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갈사주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Vegetation Recruitment and Restoration of a Gravel Bar in Tama River (다마천(多摩川)자갈사주의 식생이입 및 복원 과정)

  • Kim, Ji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96-19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일본 다마천 자갈사주의 식생 이입 과정을 조사하고, 과도한 식생 이입에 영향을 미치는 하상토의 특성과 수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자갈사주의 복원을 위한 방안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다마천 자갈사주는 넓게 분포하였던 자갈하천(white river)에 버드나무 등의 식생이 과다하게 성장하여(green river), 이를 억제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여 시행하였다. 또한 이곳에 서식하는 고유종(야생 국화)를 복원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다마천 자갈사주 식생번무의 원인으로, 자갈과 모래 채취, 하천 개수, 상류의 댐과 보의 축조를 들 수 있으며, 자갈사주를 복원하기 위한 종합적인 연구계획이 수립되어 사업이 시행되었다. 복원 대책으로 홍수터를 파고 모래톱 복원, 상류로부터 자갈과 모래 공급, 저수로 확장, 과다 성장한 버드나무나 아카시아 벌목, 표토 제거를 계획하였으며 이를 시행하였다. 모래톱은 성긴 조약돌로 포설하였으며, 다양한 높이로 조성하여 침수 빈도를 다양하게 변화시켰다. 가장 높은 모래톱은 5년 빈도로 하였다. 자갈사주의 복원 및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그룹도 발족하여 현재 자갈사주의 복원 모니터링이 진행 중이며,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복원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PDF

Field Survey of Vegetation Recruitment at a Gravel Bar (자갈사주의 식생이입 현지조사 방안)

  • Kim, Jin-Hong;Kim, Eun-Ryeong;Song, Hye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15-11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자갈사주의 식생 이입 과정을 밝히고, 식생 이입에 영향을 미치는 수리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현지조사 방안을 제시하였다. 자갈사주의 식생이입은 조절 하천과 비조절 하천에서의 이입 과정이 다르며, 본 연구에서는 비조절 하천을 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상류에 댐이나 저수지가 없는 자연에 가까운 하천을 고려하였으며, 장기적으로는 조절 하천의 식생이입 과정과의 비교를 위해 임하댐의 반변천과 가까운 길안천의 중류 구간을 선정하였다. 자갈사주의 식생이입 과정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자갈사주를 전구역과 세부구역으로 나누어 같은 지점에서 같은 배율로 사진을 촬영하였다. 전자는 자갈사주 전체를 대상으로 촬영하며, 이를 위한 view point 선정이 중요하고 선정에 적절한 지점을 제시하였다. 후자의 경우 식생의 이입 정도를 왕성, 보통, 미약, 없음(4단계)로 구분하기 위해 대상 지점을 matrix가 50% 이상인 지점 ; 식생이입 왕성 (2개 지점), matrix가 50% 이하인 지점 ; 식생이입 보통, 또는 미약 (2개 지점), matrix가 없는 자갈만의 지점 ; 식생이입 없음 (1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식생이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하상토의 입경과 흐름의 특성(수심, 유속, 하상 소류력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조사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Effects of Fluvial movement Decrease on Channel Morphology Change : a Case of the Jiseok River (하도의 이동성 감소에 따른 하천 지형의 변화 연구 : 지석천을 대상으로)

  • Ock, Gi-Young;Lee, Sam-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42-1046
    • /
    • 2006
  • 지석천 중하류는 영산강의 제1지류로서 전라남도의 화순을 가로지르는 국가하천 구간이다. 이 구간(대초천 합류점${\sim}$화순천합류점)의 하천경사는 약 1/640 이며, 하천주변에는 충적평야가 발달해 있다. 이와 같은 하도의 하상재료는 자갈/모래의 혼합사가 분포하는 것이 일반적인 특성이지만, 2005년 현재 선격자법에 의한 조사결과 평균입경$(d_{50})$은 8cm 전후의 작은호박돌/매우굵은자갈로 구성되어 있는 특이성을 보이고 있다. 문헌에 따르면 1978년 하상재료의 평균입경은 $1.59{\sim}2.23cm$로서 20여년동안 하상재료는 매우 조립화되고, 하상은 장갑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지석천 유역의 농업화와 도시화에 따른 하도정비 및 유황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진 분석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하천지형학적 변화와 사주의 식생피복상태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하도특성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지석천에서 하천의 역동성이 크게 감소함으로써 다지형(망상) 하도로 하도선형이 변화하고, 식생사주의 면적이 확대되었으며, 하상저하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 PDF

