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각증상

검색결과 391건 처리시간 0.035초

유방절제술 환자의 신체기능과 피로 (Physical Function and Fatigue in Mastectomy Patients)

  • 유양숙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6권2호
    • /
    • pp.164-171
    • /
    • 2003
  • 목적 : 본 연구는 유방절제술 환자의 신체기능과 피로를 파악하여 수술 후 적응을 돕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개발에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 2003년 3월부터 6월까지 서울 C 대학병원에서 유방절제술을 받은 환자 63명을 대 상으로 어깨관절 가동범위, 어깨관절 기능, 신체적 자각증상 및 피로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환측의 어깨관절 가동범위는 건측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어깨관절 기능이 가장 높았던 문항은 '바지 입기'였으며, 가장 낮았던 문항은 '등지퍼 올리기'였다. 신체적 자각증상의 정도가 가장 높았던 문항은 '감각이 둔하다'였으며, 가장 낮았던 문항은 '가렵다'였다. 4. 피로 때문에 가장 방해가 되었던 문항은 '일상적인 생활(집 밖의 일과 매일하는 허드렛 일)'이었다. 결론 : 유방절제술 후 신체기능을 향상시키고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 PDF

치과위생사의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근무환경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and work environment in dental hygienists)

  • 김해경;박현숙;김영선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128-1137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working environment related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among dental hygienists.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32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clinics and general hospitals in Daegu. The data has collected through the self-questionnaire survey from July 9th 2012 to July 31th. Results : 1.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were 85.3% in shoulder(right), 81.9% in neck, 74.6% in shoulder(left), 65.5% in wrist(right), 56.5% in lower leg(right). 2. Pain frequency of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were the highest 24.7% in neck. Seeing the severity pain was the highest 9.0% in foot(left). The investigation of work interference related to substantially pain showed the highest 18.5% in wrist(right). 3.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correlated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marital status, regular exercise and medical check-up(p<.05). 4. Musculoskeletal subjective symptoms correlated with working environments such as working career, the night treatment, the average daily number of patients handled, the average daily standing work hours, the regular rest, the major job in work place and physical burden(p<.05). Conclusions : The education or program on wrong working habits and bad postures of dental hygienists is needed to prevent musculoskeletal disorder.

과수재배 농업인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Fruit Farm Workers)

  • 박소연;김진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66-276
    • /
    • 2014
  • 본 연구는 사과, 배 작목 농업인을 위해 개발한 근골격계질환 예방운동프로그램이 농업인의 신체적 능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근골격계 자각증상(NIOSH 기준1)이 있는 농업인 25명을 대상으로 2011년 4월 7일부터 7월 1일까지 12주간 예방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과수재배 농업인들을 위해 실시한 근골격계질환 예방운동프로그램은 농업인들의 신체적인 능력(상지지구력, 하지지구력, 평형성, 민첩성)을 향상시키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삶의 질은 요통장애지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와도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농작업의 특성을 고려한 운동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기를 기대한다.

대전시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아침식사 섭취가 학습태도 및 학업적 효능감, 정신건강에 관한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reakfast Eating on Lening Attitude, Academic Efficacy and Self-Rated Mental Health of the 5th Grade Students of Primary School in Daejeon City in Korea)

  • 정진연;김미자;김영아;이선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709-720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breakfast eating on learning attitude, academic efficacy and self-rated mental health. Survey was carried out with 460 subjects of the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Daejon area. The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with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defined as an intake of 7 d/wk, 3-6 d/wk and 0-2 d/wk.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was 7 d/wk in 52.4%, 3-6 d/wk in 35.4% and 0-2 d/wk in 12.2% of the subjects. The most common pattern of breakfast was the traditional Korean style. The students who have breakfast every day(7 d/wk group) show better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efficacy(p<.001) and positive on self-rated mental health while 3-6 d/wk and 0-2 d/wk groups were negative(p<.001). In conclusion, regular breakfast eating group shows better learning attitude, academic efficacy and self-rated mental health so that they have positive health status and academic achievement.

턱관절 장애 자각증상 및 관련요인 (Subjective symptoms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related factors)

  • 김수경;김연주;남정민;박정선;심미연;윤세진;정은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89-600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ve that stres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the jaw joint disorders and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a questionnaire survey to more than 350 people from December 30, 2016 to January 7, 2017. Among them, 336 copies were collected and 314 copies were utilized eventually, except Section 314, for the final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Results: As a result, academic achievement and stress were found to affect the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and stress, the higher the subjective symptoms of jaw joint disorder. Conclusions: Because stress affects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cause of stress not only for professional treatment but also for solution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Thus, stress level must be conisdred as influential factors in developing a jaw joint disease prevention program.

성인의 부정교합 자각증상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 (The correlation between symptoms of malocclusion in adults and their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 김수경;박소영;안지현;양지은;이세현;정은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25-234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subjective symptoms of malocclusion has on the patient's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Methods: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aged 20 years, with a total of 308 copies of the response sheets analyzed. Results: The degree of subjective symptoms of malocclusion was highest in the group of those in their 20s when looked at across different age groups, and those who had a final education of middle school. In addition,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was the highest in middle school graduates and among those in Gyeonggi province. The degree of malocclusion symptom according to oral health behavior was highest in 1-2 weeks of drinking when smoking in a smoking state, and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was higher in smokers than in non-smokers. The greater the subjective symptoms of malocclusion, the lower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ive symptoms of malocclusion decreased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As such,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can be improved through aesthetic and functional improvement efforts to decrease the subjective symptoms of malocclusion.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건강관련 생활습관과 자각증상 (Health-related lifestyle and self-reported symptoms in dental hygiene students)

