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입력강하

Search Result 70, Processing Time 0.053 seconds

Instantaneous Voltage Sag Detection for Dynamic Voltage Restorer using Recursive Least Square Method (재귀형 최소 자승법을 이용한 동적 전압 보상기의 순시전압강하 검출)

  • Ji, Kyun-Seon;Jou, Sung-Tak;Lee, Kyo-Beum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134-135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동적 전압 보상기를 위한 속응성을 향상시킨 입력 전압의 크기를 검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동적 전압 보상기가 계통 전압에서 발생한 순시전압강하를 보상하기 위해서는 강하된 전압을 검출해야 한다. 외란에 강인하고 빠른 응답 특성을 가지는 재귀형 최소 자승법을 사용하여 입력 전압으로 부터 강하된 전압의 크기를 구하고 보상전압을 생성한다. 생성된 보상전압은 입력 전압에 더해져 안정된 부하전압을 공급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 PDF

Development of the Dynamic Voltage Restorer Prototype (Dynamic Voltage Restorer Prototype 개발)

  • Kim, Ji-Won;Chun, Yeong-Han;Jeon, Jin-H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11a
    • /
    • pp.101-103
    • /
    • 2000
  • 산업의 발달과 각종 기기의 고도화 및 정밀화에 의하여 전원에 민감한 기기들이 많은 산업 현장에 사용 되게 되었다. 이러한 민감한 기기는 입력 전원에 매우 민감하여 일반적인 정전뿐만 아니라 순간적으로 입력전압의 크기가 작아지는 순간전압강하에도 큰 영향을 받게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원측에서 순간전압강하가 발생하는 경우 부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DVR에 대해서 제어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그 알고리즘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Dynamic Extinction of Solid Propellants by Depressurization of Combustion Chamber (연소실 압력 강하에 의한 고체 추진제의 동적 소화)

  • Jeong, Ho-Geol;Lee, Cha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0 no.2
    • /
    • pp.91-97
    • /
    • 2002
  • Dynamic extinction of solid propellants subjected to rapid pressure drop was studied with the aid of energy equation of condensed phase and flame model in gas phase. It is found that the total residence time($\tau_\gamma$) which measures the residing time of fuel in the reaction zone may play a crucial role in determining the dynamic response of the combustuion to extinction. Residence time was modeled by various combinations of diffusion and chemocal kinetic time scale. Effect of pressure history coupled with chamber volume on the extinction response was also performed and was found that dynamic extinction is more susceptible in a confined chamber than in open geometry. And, dynamic extinction was revealed to be affected profoundly by diffysion time scale rather than chemical kinetic time scale.

A Self Learning Fuzzy Algorithm for Multi-Input Fuzzy Variables (다 입력 퍼지 변수를 위한 자기 학습 퍼지 알고리즘)

  • Kim, Kwang-Yong;Yoon, Ho-Sub;Soh, Jung;Min, By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1998.10a
    • /
    • pp.90-93
    • /
    • 1998
  • 입?출력 데이터 쌍만을 이용하여 규칙 및 소속 함수를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자기 학습 퍼지 알고리즘 중에서, 가장 이해하기 용이하고 퍼지 규칙 및 소속 함수 생성이 빠른 방법으로 기울기 강하를 이용한 방법들이 있다. 기울기 강하를 이용한 방법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Araki가 제안한 방법은 퍼지 조건부가 퍼지 집합 형태이고 결론부는 단일값으로 구성된 알고리즘으로써 입력 퍼지 공간을 세분화하면서 시스템을 규명해나가는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알고리즘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퍼지 입력 변수가 증가하면 퍼지 공간이 세분화 되면서 소속 함수 및 규칙 생성 개수가 급격히 제곱배로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퍼지 입력 변수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히 퍼지 규칙 및 소속 함수의 수가 증가하는 Araki 알고리즘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소속 함수 및 규칙 수의 급격한 증가를 억제하고 Araki 방법에 비해 학습속도가 현저히 향상된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연구 결과, Arki 방법이 입력 변수의 개수가 증가 할수록 규칙 수가 기하 급수적으로 많이 필요하였던 것에 비해 제안한 방법은 훨씬 적은 규칙 수로 우수한 성능을 얻을 \ulcorner 있었다.

