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잉크 액적 속도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정전기수력학 인쇄방법에 있어서 잉크 액적의 전하량 및 인가 전기장에 따른 거동 연구

  • Lee, Hyeon-Ju;Lee, Gyeong-Il;Lee, Cheol-Seung;Kim, Seon-Min;Kim, Seong-Hyeon;Byeon, Sang-Eon;Jo, Jin-U;Choe, Y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187-187
    • /
    • 2011
  • 최근 디스플레이 산업과 태양전지 등의 이차 전지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원가절감과 공정단계의 단순화를 위하여 다이렉트 패터닝 인쇄에 대한 연구가 관심을 받고 있으며, 나노전자부품 제작이 요구되는 전기/전자 소자들은 수백 nm에서부터 수십 ${\mu}$m 수준까지 다양한 해상도의 패턴으로 구성되므로 미세패턴이 가능한 정전수력학 잉크젯프린팅 방식은 기존의 인쇄 방식과 달리,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인쇄를 하는 방식으로, 수KV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잉크를 대전시키고, 대전된 잉크는 대부의 전기적 반발력에 의해 액적이나 액실로 분열하게 된다. 전하를 띤 액적 또는 액실은 정전기력을 받아 기판 쪽으로 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액적의 전하량에 의해 액적의 이동속도와 이동경로가 영향을 받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잉크의 전기전도도에 따른 액적의 전하량을 계산하여 전기전도도와 액적의 전하량과의 관계를 ANASYS 시뮬레이션과 운동경로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전기전도도가 0.307s/m~5.6s/m인 잉크에 따른 액적의 전하량을 계산하였으며, 전기전도도가 변화에 따라. 전하량이 $0.5{\times}10^{-13}C{\sim}2.5{\times}10^{-13}C$ 으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Detailed patterning formation through Etch resist printing condition reservation (부식 방지막 인쇄 조건 확보를 통한 미세 배선 형성)

  • Lee, Ro-Woon;Park, Jae-Chan;Kim, Yong-Sik;Kim, Tae-Gu;Joung, Jae-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6a
    • /
    • pp.179-179
    • /
    • 2006
  • 산업기술의 고도화에 따른 IT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각종 전자, 정보통신기기에 대해 더욱 소형화 고성능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향에 따라 더욱 향상된 기능을 가지고 각종 소자 부품의 개발과 동시에 유독 물질 발생이 없는 청정생산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가 끊임없이 제기 되어 왔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의 하나로 잉크젯 프린팅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Dod(Drop on Demand) 방식의 잉크젯은 가정용 프린터로 개발되어 널리 보급된 기술이지만, 이 기술을 PCB 제조기술에 전용하면 친환경 생산공정으로 부품 성장밀도를 증대 시킬 수 있다. 기존의 PCB 제조기술은 전극과 신호 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노광공정과 에칭공정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노광공정에서 쓰이는 마스크와 유틸리티 설비 유지 비용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노즐로부터 분사된 잉크 액적들의 집합으로 기판위에 점/선/면의 인쇄이미지를 구현하게 된다. 그러므로 인쇄 해상도는 잉크액적 및 인쇄 방법, 기판과의 상호작용에 크게 의존하게 된다. 잉크 액적과 기판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잉크의 물리화학적 물성(밀도, 점도, 표면장력), 잉크 액적의 충돌 조건(액적 지름, 부피, 속도), 그리고 기판의 특성(친수/소수성, Porous/Nonporous, 표면조도 등)을 들 수 있겠다. 우선적으로 노즐을 통과해서 분사되는 액적의 크기에 따라 기판위에 형성되는 라인의 두께 및 폭이 결정된다. 떨어진 액적이 기판위에서 퍼지는 것을 UV 조사를 통한 가경화 과정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라인의 투께 및 폭을 조절하려고 한다. 따라서 선폭 $75{\mu}m$의 일정한 미세 배선을 형성시키기 위해 액적 크기 조절과 탄착 resist 액적 표면의 UV 가경화 조건으로 구현하려고 한다. 또한 DPI(Dot Per Inch) 조절을 통한 인쇄로 탄착 resist의 두께 확보 후 에칭시 박리되는 현상을 억제 시키려 한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k Droplet Volume and Inkjet Waveform (잉크젯 파형과 잉크 액적 체적의 관계 실험적 분석)