  • 권순석;한수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85-493
    • /
    • 2014
  • Objectives : The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related lifestyle and psychosomatic self-reported symptom in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478 dental hygiene students in Gyeonggi-do and Gangwon-do from March 7 to June 21, 2012 by random sampling method after informed consent. Results : The health-related lifestyle showed the results as follows. Nonsmokers accounted for 89.1%. Those who never exercise accounted for 67.9% and 37.9% of the students sleep for 5-6 hours. Those who take alcohols twice per month accounted for 58.2%.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ymptoms and lifestyle included multiple subjective symptoms(I), respiratory(A), eyes and skin(B) and digestive organs(C) symptoms and smoking status(p<.01), mouth and anal(D), depression(K), nervousness(E). There existed the correlation in average sleeping time(p<.01) and impulsivess(H) and smoking status(p<.05) and lie scale(L) and regular exercise(p<.05) and aggressiveness(F) and drinking habits and irregular and life(G) and breakfast habits. The smoking habit, sleeping time, and snack intake had an influence on psychosomatic self-reported oral health-related symptoms. Conclusions : Cessation of smoking, adequate sleeping time, and reduction of snack intake can improve the oral health-related lifestyle and reduce the self-reported symptoms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VDT 작업 후의 조절기능 변화 (Changes in Accommodative Function after VDT Work)

  • 서은선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85-291
    • /
    • 2012
  • 목적: VDT 작업이 조절기능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조절기능 이상과 전신 및 안질환이 없고 교정수술을 받은 경험이 없는 대학생 48명(남 16명, 여 32명)을 대상으로 VDT 작업 전과 2시간 작업 후의 굴절력, 조절래그, 조절용이성, 상대조절력과 최대조절력, 순목 횟수 값을 측정하였다. 원거리 굴절교정 도수를 착용한 상태에서 모든 검사를 실시하였고 VDT 증후군의 자각증상에 관련된 항목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2시간동안 VDT 작업 후의 굴절력변화는 0.23 D 증가하였고, 조절래그 변화량은 우안에서는 $0.17{\pm}0.42D$, 좌안에서는 $0.23{\pm}0.47D$(t=2.26, p=0.03) 만큼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조절용이성과 상대조절력과 조절력은 VDT 작업 후에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순목 횟수는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VDT 작업 후 안정피로가 33.4%, 어깨통증이 33.3%의 자각증상을 보였다. 결론: 2시간 VDT 작업 시간에 따라 조절래그는 증가하였고, 전반적인 조절기능의 능력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시각적 부담을 주는 증상으로는 안정피로가 가장 높은 자각도를 보였다.

여자대학생의 식생활습관, 체형 및 체중조절 태도와 피로자각증상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Habits, Attitudes toward Weight Control and Subjective Fatigue Symptoms in Women College Students)

  • 양정연;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338-3348
    • /
    • 2013
  •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식생활 습관, 체형 및 체중조절태도와 피로자각증상과의 관련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대전광역시의 6개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1~4학년 여자대학생 508명을 대상으로 2012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자기기입식조사표(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에 의해 설문조사 하였다. 조사내용은 조사대상학생들의 기본적 속성 및 일상생활 상황, 식생활습관, 체형 및 체중조절 태도, 피로자각증상에 관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피로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한 가지 음식만의 식사. 외식 빈도, 저녁식사의 섭취상황, 인스턴트식품 섭취빈도, 시리얼 및 아이스크림 섭취빈도, 콩류 및 콩 제품류 섭취빈도, 우유 및 유제품류 섭취빈도, 설탕의 과잉섭취에 대한 주의, 식염의 과잉섭취에 대한 주의, 체형의 자기평가, 체중조절의 지향 등의 식생활습관, 체형 및 체중조절 태도에 관련된 여러 변수들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건전한 식생활습관을 하기 위한 노력이나 보다 더 객관적인 평가에 의한 체형 및 체중조절의 자기평가가 이루어지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2D와 3D 영상 시청 후 나타난 사위도 및 자각증상의 변화 (Change of Phoria and Subjective Symptoms after Watching 2D and 3D Image)

  • 김동수;이욱진;김재도;유동식;정의태;손정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5-194
    • /
    • 2012
  • 목적: 2D 영상과 2가지의 방식의 3D 영상을 이용하여 시청 전 후의 사위도 변화와 자각적 안정피로를 비교하였고, 3D 영상 시청과 제작의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20~30세의 대학생 41명(남 26명, 여 15명)을 대상으로 30분간 시청한 2D 영상, 3D-FPR과 3D-SG 영상의 시청 전후의 사위도와 자각증상을 측정하였다. 각 영상 시청 전후에 측정한 사위도 변화와 설문조사로 얻은 자각증상 자료는 대응비교와 Pearson 상관관계로 분석하였다. 결과: 2D 영상 시청 직후의 원거리와 근거리에서 0.5 $\Delta$ 정도 외사위도가 증가하였지만 유의적 수준은 없었으며, 3D 영상 시청 직후에는 시청 전과 비교하여 원거리에서 1.0~1.5 $\Delta$ 정도, 근거리에서는 1.5~2.0 $\Delta$ 정도 유의적 수준에서 외사위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원거리사위도보다 근거리사위도에서의 변화가 0.5 $\Delta$ 정도 더 많았다. 3DFPR과 3D-SG 영상 방식에 따른 변화는 0.5 $\Delta$ 미만으로 차이는 없었다. 시각적 자각 증상에서도 2D 영상에 비해 3D 영상에서 안정피로가 증가하였다. 3D 영상 방식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위도의 변화와 안정피로의 상관관계에서는 외사위로 증가할수록 안정피로가 증가하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3D 영상을 시청함에 따라서 안정피로가 증가되며, 이에 따라서 사위도의 변화에서는 외사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