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잇솔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5초

일부 대학생의 사용잇솔 분석과 잇솔규격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standardization of toothbrush and analysis of some university students using a toothbrush)

  • 김설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109-5115
    • /
    • 2014
  • 본 논문은 치열궁 변화에 따른 잇솔규격 변화의 필요성을 연구하고자 일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잇솔을 수집하여 잇솔의 각 부위별 규격을 측정하고, 치열궁을 측정하여 성인의 구강환경에 적합한 잇솔규격기준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잇솔 종방향은 25 mm이내, 잇솔 횡방향은 11 mm이내의 잇솔 개발이 요구되었다. 잇솔이 모든 치면에 적용되어 치면세균막 관리에 적합한 잇솔 선정을 위해서는 잇솔규격 변화와 함께 올바른 잇솔을 선정할 수 있는 전문가의 교육도 필요하다.

세치제 개발에 관한 세미나

  • 대한치과의사협회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22권10호통권185호
    • /
    • pp.855-860
    • /
    • 1984
  • 국산 세치제와 잇솔이 갖추어야 할 기본요건과 개발방향이 제시된 세미나가 지난해에 이어, 지난 7월 14~15일 양일간에 걸쳐 속리산 관광호텔에서 구강보건학계와 럭키ㆍ부광ㆍ태평양등 국내 3대 세치제 제조회사의 52명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치대 예방치학교실 주최로 개최되었다. 총 13개 연제가 발표된 이번 세미나에서는, 국민 복지를 빨리 증진시키기 위하여, 기업간의 건전한 경쟁을 유도하고, 기술개발을 촉진하며, 국산품의 품질 개선, 가격인하, 국제경쟁력의 신장등, 정부의 기본방향을 재확인하는 동시에 거시적이고 원시적인 안목으로 볼때 기술개발을 위한 산학활동과 선업간의 협력은 산업발전을 통하여 국민복지 증진에 분명히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한 서울치대 김종배교수의 주제 발표와 세치제의 주요작용, 세치제의 abrasiveness 및 polishing 효과와 용어의 정의, 개인에 적합한 세치제의 선택방법, Monofluorophosphate와 plaque 및 타액의 상호작용, 세치제의 선호변인 분석, 세치제 광고문안상의 문제점, 세치제의 전망, 세치제의 전망, 세치제 개발의 제요소, 세치제의 검정 기준과 과정, 잇솔의 기본요건과 시판잇솔의 규격, 잇솔의 강모형태와 탄력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개인에 적합한 강모강도를 가진 잇솔의 선택방법, 「A study on the F'ion concentration of commercial dentifrices」에 대해 폭넓고 진지한 토의가 있었다. 다음은 이날 발표된 내용을 요약정리한 것이다.

  • PDF

일개 광역시민에서 잇솔 사용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of Toothbrush in One Metropolitan City Residents)

  • 안치영;이무식;나백주;이진용;홍지영;배석환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집 2부
    • /
    • pp.806-809
    • /
    • 2011
  • 본 연구는 구강보건행태 방법을 이해하고 다양한 연령층과 직업, 잇솔질 횟수와 잇솔질 시기를 분석하여 개개인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자료 및 구강보건 인식 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7년 10월 22일에서 23일까지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무작위 표본추출로 선정된 응답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3회 이상 잇솔 사용을 분석한 결과 성별인 경우 여자가, 연령은 20대, 교육 수준 별로 대학교 재학 이상, 직업은 화이트칼라(전문직), 가계 수입별로는 500만원이상, 체질당지수는 저체중, 흡연 여부에서는 비흡연이, 최근 2년간 건강검진 경험의 경우 경험이 있는 사람이, 주관적 건강상태의 경우 좋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식사 직후 잇솔 사용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교육수준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전문직일수록, 평균 월 수입이 많을수록, 흡연 유무에서는 비흡연, 최근 2년간 건강검진 경험의 경우 경험이 있는 사람이, 관적 건강상태의 경우 좋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회 이상 잇솔 사용을 종속변수로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성에 비해 여성이, 학력은 중졸이하에 비해 고졸이, 직업은 학생에 비해 가정주부가, 주관적 건강상태는 좋을수록 잇솔 사용 횟수가 식후 3회일 경향을 보였다. 식사 직후 잇솔 사용을 종속변수로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력은 중졸이하에 비해 고졸, 대졸이, 직업은 학생에 비해 자영업과 가정주부가, 흡연자에 비해 비흡연자가, 건강검진 경험자, 주관적 건강상태는 좋을수록 잇솔 사용 횟수가 식후 잇솔질의 경향을 보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높은 교육수준이나, 건강에 대한 자기 신념이 높은 사람들은 구강 관리도 소홀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그렇지 못한 그룹은 지속적인 교육 및 관리를 하여 구강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워줘야 됨은 물론이며, 구강관리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건강관리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D중공업 근로자의 구강위생용품 사용실태 조사 (A Study on the Status of Practical Application of Oral Hygiene Devices :with labor of the D heavy industries)

