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입체적 특성

Search Result 342, Processing Time 0.04 seconds

3D Sound Solutions for Portable Device (휴대용 기기를 위한 입체음향 솔루션)

  • Kim, Hyoun-Suk;Lee, Dong-Woo;Choi, Yong-Suk;Lee, In-Ho;Lee, Simon;Kim, Po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5.11a
    • /
    • pp.633-636
    • /
    • 2005
  • 최근의 전자기기는 소형, 경량화가 가속화되고 있고, 특히 휴대용 기기에서의 MP3, MOD, VOD, DMB, 3D 게임,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일반인의 접근성이 확대됨에 따라 휴대용 기기에서의 입체음향 효과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하지만, 휴대용 기기에서의 입체음향 효과 구현은 PC 환경에서의 구현과는 다르게, 적은 CPU 점유율, 작은 메모리 사용, 등 열악한 재생환경에서의 구현이 필요해, 기대만큼의 성능을 내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제약된 환경에서 만족스러운 입체음향 효과의 구현을 위해서는 기기별 H/W 특성을 감안한 알고리듬 최적화가 필수이다.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기기 환경에 최적화된 입체음향 기술과 동향, 국내에서 상용화된 XEN$^{TM}$ 솔루션에 대해 살펴봄으로서 향후 휴대용 기기를 위한 입체음향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effect of viewing distance and the speed of motion-in-depth on visual fatigue (시각적 피로도에 영향을 미치는 시청거리와 깊이방향의 운동속도)

  • Kham, Kee-Taek;Li, Hyung-Chul;Lee, Seung-Hyu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2 no.2
    • /
    • pp.169-180
    • /
    • 2009
  • The present study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stereoscopic images and viewing environment on visual fatigue. We manipulated the speed of stereo images with motion-in-depth and viewing distance, which were used as representative variables of the characteristics of stereo image and viewing environment, respectively. Visual fatigue was evaluated with use of a subjective questionnaire which is consisting of 5 different and independent factors: "Eye pain", "Visual stress," "Nauseousness", "Body stiffness", and "Blurriness". In general, when viewing time increased from 10 minutes to 20 and 40 minutes, observers felt severe visual fatigue. Among other factors, only the factor score of "Nauseousne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speed of object moving in depth became faster. When viewing distance was increased, the score of "Blurriness" was de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kind of the visual fatigue might be induced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the stereo images and viewing environment.

  • PDF

Development of 3-Dimensional Sight Distance Model for Highway Alignments (3차원 입체선형을 고려한 도로시거산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Je-Jin;Choi, Joo-Yong;Ha, Tae-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 /
    • v.10 no.1
    • /
    • pp.1-9
    • /
    • 2008
  • Five bases for of highways are sight distance, vehicle stability, driver comfort, drainage and aesthetics. Among these bases, the sight distance is the most critical one in the highway alignment design. It is certain that highways and drivers' observation actions are 3-dimensional in nature. But, the highway alignment design and the sight distance analysis have been performed on 2-dimensional planes because of various constraints and complexity of calculating 3-dimensional sight dist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model for determining exact available sight distance in 3-D combined horizontal and vertical alignments. Application of the model is illustrated using numerical examples. The proposed model should be useful in quantifying the criteria for 3-D highway alignments.

  • PDF

부산의 무인도서를 활용한 입체적 해양관광에 관한 연구

  • An, Ung-Hui;Kim, Byeong-Guk;Jang, J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206-208
    • /
    • 2012
  • 부산은 자연적 지리적 인문적 조건은 물론 도시적 위상으로 볼 때, 한국 최고의 해양관광지임에 분명하다. 특히 다대포에서 송도와 남항 북항, 광안리, 동백섬, 해운대를 거쳐 미포와 청사포 그리고 송정, 일광에 이르기까지 부산의 해안선은 모두 강력한 배후도시의 인프라를 갖춘 상태이다. 때문에 도시의 첨단 활동과 바닷가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레저활동이 어우러진 해양관광 1번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외견적인 특성에도 불구하고, 보다 다양한 해양레저를 하기에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미흡한 것도 사실이다. 만일 해상, 해중에서 가능한 다양한 레저활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각종 제반시설과 제도가 운영된다면 부산은 진정한 의미에서 입체적인 해양관광수도가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부산에 존재하는 수십 개의 무인도서는 청정한 해양생태환경 속에서 해양레저활동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천연의 자원이 된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Korean maritime boundaries (입체시를 활용한 변화지역 자동 추적 알고리즘 개발)