Preliminary field survey and analysis of ground water level and soil moisture in riparian vegetation zones (식생사주 역에서 지하수위와 토양수분의 현장 기초 조사.분석)

  • Woo, Hyo-Seop;Chung, Sang-Joon;Cho, Hyung-Jin;Lee, Ch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14-114
    • /
    • 2011
  • 196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 이전 우리나라 하천은 모래, 자갈 사주가 경관생태의 대부분을 이룬 이른바 'White River'이었으나, '70년대 이후 댐건설, 하천정비 등으로 유황과 유사이송 특성이 변하면서 수변에 식생이 번무하는 이른바 'Green River'가 진행 중이다. 하천에서 식생활착은 생태 측면에서 생물 종의 다양성에 일부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반면에, 고유종이 감소, 소멸하는 문제가 생긴다. 치수 측면에서는 흐름저항 증가와 하도의 고착화를 촉진시켜 치수 안정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주 상 식생활착 현상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시작으로서, 하천 식생사주역에서 식생활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소류력과 토양 수분 등 2대 물리 요소 중에서 후자에 초점을 맞추어 토양수분 요인과 식생 이입, 활착, 천이와의 관계를 규명한다. 이를 위해 모래하천인 낙동강 제1지류 내성천의 국가하천 구간 하류 지점인 회룡포 직상류 약 4km 지점을 시험하천 구간으로 선정하여 하천수위, 지하수위, 토양수분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관측 시설을 가지고 1차적으로 2010년 8월부터 2011년 4월 초까지 지하수위와 하천수위, 토양수분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호 관계를 분석하였다. 사주 상 식생 활착 특성도 주기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번 일차 기초 조사 및 분석 결과, 하안에서 약 140-240m에 위치한 지하수위 관측정에서 측정된 지하수위는 하천수위 변화에 비해 시간적으로 약 20시간 지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주 토양수분은 일반적으로 지하 깊이에 따라 커지나, 동시에 토층구조(soil texture)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Investigation of Bed Material for Effective River Management (효율적인 하천 관리를 위한 하상재료조사)

  • Ye, Ryeong;Park, Jae-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10-210
    • /
    • 2011
  • 하도에서의 하천정비 및 안전하도 유지를 위해서는 하상변동 특성을 면밀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류유역에서 하천으로 내려온 유사(流砂)는 하천의 흐름과 생태환경에 영향을 미친다. 이중 하천흐름은 사련(ripple)이나 사구(dune)의 형성에 영향을 미쳐, 하천의 지형변동인 사주에 영향을 주고 하천 식생의 성장과 발달에 직 간접적으로 간섭하게 된다. 또한, 교량, 취수장의 취수장애, 호안블럭의 침식 등과 같이 수리구조물의 안정에 영향을 주게 된다. 하천의 유사량 변화에 따라 생태계의 서식환경이 변하게 된다. 또한, 저수지에서 유입 유사량의 변화에 따라 저수지의 용적이 변하게 되어 댐의 설계 및 운영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며 특히 저수지 탁수관리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는 4개 대권역의 주요지천 및 댐 직 하류하천 지점 중 적정구간을 선택하여 하상재료조사를 실시하였다. 하상재료 조사는 하도를 구성하는 모래와 자갈의 물리적 성질 중 유사의 이동량 및 하상의 변동, 하도설계 등에 관련 있는 입도분포, 비중 등을 측정하며 자갈하천은 표층 하상재료를 조사하고, 모래 재료는 체분석, 실트이하 재료는 BW관 등을 이용한 침강속도 분석을 실시한다. 주요지점의 중 남강의 안의 수위 우량관측소 지점의 상 하류 2km 구간을 200m마다 21개 지점의 하상재료를 채취하여 입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남강 안의지점의 표층은 여느 하천과 마찬가지로 상 하류 굵은 자갈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형적인 자갈하천의 특성을 보었다. 상류200m(2000m)에서는 최소 50mm(10mm), 최대 440mm(75mm), 평균입경은 174mm(34.7mm) 이었고, 하류200m(2000m)에서의 표층입경은 최소 8mm(25mm), 최대 50mm(110mm)이며 평균입경은 27.3mm(62.5mm)로 구성되어 있었다. 전체적으로 상류지역의 입경이 하류지역보다 큰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유수 흐름의 일시적인 저항이 발생하는 안의교 지점의 자갈 입경이 인근 부근보다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emporal Adjustment of Channel Geometry and Spatial Changes in Riverbed Materials along the Downstream Channels of Large Dams in the Geum River basin (금강유역 대형댐 하류 하도지형 경년변화 및 하상재료 종적변이 연구)

  • Ock, Giyoung;Choi, Mikyoung;Park, Hyung-Geu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6 no.4
    • /
    • pp.287-294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longitudinal changes in riverbed materials properties and temporal alteration of river channel geomorphology in the Geum River basin, where two multipurpose dams(Yongdam Dam and Daecheong Dam) were built in upstream area. We carried out grain size distribution analyses and measured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of riverbed materials taken at the upper and lower sites of the two large dams. We also estimated the channel width, bar area and vegetation encroachment using the oldest map and aerial photographs taken before an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dams. The results can contribute to increasing understandings of dam induced habitat alteration in river ecosystem.

