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플란트 인상 채득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초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한 임플란트 즉시 보철수복 증례 (Immediate restorations in a fully edentulous patient utilizing digital system: A case report)

  • 방정환;정승미;강세하;황찬현;김대환;최병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57-166
    • /
    • 2015
  • 본 증례는 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인상채득과 석고모형 제작과정 없이 CBCT와 구강스캐너를 이용하여 수술 전에 한 번의 치과방문으로 임플란트 식립과 동시에 즉시 보철수복을 시행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무치악 부위 연조직 형태, 수직교합고경, 상하악 악궁관계에 대한 정보는 환자가 사용하고 있는 의치를 스캔하여 얻었다. 이 방법은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수복 과정을 기존의 방법보다 내원 횟수를 단축시켰다.

완전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한 상악동 거상술 및 구치부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Sinus floor elevation and implant-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is in the posterior area, with full-digital system: a case report)

  • 박강수;김선재;표세욱;장재승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57-164
    • /
    • 2024
  • 진단, 수술, 인상, 보철물 제작 등 임플란트 치료 전 과정에서 디지털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디지털 수술 가이드를 이용하여 합병증 없이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하고, 계획된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골유착을 위한 치유 기간 이후, CAD-CAM(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으로 맞춤형 지대주 및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여 장착하고, 환자의 적응도와 교합을 평가하였다. 임시 보철물상에서 교합 변화가 관찰되어, 광중합형 컴포지트 레진으로 수리하였다. 최종 보철물 제작 시, 지대주의 수직 침하, 임시 보철물의 형태와 적응된 교합 관계를 반영하기 위해, 이중 스캔과 지대주 수준의 디지털 인상을 채득하였다. 치은 압배 없이 치은 연하 변연을 인기하기 위해, CAD-CAM 소프트웨어상에서 라이브러리화된 지대주 데이터를 중첩하고, 지르코니아 최종보철물 제작하여 장착하였다. 구치부 임플란트 수복 시,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통적인 방법에서 겪는 어려움을 줄이고, 수술부터 보철물 제작까지 효율적인 치료 과정과 안정적이고 예지성 있는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Digital workflow를 활용한 'All-on-4'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 수복 증례 ('All-on-4' fixed implant supported prosthesis restoration using digital workflow: a case report)

  • 주성우;홍성진;백장현;노관태;배아란;권긍록;김형섭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316-327
    • /
    • 2023
  • 구치부 심한 골소실을 보이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게 이공 전방에 4개 이상의 임플란트를 식립 후 전악 수복을 하는 'All-on-X'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 수복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과거에는 이러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시 특별한 기준점 없이 술자의 판단에 의존하여 잔존 치조제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보철 수복 단계에선 이미 식립된 임플란트에 맞춰서 보철물을 제작하는 방식이었지만, 최근 디지털 치의학의 발전으로 진단, 수술, 보철 제작 등 모든 과정에서 계획적이고 예지력 있는 치료가 가능해졌다. 디지털 총의치, 임플란트 서지컬 가이드, 안면스캔 그리고 복제 의치를 통한 인상 채득 등의 디지털 기술들을 사용하여 복잡한 기공 과정을 줄이고, 임시 수복물의 심미와 기능을 최종 보철물로 효과적으로 이행할 수 있다. 상기 환자는 상악 디지털, 하악 'all-on-x'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수복환자로, 진단부터 최종 수복까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기능과 심미성을 만족시키는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무치악 환자에서 구강 스캔과 지대주 중첩을 이용한 임플란트 보철수복 증례 (Implant prosthesis for fully edentulous patients using intra-oral scanning and abutment merging technique: A case report)

