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가 투여

검색결과 687건 처리시간 0.035초

전자궁 적출술 후 자가통증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정맥과 경막외로 투여된 Alfentanil의 진통효과 비교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of Alfentanil after a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A Comparison of the Intravenous and Epidural Route)

  • 최수경;윤석화;이준화;황재하;정우석;김윤희;이원형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0권2호
    • /
    • pp.169-173
    • /
    • 2007
  • Background: Although the use of intravenous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IVPCA) has been compared to the use of patient conrolled epidural analgesia (PCEA), there is no optimal administration route of alfentanil for the treatment of postoperative pain. This randomized double-blind study compared the efficacy of the use of IVPCA and PCEA for postoperative pain and the side effects after a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TAH). Methods: Sixty patients undergoing a TAH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either IVPCA (Group I) or PCEA (Group E) for the infusion of alfentanil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In both groups, a loading dose of $750{\mu}g$ alfentanil was administered. All patients received the same continuous infusion rate (0.3 mg/h), bolus dose (0.15 mg), and lockout time (15 min). The incidence of side effects, the VAS (visual analog scale) of pai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checked for 20 hours after the loading dose injection. Results: The VAS of pai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of patients. The onset of the analgesic effect was significantly more rapid in the Group I patients than in the Group E patien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side effects for either group. Conclusions: When considering multiple factors such as the onset of analgesia, technical difficulties or infection after the procedure, IVPCA using alfentanil is more useful than PCEA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after a TAH.

미성숙 흰쥐에 있어서 과잉배란 난자의 체외수정 및 수정란의 배양에 관한 연구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Culture in Immature Rats induced to Superovulate)

  • 이종호;박충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1-47
    • /
    • 1991
  • 미성숙 흰쥐에 있어서 과잉배란 유기시 PMSG용량이 체외수정에 의한 수정율과 수정란의 배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체외수정 및 배양용기로서 plastic mini-straw의 이용효과와 체외수정란의 이식성적을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미성숙 흰쥐(체중 65~80g)에게 PMSG를 4, 10, 16 혹은 40IU를 1회 근육주사한 후 72시간에 채란한 난자 중에서 난구세포괴를 가진 정상형태의 난자와 정소상체 미부에서 채취하여 예비배양한 정자로 체외수정시켰다. 체외수정율은 PMSG 용량이 증가될수록 감소하였는데, 즉 4IU에서는 70.8%였으나, 40IU에서는 45.0%로 유의적으로 (P<0.05)저하하였다. 그러나 다정자 수정발생율은 2.3~9.7%로서 PMSG 용량에 따른 유의적인 증가는 없었다. 이 결과는 과량의 PMSG의 투여로 배란된 난자 중에서 일부는 비록 난자가 형태학적으로는 난구세포괴를 가지는 정상적인 난자일지라도 체외수정율의 저하는 정상적인 배란시간보다 조기배란으로 난자의 노화로 인하여 수정에 적합하지 않음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plastic mini-straw를 고안하여 straw내에서 체외수정시킨 후 66~72시간까지 배양시험한 결과 2-16와 4-16세포기까지 발달된 배의 비율은 petri dish보다 다소 우수(P<0.05)하였으며, straw용기에서 체외수정된 2세포기의 52개의 배를 7마리의 위임신 흰쥐에게 이식시켰던 바 6개의 배를 이식 받은 한 마리의 수란쥐가 2마리의 새끼를 분만하였다.

  • PDF

중간층 레진 적용이 단일 접착과정 상아질 접착제의 접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tional application of a resin layer on dentin bonding using single-step adhesives)

  • 최승모;박상혁;최경규;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4호
    • /
    • pp.313-326
    • /
    • 2007
  • 본 연구는 단일 접착과정 상아질 접착제와 복합레진 사이에는 부적합성이 존재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중간 레진층이 필요하다는 가설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발치된 치아의 협설측 상아질에 3종의 단일 접착과정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 후 광중합, 2종의 중간 레진층 적용, 광중합 또는 자가중합형 복합레진의 사용여부에 따라 30개의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고 투과전자현미경 (TEM)을 이용하여 접착계면에서의 미세 누출과 수분의 이동경로를 관찰하여 접착제의 투과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중간 레진층을 적용 시 접착층의 투과도가 감소되었고 복합레진에 대한 단일 접착과정 상아질 접착제의 결합강도가 증가되었다. 따라서 시간 절약 및 간단한 접착과정을 선호하여 단순화된 상아질 접착제를 선택하는 것은 재고되어야 한다.

