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임프란트

Search Result 42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Histological Study on the Bone Tissues Surrounding Coated and Non-Coated Titanium Implants in Beagle Dogs (Beagle Dog 에 식립된 순수한 타이타늄 임프란트 및 피막처리된 타이타늄 임프란트 주위의 골조직에 관한 조직학적 연구)

  • Leem, Sang-Hoon;Son, Sung-Ho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7 no.1
    • /
    • pp.91-109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악골에 식립된 순수한 타이타늄 임프란트와 타이타늄 플라즈마 처리된 타이타 늄 임프란트 및 수산화인회석으로 피막처리된 타이타늄 임프란트의 주위 골조직을 광학현미경 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비교 관찾히였다. 3 마리의 beagle dog 에서 상하악 소구치를 편측으로 발거한 후 12 주의 치유기를 거쳐 임프란트 를 식립하였으며, 임프란트 식립 후 4주, 8주 및 12주에 실험동물을 각각 희생시켜서 조직 표본을 제작하였다. 임프란트 주위의 골조직에서 염증이나 이물반응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정상적인 악골에서와 유사한 골조직 소견이 관찰되었다 상악골 및 하악골에 식립된 모든 임프란트의 4주 표본에서, 골과 임프란트 변의 직접적인 접촉이 관찰되었다. 동일한 치유기에서는, 상악골에 식립된 임프란트의 면에 비하여 하악골에 식립된 동종의 임프란트의 변에서 더 많은 양의 골접촉이 관찰되었으며, 순수한 타이타늄 임프란트의 면에 비하여 피막처리된 타이따늄 임프란트의 변에서 더 많은 양의 골접촉이 관찰되었다.

  • PDF

Status of the Korean Implant Dentistry (한국의 임프란트 치과의학의 현황)

  • Kim, Hong-Gi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21 no.12 s.175
    • /
    • pp.941-950
    • /
    • 1983
  • 치과에 있어서 임프란트의 기여도는 대단히 크다 치과 각과 학문의 종합체인 임프란트치과의학의 정상적인 정착을 위하여 83년도 대한치과의사협회 종합학술대회의 메인 테-마는 치과임프란트로서 정하여 진바 있다. 이에 대한치과인공장기이식(임프란트)학회에서는 올바른 학문발전과 시술을 위하여 특강과 심포지움, 테이블크리닉과 포스타- 전시를 함으로써 임프란트 시술성공의 가이드라인인 임프란트의 이득과 결점을 제시함으로써 사고예방은 물론 성공으로서의 지침이 되어 나아가 우리나라 임프란트 치과의학 발전에 크게 도움이 되고저 노력하였다. 이 노력중의 하나인 한국의 임프란트치과의학의 현황을 이에 수록하였다.

  • PDF

Bone Added Osteotome Sinus Floor Elevation with Simultaneous Placement of Branemark Ti-Unite and ITI SLA implants (Osteotome 상악동 거상술과 동시에 식립한 $Br{\aa}nemark$ Ti-Unite 과 ITI SLA임프란트의 비교 연구)

