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가 투여

검색결과 687건 처리시간 0.031초

Poly(ether-block-amide)/GPTMS 하이브리드 분리막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투과특성 (Transport Properties of CO2 and CH4 using Poly(ether-block-amide)/GPTMS Hybird Membranes)

  • 이근철;김현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5호
    • /
    • pp.653-658
    • /
    • 2016
  • Poly(ether-block-amide)(PEBAX$^{(R)}$)는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CU)로서 hard-rigid amide block과 soft-flexible ether block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자량과 두 block간의 구성비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PEBAX$^{(R)}$는 분리막소재로 이용할 경우 PEBAX$^{(R)}$의 hard amide block은 우수한 기계적 특성과 선택도를, 그리고 soft ether block은 높은 투과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종류의 PEBAX$^{(R)}$를 사용하여 기체 분리막을 제조하고, 종류에 따른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투과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또한 순수 PEBAX$^{(R)}$ 분리막의 투과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GPTMS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를 무기전구체로 사용한 PEBAX$^{(R)}$/silica 하이브리드 분리막을 제조하여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투과특성을 측정하였으며, 29Si-NMR, DSC, SEM 분석을 통해 무기전구체의 도입에 따른 고분자의 구조 변화를 연구하였다. 순수 PEBAX$^{(R)}$-1657과 PEBAX$^{(R)}$-2533 분리막의 투과도 측정 결과, 상대적으로 높은 ether block 비율의 PEBAX$^{(R)}$-2533 분리막의 투과도 계수가 높은 값을 가졌다. 상대적으로 높은 ether block 함량 때문에 고분자 사슬의 유연성이 보다 크기 때문으로 볼 수 있고, 이로 인한 확산선택도의 감소 효과에 의해 이상분리인자는 PEBAX$^{(R)}$-1657 분리막이 보다 높은 값을 가졌다. PEBAX$^{(R)}$/GPTMS 하이브리드 분리막의 기체투과도 측정 결과 $CO_2$$CH_4$ 모두 반응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CO_2$에 비해 $CH_4$의 투과도 계수가 낮아졌으나 이상분리인자는 증가함을 보였다. GPTMS가 가수분해되어 생성된 silanol이 고분자 사슬에 침투되어 축합과정을 거치며 공유결합에 의해 사슬간 결합이 커지고 사슬의 운동성을 감소시켜 투과도 계수가 낮아진 것으로 보이며, PEO segment와 $CO_2$와의 강한 친화도에 의해 $CO_2$의 투과도계수가 상대적으로 덜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순수 PEBAX$^{(R)}$-1657 순수 분리막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이상분리인자는 4.5% 감소한 반면 $CO_2$ 투과도계수는 3.5배 증가하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Isoniazid, Rifampicin, Ethambutol, Pyrazinamide의 병용투여가 Theophylline의 약물동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mbination Therapy of Isoniazid, Rifampicin, Ethambutol, and Pyrazinamide on Theophylline Pharmacokinetics)

  • 안효초;양재헌;김광훈;안혁수;장재호;이흥범;이용철;이양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5호
    • /
    • pp.992-1000
    • /
    • 1997
  • 연구배경 : Theophylline은 간세포내 cytochrome P-450 계열의 효소에 의해 거의 90% 정도 대사되는데, isoniazid, rifampicin 등 항결핵제틀은 미소체 효소계(microsomal enzyme system)에 영향을 미치어 theophylline과의 병용투여시 theophylline 대사에 변화를 일으킬수 있다. 방 법 : INH, RFP, EMB 및 PZA의 병합 요법이 theophylline의 약물동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Bayesian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Theophylline을 투여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3군으로 나누어, Group I를 대조군으로 하였으며, Group II는 INH, RFP, EMB 및 PZA를 병용 투여하였고, Group III는 INH, RFP 및 EMB을 병용 투여하였다. 모든 대상환자는 비흡연자로 간기능 및 신기능 검사상 정상 범위였으며 theophylline의 약물동태에 영향을 줄 수 있을 만한 약제를 복용한 환자는 제외하였다. 결 과 : 정상 대조군과 실험군들을 비교시, theophylline 소실률은 Group II와 Group III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01), theophylline 반감기 역시 Group II와 Group III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01). 그러나 Group II와 Group III간의 theophylline 소실률 및 반감기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INH, RFP 및 EMB 등의 항결핵제와 theophylline 병용 투여시 theophylline 용량의 재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hytol과 들미나리추출물이 Sarcoma 180마우스의 T Subset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hytol and Small Water Dropwort Extract on the T Subset in the Sarcoma 180-Transplanted Mice)