지능기반사회에서의 u-비즈니스 전략 연구 (A study on the u-business strategy in the era of intelligence-based ubiquitous society)

  • 백광현;박경혜;최세연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6-66
    • /
    • 2006
  • 새로운 지능기반사회(ubiquitous society) 패러다임이란 전제 아래 미국을 비롯해 일본, 유럽 등 세계 각국에서는 모바일, 브로드밴드, 극소형 컴퓨터, IPv6의 기술이 창출해 내는 컴퓨팅 혁명의 실체를 유비궈터스 IT로 파악하고 각 국의 걸부, 기업, 연구소들이 주도권을 잡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유비쿼터스 IT를 활용한 u-비즈니스를 활성화하고 관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전 세계적인 경쟁은 매우 치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주요 국가들은 서로 지향하는 영역은 다르지만 궁극적으로 지능기반사회 구현이라는 대명제 아래 독자적인 산업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는 기본적으로 지능기반사회로의 이행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파급효과, 예컨대 디지털 가전, 이동통신기기, 전자의료기기, 디스플레이, 2차 전지, 보안 등 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새로운 시장 창출의 기회가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많은 연구 및 문헌에서는 아직도 유비쿼터스 IT에 대한 개념적인 논의에 치중되어 있고 시장 중심적 또는 수요자 중심적 사고의 논의가 부족하다. 성공적으로 유비쿼터스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유비쿼터스 IT자체기술 개발사업(tangible service) 뿐만 아니라 비가시적(intangible) 서비스, 그리고 컨버전스(convergence) 서비스에 대한 상용화 모델과 성공적 사업 전개 방법론에 대한 깊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유비쿼터스 IT의 기술동향과 시장 동향 및 산업 규모에 대한 문헌연구를 통해 u-비즈니스의 가능성을 고찰해보고, u-비즈니스 추진 전략을 탐색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되었다. SPME-GC/MS에 의한 휘발성분 분석 결과, 기능성 유지에서 홍국쌀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기인되는 특유의 휘발성분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RT=12.1 min인 hexanal의 함량이 control에 비하여 유의적인 감소 경향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p<0.05).히지 못하여, 이의 기전을 밝히기 위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TEX>로서 p<0.01 수준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혈청의 인지질과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지방산 조성에서 vitamin C를 혼합 투여한 3,5,7군에서 PUFA 함량이 증가한 반면, SFA 함량은 감소하여 P/S 비율, n-3P/n-6P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이는 간장의 인지질,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총 지질의 지방산조성에서도 같은 경향을 볼 수 있었다.X>$(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야생 돌복숭아 과육 중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16.74%, 단불포화지방산 17.51% 및 다불포화지방산이 65.73%의 함유 비율을 보였는데, 이 중 다불포화지방산인 n-6계 linoleic acid$(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지질 구성 총 지방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함유 비율을 나타내었다.했다. 하강하는 약 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

  • PDF

감식초에서 분리한 면역활성다당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Korean Persimmon Vinegar)

  • 황용철;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20-227
    • /
    • 2008
  • 한국 전통발효음료 중에 존재하는 특이다당류의 화학적 특성 및 생물활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농가에서 직접 발효한 감식초로부터 다당류를 분리하고 이들의 각종 면역증강활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감식초에 80% ethanol 침전을 행하여 얻어진 조다당 획분 PV-0을 이용, 연속적인 3회의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하여, 감식초의 주요 다당인 PV-1b-I으로 정제할 수 있었다. PV-1b-I획분은 HPLC상에서 대칭을 유지하는 단일 peak로 검출되었으며, 분자량은 약 110 kDa으로 평가되었다. 정제다당인 PV-1b-I의구성당 조성을 확인한 결과, mannose(46.8%), galactose(28.5%) 및 arabinose(19.1%)를 높은 비율로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본 정제다당은 ${\beta}$-glucosyl Yariv reagent와 강하게 반응하는 특성을 보여주었으며 이러한 사실로부터 PV-1b-I이 arabino-3,6-galactan 부위를 소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감식초에서 정제한 다당 PV-1b-I은 in vitro상에서 macrophage의 활성화를 높은 비율로 유도하였으며, 비장세포에 대해 높은 증식능을 보였다. 또한 PV-1b-I을 정맥 투여한 경우, NK cell을 활성화하여 YAC-1 종양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증가시킴이 관찰되었다. 한편 고분자 정제 다당인 PV-1b-I는 비특이적 면역계에 있어 중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보체계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인 활성화 경향을 보였다. 이들은 $Ca^{2+}$ 이온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항보체 활성과 anti-human C3를 이용한 2차원 면역전기영동에 의하여 C3 산물을 동정한 결과로부터 보체계의 classical pathway와 alternative pathway 양 경로를 모두 경유하여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군산항만의 효율성 비교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Efficiency of Kunsan Port)