  • 황찬현;정승미;김용준;김경희;방정환;김대환;최병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61-70
    • /
    • 2017
  • 본 증례에서는 기존의 총의치 사용 환자에서 의치의 이장된 인상면을 스캔하고 이를 삼차원적으로 반전하여 잔존 치조제의 형태를 재현하고, 의치에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를 부착한 상태로 스캔 및 CT 촬영을 진행하여 스캔 이미지와 CT 영상이 중첩된 데이터 상에서 임플란트 식립을 계획하였다. 수술 당일에는 치은 형태에 맞게 제작된 맞춤형 지대주와 임시 수복물을 장착하였다. 임플란트 고정체의 골유착이 완료된 이후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는 임플란트 식립 전 미리 스캔하여 저장된 임플란트 지대주 이미지 파일과 구강 내 지대주 상태에서 채득된 구강 스캔 이미지를 중첩하였다. 중첩을 통해 얻어진 정확한 지대주 형태 상에서 최종 보철물을 제작함으로써 최종 보철물의 변연 적합도를 높이고 임상 과정을 간소화 할 수 있었다.

치조골이식과 디지털 방법을 활용한 상악 중절치 임플란트 심미 수복 증례 (Aesthetic implant restoration with alveolar bone graft and digital method on maxillary central incisor: a case report)

  • 장한솔;표세욱;김선재;장재승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68-174
    • /
    • 2022
  • 상악 전치부의 임플란트 식립 시 치은 퇴축이나 골 결손 문제를 동반하는 경우에는 심미적인 임상 결과를 얻기가 쉽지 않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우측 중절치에서 순측 치조골판의 소실이 진단되어 발치 후 연조직을 확보한 후에 골 이식을 동반하는 임플란트 식립을 계획하였다. 또한 이상적인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위해 디지털 가이드 수술을 시행하였고, 치조골 결손부가 광범위하기 때문에 하악지에서 자가골 채취 후 이종골과 함께 골유도재생술을 동반하였다. 충분한 임플란트의 골 유착 기간을 거친 뒤 2차 수술 및 인상 채득을 통한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였고, 주기적인 외형 조정을 통해 연조직의 형태를 개선하였다. 최종 보철물 제작시에는 양극 처리를 시행한 맞춤형 지대주를 사용하여 자연 치아의 색조를 유도하였고, 구강 스캔을 통하여 임시 보철물의 형태를 재현해 줌으로써 심미적이고 기능적인 지르코니아 보철물을 장착해 주었다.

Computer-guided template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에서 술 전과 술 후 사이의 임플란트 위치에 따른 변위량 검사 (Deviations of Implant Position between Pre- and Post-operation in Computer-guided Template-based Implant Placement)