  • PDF

Bus Voltage Drop Analysis Caused by Payload Operation of LEO Satellite (저궤도 인공위성 탑재체 구동에 따른 버스 전압 강하 해석)

  • Park, Hee-Sung;Jang, Jin-Baek;Park, Sung-Woo;Lee, Sang-Kon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9 no.2
    • /
    • pp.57-62
    • /
    • 2010
  • SAR payload of LEO satellite will consume about 150A current. This high current makes the voltage drop between battery, satellite main bus and payload interface, which cannot guarantee the input voltage level of the satellite electrical unit and payload. So, it is necessary to predict the main bus and payload input voltage level when the payload works. In this paper, the worst case analysis of the harness and contact resistance was executed and predicted the voltage drop when the payload works.

Numerical Analysis of the Effect on the Flood Level Increasement due to the Channel Contraction for Sedimentation Reduction at the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낙동강하구둑의 퇴사저감을 위한 하폭축소 방법이 홍수위 상승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im, Nam-Il;Jang, Eun-Kyung;Ji, Un;Yeo, Woon-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57-161
    • /
    • 2011
  • 낙동강하구둑 접근수로에는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유사가 유속감소로 인해 하구둑 근처에서 퇴적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퇴적되는 유사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하구둑 건설이후 매년 일정한 통수능 확보를 위해 준설이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준설 방법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된다는 점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며, 이를 대체 할 수 있는 적절한 퇴사저감방안 연구가 지금까지 선행연구들을 통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하폭이 급격히 확대되어 유속 감소를 유발하고 유사 퇴적을 야기 시키는 하구둑 상류 2km에서 3km 지점의 하폭을 국부적으로 축소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퇴사를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폭축소로 인하여 홍수발생시 상류의 홍수위가 기존 조건에서 보다 상승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폭축소 방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상류의 홍수위 상승 위험성을 1차원 수치모형인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하폭축소 전 후의 수면곡선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영역은 낙동강하구둑 상류 12km 구포대교 지점까지이며 하폭축소 구간은 낙동강하구둑 상류 2km에서 3km로 하도 우안 구간의 하폭을 10% 축소하였다. 입력 자료는 낙동강유역 종합치수계획에 명시된 빈도별 유량 및 낙동강하구둑 수위 조건을 적용하였다. 모의결과 30년, 50년, 80년, 200년 빈도별 유량과 수위를 적용한 경우 최대 수위상승이 0.02m이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500년 빈도의 경우 0.03m의 최대 수위상승 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tochastic Prediction of Strong Ground Motions in Southern Korea (추계학적 보사법을 이용한 한반도 남부에서의 강지진동 연구)

  • 조남대;박창업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5 no.4
    • /
    • pp.17-26
    • /
    • 2001
  • In order to estimate peak ground motions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strong ground motions in southern korea, we employed the stochastic simulation method with the moment magnitude(M$_{w}$) and the hypocentral distance(R). We estimated same input parameters that account for specific properties of source and propagation processes, and applied them to the stochastic simulation method. The stress drop($\Delta$$\sigma$) of 100-bar was estimated considering results of research in ENA, China, and southern korea. The attenuation parameter x was calculated by analyzing 57 seismograms recorded from September 1996 to October 1997 and the estimation result of the attenuation parameter x is 0.00112+0.000224 R where R is hypocenter distance. We estimated strong ground motion relations using the stochastic simulation method with suitable input parameters(e.g. $\Delta$$\sigma$, x, and so on). At last, we derived relations between hypocentral distances and ground motions(seismic attenuation equation) using results of the stochastic prediction.esults of the stochastic prediction.n.