  • 나호수;김현초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77-300
    • /
    • 2009
  • 이 연구는 자료포괄분석(DEA)을 사용하여 1998년부터 2007년 사이의 기간에 대하여 한국의 중형항만의 효율성과 맘퀴스트 총생산성지수를 측정하여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중형항만 중에서 군산항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시도하였는데 이는 새만금항에 대한 국가적인 대규모투자가 예상되는 시점에서 군산항만의 효율성을 비교함으로써 정책적 함의를 얻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1)군상항은 규모에 대한 수익 불변(CRS)와 규모에 대한 수익 가변(VRS)의 가정하에서 가장 효율적인 항만의 효율성수준의 53%에서 57%수준에 있다는 점, 2)지난 10년동안에 7개 중형항만의 효율성의 차이는 더욱 확대되어 왔다는 점, 3) 군산항은 규모의 경제 측면에서 DRS의 성격이 더 많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 4) 군산항은 지난 10년의 기간에서 매년 총생산성이 평균 0.7%씩 하락되어 왔다는 점, 5)군산항은 이 기간 동안에 기술진보율이 3.1%정도씩 증가되어 왔다는 점 등을 발견하였다. 미래의 연구에서는 더 신뢰성 있는 자료의 보완을 통하여 군산항을 비롯하여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지는 항만의 효율성을 비교분석하여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별아교세포 선택적 유전자 치료전달을 위한 PLGA 나노입자 개발 (Development of PLGA Nanoparticles for Astrocyte-specific Delivery of Gene Therapy: A Review)

  • 신효정;이가영;권기상;권오유;김동운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849-855
    • /
    • 2021
  • 최근에는 나노기술이 다양한 분야에 도입되고 활용되면서 신약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나노입자는 약물의 단일 투여로 장기간 동안 혈중 약물 농도를 유지하고, 병리학적 부위에만 선택적으로 방출되는 장점이 있어 비병리 주위에 대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Poly (D,L-lactic-co-glycolic acid) (PLGA)는 가장 광범위하게 개발된 생분해성 고분자 중 하나이다. PLGA는 다양한 응용분야의 약물전달에 널리 사용된다. 또한 FAD에 의해 약물전달 시스템으로 승인되었으며, 유전자 치료제와 같은 제어방출제형에 널리 적용된다. PLGA 나노입자는 수동 및 능동 표적화 방법을 사용하여 특정 세포 유형에 고효율의 전달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PLGA 나노입자를 이용한 약물전달체 개발 후 표적 부위에 선택적으로 약물을 전달하고 질병에 따라 장기간 유효 혈중 농도를 최적화한다. 이 리뷰논문에서 우리는 유전자 치료를 위한 PLGA 나노 물질을 기반으로 하는 성상 세포 선택적 나노입자의 개발을 조사하여 세포 특이적으로 치료결과를 향상시키는 방법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PBEM-POEM 공중합체와 Poly(ethylene glycol)의 폴리머 블렌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막 제조 (Fabrication of Polymeric Blend Membranes Using PBEM-POEM Comb Copolymer and Poly(ethylene glycol) for CO2 Capture)