Recruitment and Succession of Riparian Vegetation in Alluvial River Regulated by Upstream Dams - Focused on the Nakdong River Downstream Andong and Imha Dams - (댐 하류 충적하천에서 식생이입 및 천이 - 낙동강 안동/임하 댐 하류하천을 중심으로 -)

  • Woo, Hyo-Seop;Park, Moon-Hyung;Cho, Kang-Hyun;Cho, Hyung-Jin;Chung, Sang-J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5
    • /
    • pp.455-469
    • /
    • 2010
  • Changes of geomorphology in alluvial river and vegetation recruitment on its floodplain downstream from dams are investigated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focusing on the downstream of Andong dam and Imha dam on the Nakdong River. Results of the analyses of river morphology and bed material in the study site show a general trend of riverbed degradation with a max scour of 3 m and bed material coarsening from pre-dam value of 1.5 mm in D50 to post-dam value of 2.5 mm. Decrease in bed shear stress due to the decrease in flood discharge have caused vegetation recruitment on the once-naked sandbars. As result, the ratio of area of vegetated bars over total area of bars has drastically changed from only 7% in 1971 before the Andong dam (constructed in 1976) to 25% after it, and increased to 43% only three year after the Imha dam (constructed in 1992) and eventually to 74% by 2005. Analysis of the vegetation succession at Wicjeol subreach, one of the three subreaches selected in this study for detailed investigation, has clearly shown a succession of vegetation on once-naked sand bars to a pioneering stage, reed and grass stage, willow shrub and eventually to willow tree stages. At the second subreach selected, two large point bars in front of Hahoe Village seem to have maintained their sand surfaces without a signifiant vegetation recruitment until 2005. The sand bars, however, seem to have been invaded by vegetation recently, which warns river managers to have a countermeasure to protect the sand bars from vegetation invasion in order to conserve them for the historical village of Hahoe. On the other hand, recruitment and establishment of vegetation on the sand bars by artificial disturbance of the river, such as damming, can create an unique habitat of backmarsh in the sandy river, as shown in the case of Gudam Wetland, and may increase the biodiversity as compared with relatively monotonous sand bars. Last, the premise in this study that decrease in flood discharge due to upstream dams and decrease in bed shear stress can induce vegetation recruitment on the naked sand bars in the river has been verified with the analyses of the distribution of dimensionless bed shear stress along the selected cross section in each subreach.

Correlation between Biotic Factor and Abiotic Factor - Focus on the Case Streams in Kyonggi District - (하천에서의 무생물적 환경인자와 생물과의 상관성 - 경기지방의 하천사례를 중심으로 -)

  • Kim, Hyea-Ju;Kim, Song-Yee;Kim, Chang-Wa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0 no.4
    • /
    • pp.374-390
    • /
    • 2006
  •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he 9 element (used as the classification standard of stream typology out of the 25 elements pertinent to the survey of hydromorphological structure) and both emerged benthic macroinvertebrate as well as vegetation indicated that the substrate diversity, curvature, and degree of development of the transverse bar ha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species composition. Only COD concentration was found to hav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distribution of benthos among the 12 aquatic and chemical elements. Specifically, the analysis of the biotic and abiotic factors i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and river and cobble river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suggesting that there is a distinctiv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rivers in terms of hydromorphologlcal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consideration of a biotop is prerequisite for the evaluation of stream status regarding stream restoration or the ecological topology of streams.

A Field Survey and Analysis of Ground Water Level and Soil Moisture in A Riparian Vegetation Zone (식생사주 역에서 지하수위와 토양수분의 현장 조사·분석)