  • 김광혁;장명웅;박건영;이숙희;류태형;선우양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05-411
    • /
    • 1993
  • 본 연구는 녹황색채소류에서 추출되어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활성 물질로 보고되어 있는 phytol과 들미나리 추출물을 sarcoma 180마우스에 주사한 후 적출한 비장세포내 T임프구와 T subset, 그리고 asialo GM1$^{+}$세포를 정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종양 마우스에 phytol 을 투여하였을 때 비장세포내의 T cell과 T-subset은 종양세포이식에 의해서 상승된 치를 더욱 증가시켰다. 그러나 들미나리추출물의 경우는 대동소이하였다. 2) Asialo GM1$^{+}$세포는 종양마우스에 phytol이나 들미나리추출물을 주사하였을 때 모두 상승하였으며 정상마우스에 phytol 을 투여하였을 때도 대조군에 비하여 상승했지만 들미나리추출물을 작용시켰을 때는 저하되었다. 3) L3T4$^{+}$/Lyt-2$^{+}$세포비는 종양마우스에 phytol을 주사하였을 때 감소를 보였지만 정상 마우스에 투여하였을 때는 더욱 크게 낮아졌다. 그러나 들미나리추출물을 정상마우스에 투여 하였을때는 크게 감소하던 것이 종양마우스에 적요 시켰을 때는 증가현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phytol이나 들미나리추출물은 종양마우스에서 작용자 세포인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의 활성 인자로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b/db 마우스에서 상백피의 혈당강하효과 (Anti-hyperglycemic Effect of Cortex Mori radicis in db/db Mice)

  • 김윤영;조여원;정성현;구성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057-1064
    • /
    • 1999
  • 8주령의 C57BL/KsJ db/db마우스에 상백피 냉침추출물을 투여하면서 5주간 사육하여 식이섭취량, 체중변화, 혈중 포도당 농도를 관찰하고, 소장내 ${\alpha}-glycosidase$ 활성변화와 혈중 당화헤모글로빈 농도, 중성지방 농도,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였다. 상백피추출물 500 mg/kg을 공급하는 Rad 500군과 1000 mg/kg을 공급하는 Rad 1000군, db/db 대조군과 lean군으로 나누고 대조약물로는 acarbose 5 mg/kg을 투여하였다. Rad 1000군은 식이섭취량에서 db/db 대조군보다 낮은 수준이었으며 그에 따라 체중증가량도 유의적으로 낮았다. 또한 공복시 혈중포도당 농도는 Rad 500, Rad 1000, acarbose군 모두 db/db 대조군보다 낮았다. 혈중 당화헤모글로빈 농도와 중성지방 함량 측정결과는 농도의존적으로 시료투여군이 db/db대조군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혈중 인슐린 농도 측정결과 lean군을 제외한 나머지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Rad 500군에서 약간 높은 수준이 관찰되었다. 소장을 proximal, middle, distal 세부위로 나누어 각각에 대해 maltase, sucrase, lactase의 활성을 측정해본 결과 db/db군은 lean군에 비해 세효소의 활성이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료투여군은 sucrase의 경우 proximal, middle 부위는 db/db군 보다 낮고 distal 부위는 활성이 높았다. Maltase, lactase의 활성은 모든부위에서 시료투여군이 db/db군 보다 낮아 lean군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상백피는 db/db마우스에서 식이섭취량을 줄여주어 체중증가를 억제시키고 소장내 glycosidase활성을 전반적으로 낮춰 혈중포도당 농도를 낮춰주고 혈중 당화헤모글로빈 농도와 중성지방 농도를 낮춰주는 등의 항당뇨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진행성 위암 환자에서 수술 후 홈삼엑기스에 의한 면역 조절자 역할에 관한 전향적 연구 (Prospective Study for Korean Red Ginseng Extract as an Immune Modulator Following a Curative Gastric Resection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 서성옥;김진;조민영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104-110
    • /
    • 2004
  • 본 연구는 근치적 위절제 및 림프절 절제와 혹은 절제불가능 환자에서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받는 위암환자에서 홍삼액기스 투여군에서 비록 각군의 대상 개체의 표본수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홍삼엑기스 투여군에서 항암 cytokine으로 알려진 IL-2가 위암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나고 숙주의 항암 면역기능을 저해하는 cytokine인 IL-10은 수술 후 1개월에 홍삼엑기스 투여군에서 위암 대조군에 보다 그 감소비가 높게 나타났으며, 수술 후 3개월에는 홍삼엑기스 투여군에서만 건강 대조군 값에 접근하는 결과를 보여 보조 항암 화학요법 기간에서 홍삼엑기스의 투여는 위암 환자에서의 숙주의 항암 면역 억제의 현상을 빠른 시간 내에 회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대단위 개체를 포함하는 지속적인 추가 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하며 이러한 추가 연구가 진행 된다면 홍삼엑기스의 위암환자에서의 항암 면역기능의 역할을 임상적으로 증명 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 된다.