  • Kim, Kam-Lae;Lee, Ho-Nam;Cheong, Hae-Jin;Cho, Wo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7.04a
    • /
    • pp.115-119
    • /
    • 2007
  • 종중복도 60%이상, 횡중복도 30%이상 촬영되어지는 항공영상과 스테레오 촬영이 가능한 위성영상은 도화에 사용되는 입체시를 이용하여 영상(Stereo Aerial Image) 자체를 화면상에 입체적으로 구현하여 건물의 높이 정보 판독 및 해당 지역상에서 년도별 변화지역을 판독하는 일련의 업무 수행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활용하고 있지만 장기간의 작업시간, 작업에 대한 정확성에 취약점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행정업무의 효율성 저하요인을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항공사진 및 위성영성의 촬영상의 특성을 활용하여 영상 매칭 DEM을 활용한 높이정보의 변화와 영상 정합을 통한 변화지역 판독을 자동화 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시스템 구현을 위해서 개발 언어로 Visual C++을 사용하였으며, 개발된 알고리즘에 대한 평가 수행을 위해 사용자가 직접 입체 판독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편광 모니터를 사용하여 판독 시스템을 추가적으로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orrelation of Factors in 3-D Stereoscopic Visual-perception (3차원 입체영상에서 시지각(時知覺) 요인의 상관관계)

  • Cho, Yong-Keu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19
    • /
    • pp.161-181
    • /
    • 2010
  • Human beings experience the outside world through senses and have developed various ways of representation to preserve what they've experienced. The rapid progress of digital technology has opened a new era of representation technology, and furthermore, is functioning as a technology which offers new experiences. The sensory experiences through the sense of sight, which humans depend on more than 70% to perceive the outside world, have been becoming the center of representing the reality as the 3-D graphics technology has been growing, and developing by being grafted onto different areas of study. Various technologies to express the sense of reality, such as the technology to reinforce the virtual reality and to represent it in the reality, computer graphic, TUI technology, and five sensory technologies which apply humans' senses, are making advancement based on humans' visual features and sensory elements. In particular, the 3-D technology to display solidness provides not only representation but also new sensory experiences, and is emerging as the key technology to image contents. However, compared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of 3-D graphics, there have been few basic studies on the principles of the sense of vis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principles and elements to sense videos will be examined. The sensory features of 3-D images to represent the sense of reality will be researched into, especially focusing on the experiential and physiological elements to sense 3-D structures, and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lements to sense shapes, which might be hopefully the basic study for producing 3-D contents.

  • PDF

Stereoscopic Contents Production Workflow Based on Nonlinear Editing (비선형 편집기반의 입체영상 제작 흐름에 관한 연구)

  • Kim, Chul-Hyun;Paik, Joon-Ki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5 no.3
    • /
    • pp.391-406
    • /
    • 2010
  • Digital cinema based on digital master distribution increases with stereoscopic film as the center. DCI specification V1.0 announced at 2004, it considerates stereoscopic film screening. And now, the Society of Motion Picture and Television Engineers is establishing a task force to define the standards of a stereoscopic contents viewed in the home. Today, most Hollywood commercial stereoscopic film features animation using computer graphic. However, considering film making characteristic, stereoscopic digital cinema is required shooting in real world and editing, screening. This paper presents possibility of stereoscopic examination at NLE in the stereoscopic workflow. And we will propose new stereoscopic digital cinema workflow to apply the stereoscopic examination. Based on experimental results, the 3D ready television using 120Hz has some obstacles for contents editing, but most domestic stereoscopic monitor using circular polarization is possible for successful editing.

A Study on the Features for Filming and Directing of the Digital Stereoscopic Animation Films (디지털 3차원입체 애니메이션의 촬영과 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 Hyun, Seung-Hoo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15
    • /
    • pp.237-249
    • /
    • 2009
  • Interest in and study on 3 dimensional pictures has been continued since visual media showing moving images was invented. From simple anaglyph wearing glasses to hologram making perfect 3 dimensional objects by recording phase data of reflected light, as well as amplitude and wave, speed and scope of technical development are quicker and wider, respectively. However, despite such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re is still lack of study on aesthetical, industrial and contents developing area, except for technology of 3 dimensional images. Unlike the interest in 3 dimensional images, even a theoretical frame for the approach to theoretical areas of 3 dimensional images has not been established. Especially, few experiment and study on directing aesthetics have been conducted, with exception of areas in entertainment documentaries for 3 dimensional feeling or some latest 3D animations. As a result, this study will try to find alternatives to directing aesthetics of realistic 3 dimensional movies to be developed in future by studying directing grammar and aesthetics of digital 3 dimensional movies and finding and analyzing difference between 3 dimensional images and 2 dimensional images drawn on the plane.

