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입자배향

Search Result 90,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Microstructure Orientation of Alumina Laminate Composites (알루미나 적층복합체의 미세구조 배향)

  • 박상엽;송준호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38 no.4
    • /
    • pp.351-359
    • /
    • 2001
  • 배향 입자층과 비배향 입자층이 상호적층된 알루미나 적층복합체를 연속 테입캐스팅 및 상압소결에 의해 제조하였다. 알루미나의 미세구조 배향을 위하여 알루미나 판상입자를 배향물질(template)로 사용하였으며, 알루미나의 입자배향 거동에 미치는 액상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anorthite(CaAl$_2$Si$_4$O$_{8}$)를 첨가하였다. 적층체 내의 알루미나 입자배향을 X-선 회절법으로 분석한 결과 (006)면과 (1010)면으로 배향되어 있었다. 액상조성이 첨가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시 anorthite를 첨가한 경우 입자배향층 내에는 액상으로 인한 큰 기공이 생성되었으며 배향도는 감소되었다. 그러나, 액상조성으로 anorthite가 첨가되어 입자배향이 이루어진 적층체 계면에서는 입자배향으로 인한 효과적인 균열전파 제어 거동이 관찰되었다.

  • PDF

Attachment Energy of Janus Particles at Fluid-Fluid Interfaces (유체 계면에서 야누스 입자의 흡착 에너지)

  • Park, Bum Ju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1 no.6
    • /
    • pp.655-660
    • /
    • 2013
  • In this review, I present the configuration behaviors of various Janus particles at fluid-fluid interfaces. As a model system, Janus spheres, Janus ellipsoids, and Janus dumbbells a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ape, size, and wettability on their configurations. In particular cases, Janus ellipsoids can adopt two distinct configurations (i.e., upright and tilted configurations) due to the presence of two energy minima in the attachment energy profile. On the contrary, a single energy minimum is found in the case of Janus dumbbells such that they adopt either the upright or tilted configuration. Interestingly, the geometric and chemical asymmetry and anisotropy in the characteristic properties of Janus dumbbells lead to an intermediate state in which the particles can rotate freely in a certain range of orientation angles.

Electr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Grain-Oriented (Pb, Ba, La) $Nb_2O_6$ Piezoelectric Ceramics (입자배향(Pb, Ba, La) $Nb_2O_6$ 압전세라믹스의 제작 및 그 전기적.광학적 특성)

  • 남효덕;조상희;영전방유
    • Journal of the Korean Ceramic Society
    • /
    • v.25 no.3
    • /
    • pp.268-276
    • /
    • 1988
  • Ba or La-Substituted lead niobate $(Pb_{1-x}Ba_x)_{1-y}La_{2y/3}Nb_2O_6$(PBLN), powders having needle shape are prepared by flux method using KCl and the effect of Ba or La substitution on morphology of obtained powders is examined. From these needle shape powders, grain-oriented ceramics are made by doctor-blade method and two-stage hot-pressing technique. The dielectric, piezoelectric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ceramics are also investigaated. Heating condition and the amount of substituted Ba or La have remarkable effects have large anisotropy in both permittivity and coupling factor depending on the pressing direction.

  • PDF

수평배향 SWNTs의 직경제어 합성에 관한 연구

  • Kim, Jin-Ju;Jeong, Gu-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457-457
    • /
    • 2011
  •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NTs)는 직경 및 키랄(chiral)특성에 따라 반도체성 튜브와 금속성 튜브로 구분되며, 작은 직경의 SWNTs는 큰 직경의 튜브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기계적 특성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합성하는 단계에서 SWNTs의 직경 및 chiral 특성의 제어가 가능 하게 된다면 전자소자로의 응용을 한층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SWNTs의 수평배향성장은 SWNTs의 집적(integration)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나노전자소자 개발을 목표로 최근 많은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SWNTs가 고밀도로 합성되기 때문에, 우수한 개별 (individual) SWNT의 전기적 특성보다는 집단적(ensemble) 특성을 얻고 있다. 따라서, 합성기판 위에서 개별적인 SWNT를 낮은 밀도로 수평배향 성장하는 일은 향후 나노튜브기반의 고성능 전자소자 개발에 중요한 과제이다. 나아가, 수평배향 성장 된 개별 SWNT의 직경 및 키랄 특성까지 함께 제어할 수 있다면 곧바로 응용에 적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기술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SWNTs의 수평배향도 및 직경을 제어하여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합성기판은 퀄츠를 이용하였고, 합성촉매로는 나노입자의 밀도를 비교적 쉽게 제어할 수 있고, 균일한 크기를 갖는 페리틴 단백질을 이용하였다. 단분산(monodispersion) 된 촉매 나노입자를 얻기 위해서 스핀코팅 조건과 페리틴 용액농도를 조절하여 퀄츠기판 위에 분산시킨 후, 아르곤 분위기 하에 열처리를 통하여 촉매 나노입자의 크기 감소를 유도하였다. 그 결과 열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촉매 나노입자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SWNTs의 직경 또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퀄츠기판 위에 직경제어 합성 된 수평배향 SWNTs를 다른 기판으로 전사하는 기술을 확립함으로써, 향후 SWNTs기반의 소자 제작기술의 바탕을 마련하였다.