  • Kang, Nam-Won;Jung, Ui-Won;Choi, Seong-Ho;Cho, Kyoo-Sung;Chai, Jung-Kiu;Kim, Chong-Kwan;Kim, Chang-S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5 no.3
    • /
    • pp.609-621
    • /
    • 2005
  • 1. 목적 Osteotome 상악동거상술(Bone Added Odteotome Sinus Floor Elevation ; 이하 BAOSFE) 과 동시에 식립한 임프란트($Br{\aa}nemark$, ITI)의 예상 생존율에 대해 현재까지 정확히 알려진 바는 없었으며, $Br{\aa}nemark$ Ti-Unite 과 ITI SLA 임프란트의 표면에 대한 비교 연구 또한없었다. 이번 연구는 BAOSFE 술식과 동시에 식립한 $Br{\aa}nemark$ Ti-Unite 과 ITI SLA 임프란트의 임상 결과를 비교, 평가하고 초기 치유기간 동안의 이식골 높이의 변화를 방사선학적으로 관찰하여 두 가지 임프란트 시스템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2. 방법 위축된 상악 구치부를 갖는 2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BAOSFE술식과동시에 $Br{\aa}nemark$ Ti-Unite(11명, 13 임프란트)임프란트와 ITI SLA(11명, 18 임프란트)임프란트를 식립하였다. 수술 전, 임프란트 식립 직후, 술후 6개월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비교 및 평가에 사용하였다. 각 임프란트 시스템의 생존율을 측정하고, 술전 상악동저 높이와 식립된 임프란트 길이를 참고하여 이식골 높이의 방사선학적 변화를 평가하였다. 3. 결과 평균12개월의 추적기간 결과, $Br{\aa}nemark$ Ti-Unite 임프란트의 생존율은 100%(13/13 임프란트)이었으며, ITI SLA 임프란트의 생존율은 94.4%(17/18 임프란트)이었다. 초기 치유 기간인 6개월 동안 평균 이식골 높이의 감소는 $Br{\aa}nemark$ Ti-Unite 임프란트에서 0.67mm(10.73%), ITI SLA 임프란트에서는 0.55mm(8.18%)로 나타났다. 두 가지 임프란트 시스템 간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4. 고찰 BAOSFE 술식과 동시식립한 $Br{\aa}nemark$ Ti-Unite 과 ITl SLA 임프란트는 위축된 상악 구치부를 갖는 환자에서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으며, 임프란트 표면에 따른 이식골의 치유 반응은 두 가지 임프란트 시스템에서 유사한 양상으로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Histological response of anodized titanium implant (양극 산화한 티타늄 임프란트의 조직학적 반응)