  • 김원;김승미;김효정;송은영;이시호;오남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2호
    • /
    • pp.175-184
    • /
    • 2011
  • Computer-guided system은 술 전에 임플란트 위치를 계획하고 이와 일치하도록 구강 내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렇게 임플란트를 식립한다 할지라도 실제 매식된 임플란트의 위치는 원래 계획하였던 위치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실제 임상에서 computer guided system을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식립한 환자들의 경우 계획한 위치와 실제 식립된 임플란트 사이에 발생하는 변위량의 범위를 알아보고 그 임상적 적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NobelGuide' system (Nobel Biocare AB, G$\ddot{o}$teborg, Sweden)을 이용하여 Br${\aa}$nemark MK III Groovy RP (Nobel Biocare AB, G$\ddot{o}$teborg, Sweden)임플란트 식립을 시행 받은 다섯 명의 환자를 선정하였다. 수술용 형판에 지대주 유사체를 연결한 후 술 전 측정 모형을 제작하였고 최종 보철물 제작 시 최종 인상을 채득하여 술 후 측정 모형을 제작하였다. 두 측정 모형의 CT 방사선 사진을 촬영 후 3차원적으로 재현하였고 재현된 모델 상에서 식립된 임플란트 위치를 지정하였다. 각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경부와 첨단의 중심점을 연결하여 임플란트 축을 설정하였으며 두 축 간의 각도가 측정되었다. 임플란트 간 거리는 각 임플란트의 경부에서, 설정된 임플란트 축이 지나가는 중심점 간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총 5명 환자의 58개 부위의 임플란트 간 술 전과 술 후 임플란트 거리와 각도 변위량이 기록되었으며 평균 및 최대 변위값을 산출하였다. 술 전과 술 후 임플란트 위치 간 거리의 변위량은 평균 0.41 mm였고 최대 1.7 mm의 범위 하에 있었다. 술 전과 술 후 임플란트 간 위치의 각도의 변위량은 평균 $1.99^{\circ}$를 나타냈으며 최대 각도 변위량은 $6.7^{\circ}$를 나타내었다. 술 전 계획된 임플란트와 술 후 식립된 임플란트 간의 길이와 각도에 따른 평균 변위량은 computer-guided implant system을 실제 임상에 적용하는 데 있어 큰 문제가 존재하지 않고 '수동적 적합(passive fit)'을 얻기에 무리가 없을 허용 가능할 만한 값을 나타냈다.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에서 금과 지르코니아의 마모 비교에 대한 임상 연구 (Clinical study on the comparison of gold and zirconia wear in an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 김지환;양승원;오남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4호
    • /
    • pp.252-259
    • /
    • 2017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르코니아 전장관과 금전장관으로 수복된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장착 후 초기 6개월간의 마모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015년 1월부터 2016년 1월까지, 대구치 부위에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 수복을 요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총 47개에 대하여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과 대합치에 대해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보철물 장착 1주 및 6개월 후 보철물 및 대합치를 인상채득 하여 교합면의 형태를 인기 하였다. 인상체를 스캔하여 보철물 및 대합치의 교합면 형태를 비교하여 마모 분석을 시행하였다. SPSS (Version 23.0; SPSS, IBM Corporation, Armonk,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규성 분석 후 Mann-Whitney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에서 지르코니아 전장관과 금전장관 보철물의 6개월간 평균 수직거리 차의 중앙값은 각각 $50.84{\mu}m$, $42.84{\mu}m$로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다(P > 0.05). 대합치가 자연치인 경우, 지르코니아 전장관 및 금전장관 보철물의 6개월간 평균 수직거리 차의 중앙값은 각각 $47.72{\mu}m$, $41.97{\mu}m$였으며, 대합치 법랑질의 평균 수직거리 차의 중앙값은 각각 $47.26{\mu}m$, $44.59{\mu}m$이었고,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P > 0.05). 결론: 조사 기간이 짧았고, 실험군의 개수가 적었다는 단점이 있지만,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 장착 후 초기 6개월간의 마모 비교에서 지르코니아 전장관과 금전장관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대합되는 자연치 법랑질의 마모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악 피질골과 연조직의 해부학적 두께를 위한 정량적 평가 (Quantitative evaluation of cortical bone and soft tissue thickness in the mandible)

  • 이수경;전윤식;임원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12-219
    • /
    • 2007
  • 현재 교정용 미니 임플란트의 식립부위에 대한 연구는 주로 구치부 치근사이 공간에 집중되어 왔으며, 연조직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하악골에서 전치부와 구치부의 치근사이 피질골과 연조직 두께를 측정하여 해부학적인 지도를 만들고, 한국인의 평균 부착치은의 폭경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하여 자원한 남자 15명, 여자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27세 3개월이었다. 구강 내 인상을 채득한 후 석고모형을 만들어 0.5 mm두께의 평판으로 스텐트를 제작하였다. 스텐트의 중절치에서 제1대구치까지 치근사이 치은변연을 연결한 선에 방사선 불투과성의 표식을 부착하고 구강 내에 장착한 후 3차원 CT 영상을 얻고, 각 치근사이 치조정 하방에서 2, 4, 6, 8 mm부위의 피질골 두께를 측정하였다. 연조직 두께는 스텐트의 각 치근사이 치조정 하방에서 2, 4, 6, 8 mm부위에 구멍을 뚫고 구강 내에서 근관치료용 파일을 연조직에 통과시켜 측정하였다. 석고모형 상에서 중절치에서 제1대구치까지 각 치근중앙 부위에서 부착치은의 폭경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하악골에서 전체대상자의 평균 피질골 두께는 $1.33{\pm}0.38mm$이었으며 전치부에서 구치부로 갈수록 두꺼워지고, 평균 연조직 두께는 $1.49{\pm}0.54mm$이었으며 치근단 쪽으로 내려가면서 두께가 변하지 않았다. 평균 전체 두께는 $2.82{\pm}0.70mm$이었으며 전치부에서 구치부로 갈수록 두꺼워졌다. 부착치은의 폭경은 전치부가 구치부보다 넓었다. 이상의 결과는 피질골과 연조직 두께, 부착치은의 폭경을 고려하여 미니 임플란트의 식립부위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인상채득방법이 임플란트 주모형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MPRESSION TECHNIQUE ON THE ACCURACY OF MASTER CAST FOR IMPLANT PROSTHESIS)