  • PDF

The Effect of Orientation of Magneto-responsible Particles on the Transmissibility of Magneto-rheological Elastomer (자기장 응답 입자의 배향이 자기유변 탄성체의 전달성에 미치는 영향)

  • Lee, Joo-Hwan;Chung, Kyung-Ho;Yoon, Ji-Hyun;Oh, Jae-Eung;Kim, Min-Soo;Yang, Kyung-Mo;Lee, Seong-Hoo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46 no.4
    • /
    • pp.311-317
    • /
    • 2011
  • The neodymium magnet inserted mold was proposed to orient magneto-responsible particles efficiently. The anisotropic magneto-rheological elastomer(MRE) was prepared using the new mold and the optimum amounts of the particles was 30 vol.%. As the orientation of particles was increased, the tensile strength of MRE was decreased, while the hardness of MRE was increased. It was found that the MRE containing 30 vol.% of magneto-responsible particles showed the maximum magneto-rheological effect. The ratio of shear modulus shift was 59% at the input current of 3 A. The transmissibility of MRE wa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input current and loading amounts of magneto-responsible particles. Therefore, the damping property of MRE could be improved by preparing the anisotropic MRE.

A Study on Weatherability with Particle Size and Orientation of Aluminum in Pre-painted Basecoat for Automotive (자동차용 선도장 베이스코트에서 알루미늄 입자 크기와 배향에 따른 내후성 연구)

  • Lee, Jae Woo;Cho, Ur Ryong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48 no.2
    • /
    • pp.167-171
    • /
    • 2013
  • Weatherability was examined according to aluminum particle size and its orientation used in PCM(Paint Coated Metal). Substrate delamination was checked by different UV transmission rate with QUV$^{(R)}$ (Q-LAB) equipment that can make accelerated UV irradiation. Film was prepared using three different types of conflake aluminum pastes under a PCM coating process and clearcoat was sprayed. UV transmission test results showed low transmission rate when EKART #790 having the smallest particle size and horizontal orientation was used. From the gloss retention results, gloss retention was highest in EKART #790 and followed by #770, #750.

Numerical Prediction of Short Fiber Orientation in Injection Molding Processes (사출성형공정에서의 단섬유 배향예측에 관한 수치 해석)

  • 이기준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4 no.2
    • /
    • pp.138-147
    • /
    • 1992
  • 사출성형충전공정에서 금형구조가 단섬유배향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하여 수 치모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유한요소 /관찰 부피 방법에 복잡한 금형에서의 유동을 해 석하고 섬유와 섬유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섬유배향텐서 변화식을 이용하여 입자 추적법으 로 섬유배향분포를 구하였다. 수치모사 결과 금형 옆벽면과 내부 방해체의 주위에 있는 섬 유들이 전단변형의 영향으로 그들주위를 따라서 정렬되려는 경향을 보였다, 두 유동이 내부 방해체를 지나 접하면서 생성된 웰드라인을 따라서 단섬유들이 정렬되려는 경향을 나타내엇 다. 그리고 수축유동에서는 흐름방향으로 정렬되나 확장유동에서는 흐름방향에 수직으로 배 열되려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위아래 벽에 의한 전단변형의 영향으로 서로 다른두 배향구조 를 보여주는 skin-core 구조를 두께방향의 속도구배를 고려한 수치모사를 통하여 예측할 수 있었다. skin구조에서는 섬유들이 흐름방향으로 정렬되고 core 구조에서는 흐름방향에 수직 으로 배향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섬유상호계수값이 커질수록 임의 배향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Simulation of Short Fiber Orientationin Fountain Flow Field (분수유동장내에서의 단섬유 배향의 수치모사)

  • 윤재륜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5 no.1
    • /
    • pp.49-64
    • /
    • 1993
  • 사출성형충전공정에서 금형구조가 단섬유배향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하여 수 치모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유한요소 /관찰 부피 방법에 복잡한 금형에서의 유동을 해 석하고 섬유와 섬유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섬유배향텐서 변화식을 이용하여 입자 추적법으 로 섬유배향분포를 구하였다. 수치모사 결과 금형 옆벽면과 내부 방해체의 주위에 있는 섬 유들이 전단변형의 영향으로 그들주위를 따라서 정렬되려는 경향을 보였다, 두 유동이 내부 방해체를 지나 접하면서 생성된 웰드라인을 따라서 단섬유들이 정렬되려는 경향을 나타내엇 다. 그리고 수축유동에서는 흐름방향으로 정렬되나 확장유동에서는 흐름방향에 수직으로 배 열되려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위아래 벽에 의한 전단변형의 영향으로 서로 다른두 배향구조 를 보여주는 skin-core 구조를 두께방향의 속도구배를 고려한 수치모사를 통하여 예측할 수 있었다. skin구조에서는 섬유들이 흐름방향으로 정렬되고 core 구조에서는 흐름방향에 수직 으로 배향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섬유상호계수값이 커질수록 임의 배향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Direct Simulation of the Magnetic Interaction of Elliptic Janus Particles Suspended in a Viscous Fluid (점성유체에 분산된 타원형 야누스 입자의 자성 상호작용에 관한 직접수치해석)

  • Kim, Hei Eun;Kang, Tae G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41 no.7
    • /
    • pp.455-462
    • /
    • 2017
  • The magnetic interaction between elliptic Janus magnetic particles are investigated using a direct simulation method. Each particle is a one-to-one mixture of paramagnetic and nonmagnetic materials. The fluid is assumed to be incompressible Newtonian and nonmagnetic. A uniform magnetic field is applied externally in a horizontal direction. A finite-element-based fictitious domain method is employed to solve the magnetic particulate flow in the creeping flow regime. In the magnetic problem, the magnetic field in the entire domain, including the particles and the fluid, is obtained by solving the governing equation for the magnetic potential. Then, the magnetic forces acting on the particles are calculated via a Maxwell stress tensor formulation. In a single particle problem, it is found that the orientation angle at equilibrium is affected by the aspect ratio of the particle. As for the two-particle interaction, the dynamics and the final conformation of the particles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aspect ratio, the orientation, and the spatial positions of the particles. For the given positions of the particles, the fluid flow is also influenced by the orientation of each particle. The self-assembly structure of the particles is not a fixed one, but it varies with the above-mentioned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