  • Lim, Svetlana;Heo, Seong-Joo;Han, Chong-Hyun;Kim, Tae-II;Seo, Yang-Jo;Ku, Young;Chung, Kyoung-Uk;Chung, Chong-Pyoung;Han, Soo-Boo;Rhyu, In-Chul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5 no.3
    • /
    • pp.525-536
    • /
    • 2005
  • 여러 연구들을 통해 많은 학자들이 임프란트 안정성(stability)은 표면의 특징에 달려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표면의 구조, 에너지, 산화물(oxide) 두께와 표면성상(topography)등 임프란트의 표면의 특징은 임프란트와 골조직의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알려짐에 따라 티타뮨 임프란트의 표면의 처리 방법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 중에서 티타늄 임프란트 표면의 산화피막화(anodization)가 한 방법으로 대두되었다. 이 방법은 전기화학적 방식으로 임프란트 표면에 거칠고(rough)두꺼우며(thick), 기공(pore)을 가지는 산화물 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산화물의 두께는 coronal 부분(l-2 ${\mu}m$)으로부터 apical부분(7-10 ${\mu}m$)까지 증가하게 된다. 산화피막의 표면에는 다양한 크기의 수많은 기공이 주로 1-2 ${\mu}m$ 두께로 임프란트의 apical 부분에서 존재하며, 임프란트 표면의 거칠기는 conical 위부분에서 apical 부분까지 계속 증가한다(평균 Ra value=1.2 ${\mu}m$). 또 다른 표면 처리 방법으로는 blasting 후에 etching을 한 SLA 표면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anodized 표면과 SLA 표면의 조직학적 반응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24개 임프란트를(anodized surfaced implant-12개 , SLA-12개, 8mm ${\times}\;{\Phi}$ 4.3) 6마리 토끼의 오른쪽과 왼쪽 femur에 식립하였다. 12주후에 동물들을 희생하여 EXACT cutting-grinding system을 이용하여 샘플을 절단하고 800, 1200 및 4000 번 연마제(abrasive) paper로 20-50 ${\mu}m$ 까지 grinding하였다. 샘플은 Multiple staining 용액으로 염색하여 SLA 임프란트 군과 비교하였다. 골과 임프란트 사이에 연결을 TD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로 측정하였다. SLA 임프란트 군 경우에는 골과 임프란트 사이의 연결이 $74{\pm}19%$ 이고, 양극 산화한 임프란트 군 경우에는 $77{\pm}9%$이었다. 양극 산화한 티타늄 임프란트의 골 접촉률이 SLA 표면 임프란트 경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The effect of early loading on the direct bone-to-implant surface contact of the orthodontic osseointegrated titanium implant (교정력이 골유착성 티타니움 임프란트의 초기 고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Chung, Kyu-Rhim;Lee, Sung-Ja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1 no.2 s.85
    • /
    • pp.173-185
    • /
    • 2001
  • The orthodontic osseointegrated titanium implant, a kind of intraoral skeletal anchorage can be an alternative to tooth-borne anchorage, in case that the conventional tooth-borne anchorage is not available or the anchorage is critica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early loading on the osseointegration of the orthodontic titanium implant and the healing process of the impaired bone at the site of implant after removing it. In two adult beagle dogs24 osseointegrated titanium implants were inserted into the alveolar bone, with 12 implants placed in each dog. In dog1, 6 out of 12 implants were loaded with 200-300gm of force immediately after placing, and the remaining 6 implants were not loaded for 4weeks. In dog2, all 12 implants had healing period of 4weeks, and then were loaded with 200-300gm of force for another 4weeks. Following an observation period of 4 and 8 week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Then the implants and the surrounding bone of dog1 and dog2 were removed, respectively. Undecalcified sections along the long axis of implant were made and the degree of osseointegration was examined under the light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histologic features of tissues around implants anchored in dog1,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immediately loaded implants and unloaded implants. Immature woven bone was ingrowing into the thread spaces from the original compacta and in direct contact with the implant surface in part. 2. The premature loading just after 4weeks healing period did not halt the progress of the osseointegration between bone and implant surface. The woven bone around the implants was maturing into the lamellar bone which resembled the structure of the original compacta at the end of 8weeks observation period. 3. Most implants with the inflammed surrounding mucosa were lost or mobile. The mobile implants were encapsulated by fibrous connective tissue which separated the implant surface from the bone. 4. The impaired bone at the site of the implant failed to anchor was showing recovery without inflammatory reaction 2weeks after removing, with the immaure woven bone lined by active osteoblasts and osteoi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ntegration of this orthodontic implant seemed to be impaired by the inflammation of the tissue surrounding the Implant rather than by early loading on implant, and increased with time lapsed after placing the implant. The use of implant described in this report can be recommended as an orthodontic anchorage unit immediately after insertion under the careful control of orthodontic force applied and plaque.

  • PDF

OVERDENTURES AND OSSEOINTEGRATED IMPANTS (오버덴춰와 골융합성 임프란트)

  • Shin Sang-Wan;Suh Kyu-Won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29 no.3
    • /
    • pp.197-203
    • /
    • 1991
  • 저작압을 골에 직접 분산시키고 의치를 직접 골에 부착시켜 의치의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가능성을 실현하는 것이 오랫동안 보철과의사들의 목표였다. 수십년 동안 골과 티타늄 임프란트가 결합(적합)되는 골융합성 술식이 발전되어 왔으며 이 임프란트의 상부구조물로 고정식 보철물이 받아들여져 왔다. 현재까지 가장 흔한 상부구조는 고정식 보철물이다. 요즈음 골융합성 임프란트에 지지를 받는 오버 덴춰의 술식이 고정식 보철물과 다른 하나의 방법으로 간주되어질 수 있게 되었다. 오버덴춰 술식이 심미적 경제적 이유 그리고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 확대되는 경향이 있다. 골융합성 임프란트에 의한 고정식 보철물에 대한 광범위한 장기 결과들이 있는데 반하여 여러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오버덴춰 술식은 임상결과나 적용에 과한 지식들이 거의 발표되지 않았으며, 현재까지 임프란트 오버덴춰를 가진 환자의 구강기능에 대한 단지 몇개의 연구들만이 발표되었다. 우리는 장기 임상평가에 의해서 임프란트 오버덴춰를 아주 조심스럽게 평가해야 한다.