운동 전 BCAA, OKG 및 Albumin 가중 투여가 에너지 생성 물질과 대사관련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CAA and Additional OKG or Albumin Pre-Supplementation on Energy Generation Substances and Hormone Changes during Submaximal Exercise)

  • 백일영;곽이섭;서상훈;진화은;김영일;우진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90-897
    • /
    • 2006
  • 이상의 연구를 종합해보면, 장시간 운동시 BCAA 투여는 BCAA 산화시 발생되는 암모니아 등의 피로물질 축적에 의해 운동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나, 체내 글루코스가 소진되어가는 시점에서 유용한 에너지원으로 기여 되어 운동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여진다. 또한 OKG나 알부민을 가중투여하면 크렙스 사이클의 중간물질로 또는 유리지방산 동원의 운반자로서 BCAA 단독 투여시 부정적으로 나타난 원인을 해결하여 운동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운동과 BCAA, 그리고 내분비 체계와의 관계는 각 호르몬의 역할과 기능에 따라 도출되는 결론이 다를 수 있어, 앞으로 BCAA 대사와 관련된 효소반응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PEBAX^{TM}$/TEOS 하이브리드 분리막을 통한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기체투과특성 (Gas Permeation Properties of Carbon Dioxide and Methane for $PEBAX^{TM}$/TEOS Hybrid Membranes)

  • 김현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4호
    • /
    • pp.460-464
    • /
    • 2011
  • Poly(ether-block-amide)(PEBA, $PEBAX^{TM}$)는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CU)로서 hard-rigid amide block과 soft-flexible ether block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자량과 두 block간의 구성비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PEBAX^{TM}$는 분리막소재로 이용할 경우, $PEBAX^{TM}$의 hard amide block은 우수한 기계적 특성과 선택도를, 그리고 soft ether block은 높은 투과도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종류의 $PEBAX^{TM}$를 사용하여 기체분리막을 제조하고, 종류에 따른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투과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또한 순수 $PEBAX^{TM}$ 분리막의 투과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기전구체로서 TEOS(tetraethoxysilane)를 사용하여 $PEBAX^{TM}$/TEOS 하이브리드막을 제조하고, 그 투과특성을 순수 $PEBAX^{TM}$ 분리막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순수 $PEBAX^{TM}$-1657과 $PEBAX^{TM}$-2533 분리막의 투과도 측정 결과, ether block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PEBAX^{TM}$-2533 분리막의 투과도 계수가 보다 높은 투과도 계수값을 가졌다. 이는 $PEBAX^{TM}$-2533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ether block 함량 때문에 고분자 사슬의 유연성이 보다 크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PEBAX^{TM}$/TEOS 하이브리드 분리막의 투과특성을 순수 $PEBAX^{TM}$ 분리막의 결과와 비교할 때, 하이브리드 분리막의 기체 투과도 계수가 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이는 TEOS의 축합반응으로 생성된 silica domain에 의해 결정성이 감소하고 또한 이산화탄소와 silanol group과의 친화도(affinity) 증가에 따른 용해도가 증가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하이브리드 분리막의 투과도 계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이상분리인자는 거의 비슷하거나 약간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이산화탄소와 silanol group의 친화도 증가로 인한 용해선택도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피어-투-피어 스마트워치 시스템을 위한 바이오 센싱 데이터 동기화 (Bio-sensing Data Synchronization for Peer-to-Peer Smart Watch Systems)

