 발현 유무는 재발률과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였다. 그러나 VEGF 과발현에 대한 각 문헌마다 정의가 다르고, 문헌에 보고되는 환자수가 많지 않아 향후 VEGF 발현이 자궁경부암 환자의 예후인자로 결정되기 위해서는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겠다.

비용 의존 학습에 의한 인유두종 바이러스의 분류 (Human Papillomavirus Risk Classification by Cost-Sensitive Learning)

  • 황소현;박성배;장병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1 (B)
    • /
    • pp.401-403
    • /
    • 2003
  •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표피세포에 감염되는 DNA 바이러스로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가장 큰 요인이다. 현재까지 100 여개의 종류가 알려져 있고 악성종양 유발 가능성에 따라 위험군을 나누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고위험군을 저위험군으로 잘못 분류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분류를 위한 데이터로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관한 문서 자료들을, 기계 학습 방법으로 분류 비용을 고려해 줄 수 있는 비용 의존 학습을 이용하였다. 실험결과. 비용을 고려해 주는 것이 고려하지 않았을 때보다 더 종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