  • 문승재;민효준;김나운;김종학
    • 멤브레인
    • /
    • 제29권4호
    • /
    • pp.223-230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이산화탄소 친화적인 PBEM-POEM (PBE) 공중합체를 기반으로 고분자 블렌드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PBE 공중합체는 자유 라디칼 중합 반응을 통해 손쉽게 합성이 가능하며, 이를 상용 고분자인 PEG와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여 이산화탄소/질소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이산화탄소/질소 분리 성능을 테스트한 결과, PEG의 함량이 높을수록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감소하는 반면 이산화탄소/질소 선택도는 크게 증가하는 상충(trade-off) 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PBE/PEG (9 : 1)과 PBE/PEG (7 : 3)을 비교하면 이산화탄소 투과도는 단지 8.3% 감소한 반면에 질소 투과도는 69.1%나 감소하였다. 따라서 이산화탄소/질소 선택도가 33.8에서 100.3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것은 PBE 공중합체의 80%를 차지하는 POEM 사슬이 PEG와 상호작용하여 더욱 조밀한 구조가 되었기 때문이며, 이를 FT-IR, XRD, SEM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PBE/PEG (7 : 3) 블렌드 막이 가장 최적의 기체 분리 성능을 가졌고, 이산화탄소투과도는 170.5 GPU, 이산화탄소/질소 선택도는 100.3이었다.

CO2/N2 분리를 위한 Pebax 혼합막에서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7의 영향 (Effect of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7 in Pebax Mixed Matrix Membrane for CO2/N2 Separation)

  • 윤숭석;홍세령
    • 공업화학
    • /
    • 제32권4호
    • /
    • pp.393-402
    • /
    • 2021
  • 본 연구는 대표적 poly(ether-b-amide)인 Pebax-1657과 Pebax-2533에 합성된 zeolitic imidazolate framework-7 (ZIF-7)을 넣어 혼합막을 제조하고, 단일기체 N2, CO2에 대한 투과 성질을 조사하였다. 기체투과 결과에서, N2의 경우 Pebax-1657/ZIF-7 혼합막과 Pebax-2533/ZIF-7 혼합막 모두 ZIF-7 혼입에 따라 투과도가 감소하는 비슷한 현상을 보였지만, CO2 투과도의 경우는 고분자에 종류에 따라 조금 다른 경향을 보였다. Pebax-1657/ZIF-7 혼합막의 경우는 ZIF-7의 0~3 wt% 함량 범위에서 CO2 투과도가 감소하다가 그 이후 함량에서 투과도가 증가하였고, Pebax-2533/ZIF-7 혼합막의 경우는 ZIF-7의 0~5 wt% 함량 범위에서 CO2 투과도 증가 없이 감소하였다. CO2/N2 선택도의 경우 두 혼합막 모두 ZIF-7의 함량이 많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Pebax-2533/ZIF-7 5 wt%은 다른 혼합막들에 비해 가장 좋은 투과 성능을 보였다. 이는 ZIF-7이 Pebax-1657보다 Pebax-2533에 더 좋은 호환성을 보이며 CO2에 대한 선택적인 특성이 잘 나타났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나노구조체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와 IoT 센서 네트워크의 융합 연구 (Nanostructured energy harvesting devices and their applications for IoT sensor networks)

  • 윤종세;전부일;윤기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719-730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산화아연/탄소 테이프/산화아연의 대칭 구조를 갖는 ZCZ-NG라는 샌드위치형 산화아연(ZnO)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를 제시한다. 고품질의 ZCZ-NG 소자를 제작하기 위해 전도성 양면 접착 탄소 테이프를 활용하였으며, 이는 매우 높은 피크 투 피크 전압(Vpp)을 발생시키는 ZCZ-NG 소자의 개발로 이어졌다. ZCZ-NG 소자의 크기, 산화아연 층의 두께 그리고 벤딩 변형률 변화에 따른 ZCZ-NG 소자의 출력 성능 변화를 측정, 분석하였다. 또한 제작된 ZCZ-NG 소자의 실효성 및 응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적인 센서 네트워크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였다. 상용 아두이노를 기반으로 한 송신, 수신 노드들로 이루어진 테스트베드에서 노드들은 각 노드에서 감지한 정보들을 무선으로 송수신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대칭 구조의 샌드위치형 ZCZ-NG 소자 제작 기술과 센서 네트워크와의 융합 연구가 앞으로 더 발전되어 사물인터넷 구현을 위한 자가발전 센서 네트워크 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