  • 김영오;양홍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38-247
    • /
    • 2004
  • Statement of problem: Major objective in making on implant-supported prosthesis is the production of superstructure that exhibits a passive fit when connected to multiple abutments. One requirement to ensure passive fit is to make an accurate impression.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curacy of master cast fabricated by using different impression methods at the different impression levels. Material and method: The master model used in this study was resin block having low implant analogs. Impression method studied were 1) direct method on fxiture level (Group FIX-D), 2) indirect method on fixture level(Group FIX-I), 3) modified indirect method on fixture level(Group FIX-M), 4) direct method on abutment level(Group AB-D) and 5) indirect method on abutment level(Group AB-I). Each of the five groups took 10 impressions. Fifty impressions were made for master cast by using Impregum $F^{(R)}$ impression material loaded on individual tray. Three dimensional measuring microscope was used to measure the inter-implant distance. Error rate of each inter-implant distance were calculated and evaluated.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roup FIX exhibited higher accuracy than group AB. 2. In group FIX, modified indirect method showed the highest accuracy, while indirect method showed the lowest accuracy. In group Ab, indirect method showed the higher accuracy than direct method. 3. Group FIX showed larger horizontal error than group AB. But, group AB showed the larger vertical error than group FIX. 4. Group Fix-M showed smallest vertical and horizontal error. Conclusion: An impression method have more effect on accuracy of master model than an impression level. A modified indirect method showed smallest vertical and horizontal error.

인상채득 방법이 임플란트 보철 작업모형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MPRESSION TECHNIQUES ON ACCURACY OF MASTER CASTS FOR IMPLANT PROSTHESES)

  • 홍은희;한동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45-454
    • /
    • 1994
  • Osseointegrated implant prostheses are to provide normal function without compromising the unique interaction between the tissue and the implant. The essential requirement for the osseointegrated implant prostheses is passive fit of abutment. Therefore, the impression must be accurate and reproduciable since the resultant master cast precisely duplicates the clinical con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curacy of the master casts obtained from five impression techniques. Group 1 : To take impression with indirect technique and Impregum F. Group 2 : To take impression with unsplinted direct technique and Impregum F. Group 3 : To take impression with splinted direct technique and Impregum F. Group 4 : To take impression with unsplinted direct technique and Xanthano. Group 5 : To take impression with splinted dierct technique and Xanthano. The results were as follow : 1. In taking impression of Impregum F,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o use of indirect technique and unsplinted direct technique.(p<0.05) 2. Unsplinted direct technique with Impregum F is less accurate than splinted direct technique with Impregum F or Xanthano and unsplinted direct technique with Xanthano.(p<0.05).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plinted direct technique with Impregum F and unsplinted direct technique with Xanthano.(p<0.05) 4. Splinted direct technique reproduce more accurate than unsplinted direct technique.(p<0.05) 5. Impression plaster produced less distortion than polyether.(p<0.05) As a result, splinted direct technique with Xanthano was the most accurate technique. As a result, splinted direct technique with Xanthano was the most accurate technique in this study. In addition to dimensinal changes in the materials used, positional errors were also attributed to the mechanical components used in the transfer porocess. Although the errors measured were relatively small,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tential for distortions with the transfer technique used. Further study is indicated that ?the technique will be able to reproduce the intraoral relationship of implant fixtures reliably and predictab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