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플란트를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1초

소수의 임플란트 크라운을 지대치로 이용한 하악 가철성 국소 의치 수복 증례 (Mandibular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a small number of implant crowns: two case reports)

  • 김유라;이수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2호
    • /
    • pp.110-119
    • /
    • 2022
  • 부분 무치악 환자의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시 지대치가 항상 유리한 위치에 존재하지는 않는다. 이로 인하여 잘 맞게 제작된 가철성 국소의치임에도 불구하고 환자는 가철성 국소의치의 안정과 지지에 대하여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소수의 임플란트 크라운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가 부분 무치악 환자에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소수의 임플란트를 위치시키고 지대치로 이용하여 가철성 국소의치의 안정과 지지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증례는 하악 편측에 잔존치를 갖는 환자에서 두개의 임플란트를 전략적으로 위치시켜 지대치를 양측으로 분포시켰다. 최종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이후 환자는 저작 기능에 만족감을 보였으며 국소의치 사용시 편안함을 나타내었다.

상악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크라운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증례 (A case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restoration using implant supported surveyed crown in a maxillary edentulous patient)

  • 성시영;최연조;류재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29-36
    • /
    • 2022
  • 상악 무치악 환자의 구강 회복을 계획할 때 치료 방법으로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 수복과 총의치 수복 또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오버덴쳐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총의치 수복의 경우 추가적인 수술이 필요 없고 상대적으로 경제적이며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 수복의 경우 일반적으로 총의치 수복에 비해 기능적인 부분이 우수하지만 임상적으로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운 경우가 존재한다. 최근에는 환자의 요구 및 잔존 치조골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부분적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크라운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도 시도되고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전방부의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크라운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을 시행한 증례로 심미 및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 보고하는 바이다.

상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6개의 임플란트를 동반한 두가지 가철성 의치 치료의 8년 경과 관찰 증례 (Eight-year follow-up of two different removable prostheses using six implants in maxillary edentulous patients)

  • 양승원;김종은;김지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300-304
    • /
    • 2017
  • 자연치열에 대합하는 완전 무치악 환자의 수복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 또는 임플란트 피개의치는 좋은 치료법이다. 그러나, 완전 고정성 보철을 통한 치료는 충분한 골질, 골량이 뒷받침되어야 하기에 그 한계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과 함께 그것을 가철성 국소의치의 지대치로 사용하는 치료가 행해지고 있다. 본 증례보고는 자연치열에 대합되는 두 상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 있어 임플란트 피개의치와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및 가철성 국소의치를 이용한 치료 및 8년 경과관찰, 유지보수를 비교 고찰해 보고자 한다.

상악의 소수 잔존치와 실패한 하악의 임플란트 오버덴처의 재수복 임상증례: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법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denture on maxillary few remaining teeth and 2 mandibular implants in case of failed implant overdenture)

  • 하석준;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46-252
    • /
    • 2016
  •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는 지대치 간의 이차고정(secondary splinting), 응력의 수직 방향, 지대치 지렛점(fulcrum)의 내 외관 margin 부위 위치로 인한 지렛대 길이(the length of lever arm)의 감소로 소수 잔존치이거나 지대치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도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중관(double crown)을 이용한 의치는 치아가 얼마 남지 않은 부분 무치악 환자 뿐만 아니라, 소수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임플란트 오버덴처에 있어서 성공적인 치료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은 소수 치아가 잔존했고, 하악은 치조골 흡수 및 수축이 심하고 임플란트가 실패한 상태였다. 상악의 소수 잔존치는 치주적으로 불량하였고, 하악에는 2개의 임플란트만을 다시 식립하였다. 이러한 불리한 조건에서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를 이용한 치료를 계획하였다. 1년여 정도의 관찰 기간 동안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의 효용성을 증명하였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심한 하악 치조제 흡수를 가진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한 증례 (Implant-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for severely atrophied mandible)

  • 최바다;김연주;이재훈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71-175
    • /
    • 2019
  • 치조제가 심하게 흡수된 하악의 정확한 해부학적 구조를 채득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 경우 보다 정확한 인상을 채득하기 위하여 수정모형 제작법을 통한 기능 인상 채득이 추천된다. 이를 위해서는 양측에 2개의 임플란트 크라운을 이용하여 적절한 고정원을 얻을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임플란트 피개의치에서는 불가능하였던 수정모형 제작법을 시행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하악의 치조제가 심하게 흡수된 80세 여환을 하악 양측 견치 부위의 임플란트 크라운을 지대치로 한 가철성 국소의치를 이용하여 수복하였다. 가철성 국소의치의 금속구조물을 이용하여 개인 트레이를 제작하고 수정모형 제작을 위한 이차 인상을 채득하였다. 환자는 앞선 2회의 피개의치 실패 후 제작된 최종 보철물에 만족하였다. 치료 초기에 행해진 피개의치 치료에서는 부정확한 인상법에 따른 부적절한 보철물로 인해 술자와 환자 모두 만족하지 못했지만, 2개의 임플란트를 적절한 고정원으로 이용함으로써 성공적인 수복이 가능하였다.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금관을 이용한 하악의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증례 (Clinical application of mandibular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implant-supported surveyed crown: A case report)