  • PDF

임프란트치료와 골유도재생술

  • Kim, Byeong-Ok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39 no.10 s.389
    • /
    • pp.819-824
    • /
    • 2001
  • 충분한 골양이 존재해야 한다는 것은 임프란트를 식립하는데 있어서 중요힌 선결조건이므로, 임프란트를 식립하기 전이나 식립하는 도중에 치조제의 높이와 고경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조직유도재생술 (Guided Tissue Regeneration, GTR)의 생물학적 원리에 기초를 둔 골유도재생술(Guided Bone Regeneration, GBR)이 필요하다. 이 장에서는 임프란트치료시 골유도재생술을 이용하여 임프란트 주위의 골결손부에 대한 치료로서 현재 이용되고 있는 이식재의 종류와 그 임상적 응용, 그리고 결손부 주위에서 골 생성을 향상시크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The Effect of Surface Area Implant on Bonding Strength between Implant and Bone (임프란트의 외표면적이 임프란트와 골과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

  • Jo, Seong-Am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8 no.7
    • /
    • pp.613-615
    • /
    • 1998
  • 임프란트의 외표면적이 골과의 결합의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0개의 grade ll 티타늄 임프란트를 사용하여 이를 직경 3미리와 5미리의 2개의 군으로 나누어 10마리의 토끼의 무릅뼈에 삽입하였다. 6주후에 동물들을 희생시키고 회전제거력을 Tohnichi 15-BTG-N Torque garge Manometer로 측정하여 5nmwlrrud 그룹의 회전제거력이 3mm직경 그룹의 회전제거력보다 큰 것을 확인하였다. (p=0.008)

  • PDF

THE EFFECT OF DENIAL ORTHOPEDIC FORCE TO IMPLANTS ON BONE TISSUE BEFORE COMPLETE OSSEOINTEGRATION (골유착 이전에 악정형력이 임프란트 주위조직에 미치는 영향)

  • Kim, Young-Ho;Lee, Cheol Won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28 no.3 s.68
    • /
    • pp.453-459
    • /
    • 1998
  • The dental implants for edentulous Patients have been used for more than 20 years. After the introduction of osseointegration by $Br{\aa}nemark$, the commercially pure titanium implants were accepted by most practitioners. Recently dental implants are used for orthodontic anchorages as well as prosthetic abutment. Many researchers have reported implants as a good orthodontic anchorage through basic research and clinical evaluation. But previous researches were done after the healing time for osseointegration of inserted implants. If dental implants are to be used for prosthetic abutment the healing time for osseointegration is necessary, but orthodontic forces to implants are different from bite force regarding its amount of force, duration and direction. The authors evaluated the effect of orthopedic force to implants on bone tissue before osseointegration. 48 implants were placed at 12 rabbits. 2 implants into left side and 2 implants into right side were inserted along the long axis of femur respectively 2 weeks (2 weeks group), 4 weeks (4 weeks group) and 6 weeks (6 weeks group) after implants placement, 300g force had been applied to the implants at left side femur by Ni-Ti close coil spring for 4 weeks (experimental group) and no force applied to implants at right side femur (control group). After the force application for 4weeks, rabbits were sacrificed and microscopic evaluation was done by hematoxylin-eosin stain and Masson trichrome stain. The result3 were followed. 1. All implants in experimental group remained rigid after the force application for 4 weeks. 2. More fibrous tissue between bone and implants were noticed at 2 weeks experimental group than 2 weeks control group 3. More bone remodeling was noticed at 4weeks group than 2 weeks group and it was difficult to find out fibrous tissue between bone and implants at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of 4 weeks group. 4. It was hard to distinguish experimental group from control group at 6 weeks group. Therefore if initial stability can be obtained on implant insertion, it can be possible to use implants as a orthodontic anchorage before the healing time for osseointegr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