  • Woo, Hyo-Seop;Chung, Sang-Joon;Cho, Hyung-Ji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10
    • /
    • pp.797-807
    • /
    • 2011
  • Phenomenon of vegetation recruitment on the sand bar is drastically rising in the streams and rivers in Korea. In the 1960s prior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most of the streams were consisted of sands and gravels, what we call, 'White River'. Owing to dam construction, stream maintenance, etc. carried out since the '70s, the characteristic of flow duration and sediment transport have been disturbed resulting in the abundance of vegetation in the waterfront, that is, 'Green River' is under progress. This study purpos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water level, water temperature, rainfall, soil moisture and soil texture out of the factors which give an effect on the vegetation recruitment on the sand bar of unregulated stream. To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the downstream of Naeseong Stream, one of sand rivers in Korea, as the river section for test and conducted the monitoring and analysis for 289 day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aerial photos taken from 1970 to 2009 in order to identify the aged change in vegetatio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e range of the tested river section was 361 m in transverse length and about 2 km in longitudinal length. According to the survey analysis, the tested river section in Naeseong Stream was a gaining river showing the higher underground-water level by 20~30 m compared to Stream water level. The difference in the underground water temperature was less than $5^{\circ}C$ by day and season and the Stream temperature did not fall to $10^{\circ}C$ and less from May when the vegetation germination begins in earnest. The impact factor on soil moisture was the underground water level in the lower layer and the rainfall in the upper layer and it was found that all the upper and lower layer were influenced by soil particle size. The soil from surface to 1 m-underground out of 6 soil moisture-measured points was sand with the $D_{50}$ size of 0.07~1.37 mm and it's assumed that the capillary height possible in the particle size would reach around 14~43 cm.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space analysis on the tested river section of unregulated stream for 40 years, it was found that the artificial disturbance and drought promoted the vegetation recruitment and the flooding resulted in the frequency extinction of vegetation communities. Even though the small and large scales of recruitment and extinction in vegetation have been repeated since 1970, the present vegetation area increased clearly compared to the past. It's found that the vegetation area is gradually increasing over time.

Environmental Change of Sediment and Vegetation in the Hwanggang River (황강의 유사 및 식생 환경 변화)

  • Jeong, Seokil;Choi, Hyun Gu;Kim, Hwa Yeong;Lim, Tae Hwan;Ryu, Jo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54-454
    • /
    • 2021
  • 하천 환경에 대한 최근의 사회적 관심은 하천횡단구조물에 대한 평가를 기존의 이□치수적 관점에서 환경□생태학적 관점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이는 자연하천(특히 충적하천)이 수공구조물에 가로막히면 일반적으로 유사, 식생 등의 하천 제반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전제에서 댐에 대한 평가가 시작되는 것으로, 국내에서는 이러한 인식의 변화가 2010년대 이후 널리 퍼지면서 현재는 더 이상 신규 댐을 건설할 수 없게 되었다. 댐에 의한 수리 특성과 기후 변화 등으로 댐 하류하천의 유사, 식생, 생태변화는 최근 급격하게 진행되었지만, 정량적인 변화량 및 지표 도출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최근의 data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관련 원인과 대책 제시에 다소 한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주요 지류 중 하나이며, 충적하천인 황강을 대상으로 가용한 data를 활용하여, 합천댐 건설 전□후의 유사, 식생변화로 대표되는 하천 환경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변화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유사환경의 변화 분석은 댐 건설 전부터 최근까지의 문헌들에서 조사□제시된 data를 이용하였다. 연도별 최심 및 평균하상고는 댐 건설 전과 비교해 1.0 m가량 감소하였는데, 댐에 의한 세류사 공급차단보다는 골재 채취 및 하도 정비 등이 지배적인 원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유사 입경의 변화는 댐 건설 전 대비 조립화가 진행되어 모래비율이 감소하고 유사 입경(댐 직하류 약 2배)이 증가하였다. 이는 골재 채취 및 댐에 의한 세류사 차단에 기인한 것으로, 준설된 지역의 하상이 모래 대신 자갈로 대체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유사량의 경우 몇 번의 조사 과정이 있었으나,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정량적인 변화는 파악하기 어려웠다. 제외지의 식생 분포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이미지 처리 기법을 동원하여 분석하였으며, 대상은 합천댐 하류 중 모래 사주의 비율이 큰 곳을 선택(3지점)하였다. 분석 결과 2008~2011년 이전까지 큰 폭으로 사주가 식생 서식처로 변화(약 20%)되었으며, 이후 큰 변화 없이 안정화 된 경향을 보였다. 이는 2009~2011년 동안 식생이 활착되는 봄~초여름의 강우량 감소, 댐의 홍수조절 및 하상 조립화로 인한 다년생 식생의 활착되고 성장할 시간이 확보되면서 홍수 등 외부 변화에 대한 식생의 대응 능력이 증가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합천댐이 황강 환경변화에 주는 영향은 분명하지만, 현재 상황은 기후 변화와 인위적인 골재채취도 주요 원인으로 판단되는 바, 향후 하천 환경 개선 계획 수립 시 이러한 변화 원인이 고려된 대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