  • 이태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813-818
    • /
    • 2020
  • 최근, 스마트기기의 기술 및 사용자의 급증과 더불어, 스마트워치 시장이 성장하고, 그 효용성 및 사용성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스마트워치의 강점은 웨어러블 휴대성, 응용의 즉시성, 데이터 다양성 및 실시간성 등이다. 이러한 강점에도 불구하고, 스마트워치는 배터리 제약,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크기 제약, 메모리 제약 등의 한계성을 지닌다. 또한, 개발자 및 표준 디바이스, 운영체제 표준 모델, 킬러 애플리케이션 모듈 등의 보완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스마트워치는 사용자의 생체정보 모니터링 및 응용이 주요한 서비스로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워치의 생체정보는 실시간 대용량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체정보 서비스의 고도화를 위해서, 센싱 데이터를 원격 스마트폰 또는 로컬서버저장소로 안정적인 피어-투-피어 전송이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워치 시스템에서 무선 원격 피어-투-피어 전송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동기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동기화 방법에 기초한 무선피어-투-피어 전송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비동기 전송 프로세스와 제안 동기 전송프로세스를 분석하여 전송량 증가에 따른 전송 효율화 방법을 제안하다.

횡성군 일대에서 채취한 야생뽕의 형태학적 특성 및 오디의 효능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Mulberry Leaves and Fruits with Wild Varieties)

  • 김현복;박광준;석영식;김선림;성규병;남학우;문재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8
    • /
    • 2002
  • 우리나라의 논둑, 밭둑 및 야산에서 자라고 있는 뽕나무 자원의 육종소재화 및 생리활성물질 이용 효율을 높이고자 횡성군 일대의 뽕나무와 오디를 지역별.그루별로 채취하여 뽕나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냉동건조시킨 야생오디의 추출물 및 분획물을 조제하여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흰쥐에 투여함으로써 지질대사 및 간장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1. 강원도 횡성군 일대에서 채취한 야생종(12점) 뽕나무의 엽선, 엽형, 엽각, 거치의 형태적 관찰 결과, 산상형(Morus bombycis) 백상형(Morus alba) 계통이 혼재함을 알 수 있었으나. 공시개체 중 노상형 계통은 존재하지 않았다. 2. 야생종 뽕나무의 오디 당도는 5.1~22.7 Brix %로서 지역별.그루별 차가 심하였다. 수집된 개체 중 6개체는 16Brix % 이상이었다. 3. 냉동건조시킨 야생오디 3kg으로부터 얻은 85% MeOH 추출물의 수율은 60.2%(1,805g)이었으며, MeOH 추출물로부터 얻은 Hexane, BuOH 및 Water 분획물의 수율은 각각 2.8%(50 g), 4.6%(82 g) 및 92.3%(1,666g)이었다. 4. 야생오디의 추출물 및 분획물 투언가 흰쥐의 지질대사 및 간장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콜레스테롤을 투여하여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대조군의 체중 증가량은 정상군보다 12% 높았으나 MeOH 추출물과 물 분획물 투여군의 체중은 각각 6%, 3%만이 증가하였다.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총콜레스테롤비 및 중성지질함량을 측정한 결과, MeOH 추출물과 물 분획물 투여군은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함량을 감소시켰는데,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각각 정상군의 71%, 70% 수준으로, 중성지질 함량은 각각 정상 군의 92%, 90% 수준까지 회복되었다. 또한 물 분획물 투여군은 GPT, GOT 및 LDH 활성에 있어서 각각 정상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단기 알코올 투여 시 마늘과 한약재 복합물이 체내 지질 조성 및 간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and Medicinal Plants Composites on the Liver Function and Lipid Metabolism of Rats Administered with Ethanol During the Short-term)

  • 강민정;신정혜;이수정;정미자;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934-942
    • /
    • 2009
  • 40% 알코올을 1주간 경구투여한 후 마늘 및 한약재 복합물을 각각 0.5%와 1%(GMP-I) 및 1%씩 (GMP-II) 식이에 혼합하여 3주간 급이하였을 때, 흰쥐의 체내 지질 성분 및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in vitro상에서 마늘 추출물의 ADH 활성은 20% 알코올농도에서 시료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ALDH 활성은 마늘 추출물 첨가 시 무첨가구보다 활성이 낮았으나, 한약재 추출물 첨가 시 40%의 알코올농도에서 시료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상승되었다. 알코올 투여 흰쥐에서 혈당은 마늘과 한약재 복합물의 급이시 마늘의 급이량이 많아질수록 혈당 저하에 효과적이었다. 혈중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인지질은 마늘과 한약재 복합물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마늘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체내 지질 감소 효과가 높았다. GOT, GPT, r-GTP 및 ALP 활성은 마늘 및 한약재 복합물의 급이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중 TBARS 함량은 마늘 및 한약재 복합물 급이 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의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도 마늘 및 한약재 복합물 급이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TBARS 함량은 마늘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생성이 억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