  • PDF

URT 주변의 지하수유동체계 해석

  • Jo Seong-Il;Kim Cheon-Su;Bae Dae-Seok;Kim Gyeong-Su;Go Yong-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259-262
    • /
    • 2006
  • 본 연구는 지하처분연구시설(URT : Underground Research Tunnel)시설 건설공사와 관련하여 굴착 후의 지하수유동체계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지하수유동체계 모사를 위해 사용된 모델은 연속체 매질 개념의 Visual Modflow이며, URT 주변의 시추공에서 조사된 자료를 초기 입력자료로 이용하였다. 1단계 터널굴착 후에 계측된 지하수위 및 터널 내 지하수 유입량을 토대로 모델교정을 수행하였고, 교정된 모델을 이용하여 2단계 터널굴착 후의 지하수유동체계를 예측하였다. 1단계 굴착 후 약 4.3m의 수위강하가 발생한 KP-2번공은 2단계 굴착 후에는 약 0.05m의 수위강하가 예측되었다. 또한 2단계 굴착 후의 지하수위는 터널 입구를 기준으로 약 108m지점부터 터널 종점부 175m까지는 터널 상부에 분포하며, 종점부 175m지점에서는 지하수위가 터널 천장(roof)부로부터 약 12.7m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지하수위의 강하범위는 터널 중심부로부터 반경 약 300m까지 발생되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예상 지하수 유입량은 24.7ton/day로 1단계 공사 후보다. 약 2.7ton/day 증가하며, 공동굴착 전 터널 중심부의 지하수가 지표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약 39.8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test result of dynamic character about low voltage electric machine under voltage sags (순간전압강하에 대한 저압기기의 응동특성 실험결과)

  • Lee, Geun-Joon;Lee, Hyun-Chul;Jeong, Sung-Won;Gim, Jea-Hy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11b
    • /
    • pp.40-42
    • /
    • 2007
  • 본 논문은 전기기기에 순간전압저하를 발생 하였을 경우 응동특성에 대한 영향을 계측하였다. 실험 방법은 AVR에서 Sag 발생기인 IPC에 입력한 후, IPC에서 전압의 크기와 시간을 조정하여 실험기기에 순간전압 강하를 발생하였다 실험기기는 PLC, 전자접촉기, 400[W]고압방전램프를 시험하였다. PLC시험에서 무부하와 정격부하에 따라 특성 의 변화가 생겼으며, 정격부하에서 Voltage Sag의 영향을 더 받았다 전자접촉기의 시험은 위상을 $0^{\circ},\;30^{\circ},\;60^{\circ},\;90^{\circ}$로 변화하여 Voltage Sag 발생시켜 계측하였으며, 위상의 변화에 따라 특성곡선이 변화하였다. 고압방전램프시험은 고압나트륨램프와 수은램프, 메탈헬라이드에 Voltage Sag를 발생시켰다. 방전램프의 시험결과 고압나트륨램프의 특성곡선이 가장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을 통해 순간전압저하에 대한 저압기기의 특성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여 전력시스템의 설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기대된다.

  • PDF

An investigation on analysis of heavy vehicle cooling fan system by radiator consideration and blade number (대형차량용 냉각팬 날개수 및 주변장치에 의한 압력강하에 따른 성능해석 연구)

  • Kim, Joo-Han;Jung, In-Soung;Hur, Nahm-Keo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5a
    • /
    • pp.213-213
    • /
    • 2011
  • 본 논문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팬은 대형 차량용 라디에이터 냉각팬으로써 수치해석을 통한 일반적인 팬의 성능 평가시 팬과 쉬라우드의 형상만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하지만 라디에이터를 거쳐 공기가 유입되는 실제 현상에 좀 더 가깝게 모사하고자 라디에이터의 압력 부하를 고려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기존 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된 냉각팬은 쉬라우드의 전방에 라디에이터가 설치되며 라디에이터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라디에이터의 압력 부하에 따라 팬 성능에 영향을 준다. 라디에이터의 압력 부하 성능을 모사하기 위하여 쉬라우드 입구에 박스 형태로 라디에이터의 외부 크기를 모델링 한 후 수치해석 시 porous media model을 사용하여 풍속에 따른 압력 강하 곡선을 적용하였다. 수치해석에서 porous media model을 적용할 경우 실제적인 형상 모델링 없이도 실험으로부터 도출한 성능곡선을 조건으로 입력하여 실제 현상에 가까운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팬 날개수 증가에 따른 해석을 수행하여, 날개수 변경에 따른 성능개선의 여지를 확인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