  • 박홍련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3-99
    • /
    • 2006
  • 본 연구는 구강위생용품의 사용 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S시 D중공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가정에서 가장 관심을 가지고 관리하는 구강병, 잇솔의 사용실태, 불소치약의 사용여부,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실태, 구강위생보조용품의 사용 및 비사용의 동기를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가정에서 가장 관심을 가지고 관리하는 구강병은 치아우식증(62.4%)으로 나타났다. 2. 칫솔 사용실태는 중간 크기를(79.6%)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3. 잇솔의 강모 모양은 일반 수평형(73.5%)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4. 불소치약 사용여부는 아무 종류나 사용한다(73.5%)가 가장 많았다. 5. 구강위생용품의 인지도에 대해서는 전동잇솔이(77.0%)로 가장 높으며 구강위생보조 용품에 대한 인지도는 이쑤시개(89.4%)와 양치용액(84.5%)을 가장 많이 알고 있었다. 구강위생용품의 사용여부는 전동잇솔(13.3%), 치주환자용 잇솔(2.7%), 순서로 나타나며, 구강위생보조용품에서는 이쑤시개(58.4%), 양치용액(41.2%)의 순이었다. 사용효과는 틀니잇솔(50.0%), 전동잇솔(43.3%)로 나타났으며, 구강위생보조용 품에서 효과 여부는 물사출기(80.0%), 치실(75.8%)이 매우 높았다. 6. 구강위생보조용품을 사용하게 된 동기는 TV나 광고 홍보물을 보고 독자적인 판단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57.6%) 높게 나타났으며, 구강위생보조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자신에게 적절한 보조용품을 모르기 때문에 사용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매우 높게 (57.4%)나타났다.

  • PDF

임산부의 구강건강상태 및 구강보건인식 실태 (A Study on th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Awareness of Pregnant Women)

  • 이숙정;최규일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28-130
    • /
    • 2009
  • 본 논문은 임신의 시기가 내분비계의 변화로 인한 프로게스테론의 과잉분비가 발생하여 혈관의 투과성을 항진시켜 구강내의 잇몸 부종, 잇몸 출혈 등을 유발하고, 입덧으로 인한 메쓰꺼움, 몸의 무거움과 나른함, 음식 기호변화, 간식횟수의 증가 등을 겪게 되어 신체뿐 아니라 구강 환경 또한 변화하게 된다는 여러 관련 자료들을 근거로 임산부의 구강 건강상태와 구강보건인식을 파악하고자 2008년 12월 15일 ~ 2009년 1월 30일까지 180명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구강건강상태와 구강보건인식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결과 임산부의 생활수준, 분만경험, 임신시기에 따라 생활수준이 좋을수록, 분만경험이 없는 경우에서, 4-6개월 임신시기 시 구강건강상태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한 구강건강을 위한 우선 행위인 잇솔질에서의 교육 수준별, 생활 수준별, 임신 시기별로 식사 후 3회 정도의 잇솔질의 횟수가 유의미한 차이의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잇솔질시 오심과 구토로 잇솔질이 어려운 임산부들의 구강상태 청결을 위해 사용되어지는 보조구강위생용품으로는 치실, 구강 양치액, 혀 클리너, 치간 칫솔이 사용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의 자료들은 임신 시기 중 가장 고민된다고 답하여준 구강건강 부분에서의 입덧으로 인한 잇솔질의 어려움, 잇몸출혈, 충치, 치석제거, 구강질환 치료의 적정시기, 구취 등의 부분을 임산부 대상의 구강보건교육 시 기존의 자료에 조금 더 중점적으로 다루어져야 하는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시판 잇솔의 특성 및 잇솔모의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tudy of the Bristles)

  • 양정승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59-173
    • /
    • 2002
  • The 180 toothbrushes out of 18 models( ten brushes for each model) were used for this examination among the toothbrushes for adults which were sold in the domestic markets. After three-month brushings through a roll ing method and Bass method were practiced with Toothbrush Stroke Tester which reproduced brushing methods outside the mouth, I investigated the morphology bristle tips of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Soft bristle toothbrushes(of 8 models out of 9 models) were badly damaged at the bristles end after 3 month toothbrushing. 2. Medium bristle toothbrushes(of four models out of five models) were irregularly worn at the bristles end after 3 month toothbrushing. 3. Hard bristle toothbrushes(of three models out of four models) were chisel-shapedly worn at the bristles end after 3 month toothbrushing. 4. Taper-shaped toothbrushes were very irregularly bent at the bristles end after 3 month toothbrushing. 5. It was examined in the bristle stiffness that soft bristle toothbrushes were found in 9 models(50.00%), medium bristle toothbrushes in 5 models(27.78%), and hard-bristle toothbrushes in 4 models(22.2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