  • PDF

Development of Multi-View Simulator for Mobile Display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Providing an Optimum Viewing Zone (최적 입체시를 제공하기 위한 상호작용 기반 다시점 모바일 디스플레이 모의장치 개발)

  • Lee, Dong-Su;Lee, Kwang-Hoon;Park, Min-Chul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8C no.10
    • /
    • pp.896-902
    • /
    • 2013
  • Crosstalk has been regarded as one of inherent problems in a factor disturbing optimal viewing experiences. For this reason, display developers address the crosstalk issues. However, due to various display characteristics and viewing environments it is hard to estimate the crosstalk generated in real space. This paper proposes an interactive multi-view display simulator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developing mobile autostereoscopic displays. This display simulator can be used for the developers to estimate the crosstalk and find optimal viewing zone intuitively. Typical parameters for mobile phone use are applied for the estimation. The proposed simulator provides visualized crosstalk in real space for them to determine better viewing zone interactively. The proposed system is expected to help establish ergonomic guidelines for mobile multi-view autostereoscopic display developers, designers, and viewers.

Investigation on the Variation of Discharge Coefficients Following Bifurcation Angle Changes (방수로 분류부 분류각 변화에 따른 유량계수 변화 검토)

  • Rhee, Dong-Sop;Kim, Cha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926-929
    • /
    • 2007
  • 방수로는 홍수 피해 경감을 사용되는 구조적 대책으로 최근 국내에서 널리 계획되고 있다. 이러한 방수로는 보통 횡월류위어 등으로 대표되는 유입부 구조물을 통하여 하천 본류와 연결되지만, 평상시에도 본류의 유량을 일부 분담하는 형태로 설계되는 젖은 하도(wet channel) 형태의 방수로는 별도의 유입부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고 바로 본류에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유입부 구조물을 통해 연결되는 방수로의 특성은 유입부 구조물의 수리학적인 특성에 의해서 많이 좌우된다. 이에 반해 젖은 하도 형태로 본류에서 바로 분기되는 방수로는 그 특성이 방수로의 폭(W), 방수로 분류각$(\theta)$등에 의해서 많이 좌우되며, 만약 설계된 방수로의 횡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또는 직사각형 단면을 따른다면 이러한 흐름은 "제한 영마루고 횡월류위어 흐름(restricted zero-height side weir flow)"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의 흐름은 일반적인 횡월류위어 흐름과 많이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수로 폭 및 분류각을 변화시켜 방수로 분류 조건을 다양하게 구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특히 분류각 변화에 따른 유량계수의 변화를 분석, 검토하였다. 또한 측정된 방류량을 기준으로 산정된 유량계수를 기존 연구자들이 제시한 영마루고(zero-height) 횡월류위어 유량계수 산정식에 의해 산정된 결과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분류각이 90도인 경우 본류 프루드수의 증가에 따라 유량계수가 점차 감소하였으나, 분류각이 90도 보다 작은 경우에는 본류 프루드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량계수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계를 만족시킬 입체 영상) 입체영상은 영화에서 시작되었으나, 20c후반기에 들어서면서 애니메이션 분야와 모바일, 광고 패널, 텔레비전등의 매체를 이용한 입체 영상의 개발로 인하여 특정 분야에 한정 시킬 수 없으므로 영상으로 칭한다. 입체 영상은 21c에 들어서면서 영상매체의 한 분야로 급부상하고 있다. 1900년 무렵부터 연구된 입체영화(3-Dimensional motion Picture)는 In여 년이 지난 지금 대중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국내에서는 놀이 동산이나 박물관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하지만 앞으로는 HDW등의 대중화로 화질의 발전을 이룬 텔레비전 분야 등에서 실용화 될 전망이다. 국제적인 흐름과 함께 국내에서도 입체 영화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어 영상산업의 한 주류로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입체영상에 대한 이해와 콘텐츠(Contents)의 개발은 기술적인 진보에 발맞추어 준비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기술적인 계보에 발맞춘 영상 콘텐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자 앞으로의 발전분야에 대한 기술적인 면과 기법적인 면을 제시하여 기술만 앞서고 내용은 수입하는 수입국이기 보다는 미리 준비하여 비전문가나 타국의 기술에 선점 당하지 않는 분야로 성장할 수 있는 진보적인 영상 인들의 관심과 지속적인 연구를 독려하고자 한다.시민의 휴식 및 여가선용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이미 설계검토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수지 및 저수지의 환경개선 사업의 선두적인 성공사례로 국내 타 지역의 유사한 사업에 있어 벤치마킹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사례가 될 것이다.요 생산이 증가하자 군신의 변별(辨別)과 사치를 이유로 강력하게 규제하여 백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