  • Kwon, Kye-Si;Myong, Jae-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26 no.4
    • /
    • pp.141-145
    • /
    • 2009
  • Recently, inkjet technology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powerful tools for patterning electronics devices, such as large area display applications, RFID, PCB patterning, etc. By using the Inkjet technology, the droplet speed as well as the size can be controlled precisely. In this paper, the relationship between waveform and droplet size will be investigated by means of experimen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inkjet speed and droplet size will be discussed. It was shown from experimental results that ink droplet size from the nozzle diameter of $50{\mu}m$ can be varied from 37 to $58{\mu}m$ by modifying the inkjet waveform when the speed of the droplet is 1m/sec. Finally,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small drops are more difficult to generate than large drops since the jetting conditions for making small drops are sensitively affected by the dwell time variation.

Numerical Simulation of Inkjet Drop Formation in Piezo Inkjet Head (피에조 잉크젯 헤드의 액적 토출 형상 전산해석)

  • Joo, Youngcheol;Park, Sangkug;Kwon, Key-S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7
    • /
    • pp.641-647
    • /
    • 2016
  • A drop-on-demand inkjet is used widely for various application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jetting behavior of the drop from the piezo inkjet. In this study, to predict the jetting behavior, VOF (Volume-of-Fluid) simulation techniques were used and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experimentally measured meniscus movement was used as the input data for the simulation. To verify the simulation, the measured jetting behavior of the mixture fluids of ethylene glycol and IPA (isopropyl alcohol), which has a mixing ratio of 50:50, was used. The numerical simulation of the drop formation using various mixture ratios and its comparison with the measured drop formation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predict the actual jetting. On the other hand, the satellite drop behavior showed slight differences because the small sized droplet is subject to a more aerodynamic effect during flight because the kinetic energy of the satellite droplet is far smaller than that of the main droplet.

A Jet Strobe Signal Timing Control of Ink Jet Printer Head for Enhancement of Printing Speed and Quality (인쇄 속도 향상과 화질 개선을 위한 잉크젯 프린터 헤드의 액적 분사 신호 타이밍 제어)

  • Cho, Young-W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5 no.8
    • /
    • pp.1727-1734
    • /
    • 2011
  • In this paper, a position control scheme of the ink droplet is presented for the high image quality and print speed ink jet printer. The proposed scheme estimates the impact position and compensates it by control of the jet strobe time based on the dynamic equations describing the moving trajectory of the ejected ink drople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jet strobe control which is based on the simple synchronization with the position signal of the ink jet nozzle, the proposed control scheme provides more accurate impact position control while the carrier is moving with accelerated or decelerated speed as well as steady state speed with fluctuations. The availability of printing during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states of the carrier moving enables the print speed up and the frame size down which means the cost down.

Studies on Fine Metal Droplet Jetting using Piezoelectric Inkjet Head (압전 잉크젯 헤드를 이용한 미세금속액적 토출 연구)

  • Park, Chang-Sung;Kim, Young-Jae;Sim, Won-Chul;Park, Jung-Hoon;Kang, Pil-Joong;Yoo, Young-Seuck;Joung, Jae-W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550-1551
    • /
    • 2007
  • 노즐 직경 $30\;{\mu}$인 MEMS 압전 잉크젯 헤드를 이용하여 Ag 나노 잉크를 PDMS 처리된 PI(Polyimide) 기판 위에 토출하였다. 구동주파수 5 KHz에서 액적부피 1.5 pl, 속도가 약 4.5 m/s인 액적이 토출 되었다. 인쇄된 액적의 크기는 직경 약 $12\;{\mu}m$이었다. 메니스커스의 거동에 맞춘 구동파형의 입력에 의해 새틀라이트 없는 매우 작은 액적을 토출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