  • 박재호;민병귀;양홍서;박찬;박상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54-160
    • /
    • 2018
  • 소수의 잔존치가 편측으로 남아 있을 때 전통적인 가철성 국소의치를 제작하는 경우, 기능시 잔존 치아를 연결한 축을 중심으로 의치의 회전이 발생하며 부분 무치악 부분이 긴 경우 점막 지지 비중이 증가되어 지대치에 대한 유지와 안정을 얻기 어렵다. 이런 의치의 움직임은 의치의 유지와 안정을 감소시키며 지대치에 과도한 힘을 가하게 되고 치주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추가적인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부가적인 유지와 안정을 얻는 국소의치의 치료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잔존치와 대칭적인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 후 임플란트 지지 서베이드 금관을 제작하여 국소의치 삽입로와 각종 구성 요소를 받아들일 수 있는 설계로 제작하여 좋은 임상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단일 임플란트 서베이드 크라운을 이용한 하악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 20 개월 경과 관찰 증례 보고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implant surveyed crown: A 20-month follow-up case report)

  • 노경우;전영찬;정창모;윤미정;이소현;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23-329
    • /
    • 2018
  • 후방 무치악 부위를 수복하는데 있어서 선택할 수 있는 전통적인 치료방법으로는 가철성 국소의치와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이 있다. 최근, 환자의 전신 건강과 심미적 요구사항, 치료 비용, 잔존 치조골 상태 등을 고려하여, 두가지 치료가 결합된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implant assisted RPD)개념이 이용되고 있다. 임플란트 융합 국소의치는 치조골 결손부가 큰 경우나, 생역학적으로 불리한 경우에 전통적인 가철성 국소의치보다 유지력과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심미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치조골 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부위에 전략적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전통적인 국소의치 디자인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수의 임플란트 식립을 통한 고정성 보철물에 비해 환자의 수술 부담을 줄여줄 수 있으며, 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하악 양측 소구치부에 단일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을 지대치로 하는 양측성 후방연장 국소의치를 제작하여 치료를 진행하였다. 최종 보철물 장착 후 환자는 저작 기능 및 심미에 대해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이후 1년 이상 주기적인 관찰을 통해 예후를 관찰 중이다. 하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을 통해 증진된 지지와 안정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만성 치주염 환자에서 다수치 발거 후 디지털 임시 즉시 의치 제작 및 임플란트 지지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증례 (Digital interim immediate denture fabrication and 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fabrication after multiple teeth extraction in patient with chronic periodontitis: a case report)

  • 박민재;방지원;방주혁;임선영;이용상;이근우;김성용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104-112
    • /
    • 2024
  • 다수 치아를 발치하면 환자는 사회적, 심리적, 심미적인 문제를 마주하게 된다. 이때, 치아를 발치하기 전 임시 즉시 의치를 제작하는 것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임시 즉시 의치를 제작한다면 기공과정이 단순해 지고 환자의 적은 내원 횟수로 임시 즉시 의치를 완성할 수 있다. 한편, 소수의 잔존치가 남은 환자에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수복이 어렵고, 가철성 국소의치의 지지 및 유지가 불량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임플란트 지지 가철성 국소의치(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가 대체 치료 옵션으로 주목되며, 임플란트 보철물을 이용해 추가적인 지지 및 유지가 가능하다. 본 증례에서는 다수치아 발거 후 소수 잔존치 상황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임시 즉시 의치를 제작하였다. 이후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서베이드 크라운을 제작해 가철성 국소의치의 지지, 안정, 유지를 제공하여 임상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후방연장 가철성 국소의치에서 임플란트의 길이와 위치가 응력분산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length and location of implants on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finite element analysis)

  • 김진희;조진현;이청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3호
    • /
    • pp.186-194
    • /
    • 2015
  • 목적: 임플란트 위치와 길이가 하악 후방연장 가철성 국소의치(DERPD)와 연관된 임플란트의 응력 분포와 변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5, 36, 37이 소실된 시상절단면의 후방연장모형과 가철성 국소의치를 기본모형으로 사용했다. NX 9.0으로 7개의 모델을 디자인했다. 모델 A, B, C에서 각각 11, 6, 4 mm 길이의 임플란트가 #37 인공치 하방에 위치되었다. 모델 D, E, F에서 각각 11, 6, 4 mm의 임플란트가 #36 인공치 하방에 위치되었다. 모델 G는 임플란트가 없었다. 수직하중(250 N)을 #36의 중심와에 가했고, 유한요소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해 von Mises stress와 변위를 관찰했다. 결과: #37에 위치한 임플란트는 #36에 위치한 것과 비교시 주변골에 더 낮은 응력집중도를, #36에 위치한 임플란트는 #37에 위치한 것보다 더 적은 변위를 보였다. 결론: 임플란트 지지형 가철성 국소의치에서 후방부에 위치한 임플란트는 전방부에서보다 더 이점을 가지며, 길이가 더 긴 임플란트의 사용은 응력분산을 위해서 중요하다.

상악의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과 후방연장 국소의치를 이용하여 수복한 10년 경과 관찰 증례 (Maxillary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engaged by distal-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for 10 years: a case report)

  • 류리;박연희;오원석;이정진;박주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2호
    • /
    • pp.121-127
    • /
    • 2020
  • 상악 무치악 환자에서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데 있어 생역학적 고려사항과 함께 전치부 치아에 대한 환자의 심미적 요구도 고려될 수 있다. 이 증례 보고는 전치부의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과 구치부의 후방 연장 가철성 국소의치로 구강 기능이 회복된 상악 무치악 환자의 10년 동안 임상 결과를 기술하고 있다. 상악 전방에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로 4개의 임플란트를 연결고정 하였으며 후방에 가공선 유지장치를 가진 가철성 국소의치가 장착되었다. 하악 무치악은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수복되었다. 경과 관찰 기간 동안 고정성 보철물의 인공치아와 전장 레진의 변색, 사고로 인한 보철물 파절 이외에 임플란트 및 국소의치 관련된 기계적, 기계적 생물학적 주요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