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임파구

Search Result 15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valuation of DNA Double Strand Breaks in Human and Mouse Lymphocyte Following ${\gamma}-Irradiation$ (${\gamma}-Ray$ 조사에 따른 사람의 정상임파구와 마우스 정상임파구의 DNA Double Strand Break 발생율에 대한 비교분석)

  • Kim Tae Hwan;Kim Sung Ho;Chung In Yong;Cho Chul Koo;Ko Kyung Hwan;Yoo Seong Yul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11 no.2
    • /
    • pp.219-225
    • /
    • 1993
  • The evaluation of radiation-induced DNA double strand breaks (DSB) was made following irradiation of human lymphocytes, murine lymphocytes and EL-4 leukemia cells over a wide dose range of $^{60}Co\;{gamma}-rays.$ In lipopolysaccharide (LPS) or phytohemagglutinin (PHA)-stimulated murine lymphocytes, the slopes of the stand scission factor (SSF) revealed that lymphocytes with LPS increased DNA DSB formation by a factor of 1.432 (p<0.005). Furthermore, strand break production was relatively inefficient in the T lymphocytes compared to the B lymuhocytes. And EL-4 leukemia cells were found to form significantly more DNA DSB to a greater extent than normal lymphocytes (p<0.005). The in vitro studies of the intrinsic radiosensitivity between human lymphocytes and murine lymphocytes showed similar phasic kinetics. However, murine lymphocytes were lower in DNA DSB formation and higher in the relative radiation dose of 10 percent DNA strand breaks at 3.5 hours following ${gamma}-irradiation$ than human lymphocytes. Though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ese results, these differences may be result from environmental and genetic factors. From our data, if complementary explanations for this difference will be proposed, the differences in the dose-effect relationship for the induction of DSB between humans and mice must be related to interspecies variations in the physiological condition of the peripheral blood in vitro and not to differences in the intrinsic radiation sensitivity of the lymphocytes. These results can be estimated on the basis of dose-effect correlation enabling the interpretation of clinical response and the radiobiological parameters of cytometrical assessment.

  • PDF

Study on the Anti-HLA Antibody Production Using in vitro Immunization Technique (시험관내 면역기술에 의한 항 HLA 항체 생산에 관한 연구)

  • 김혜원;서동상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8 no.2
    • /
    • pp.186-195
    • /
    • 1995
  • 사람의 항 HLA 단일군 항체 생산의 선결 조건인 가장 효과적인 시험관내 면역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사람의 혈중 임파구를 함원으로 하여 마우스의 대식세포, 흉선세포. 이들의 조건배지, 그리고 임파구 촉진인자 등을 포함한 14가지의 다양한 배양 조건에서 세포를 배양하였으며, 마우스의 비장세포와 사람의 혈중 임파구에서 각각 항체 생산을 유도하였다. 항체의 생성 여부는 면역효소법(I섬SA)으로 조사하였다. 마우스의 비장세포는 모든 조건에서 다량의 항체가 검출되었으며, 사람의 혈중 임파구 분화에는 마우스의 조건배지보다 PWM. LPS와 같은 임파구 촉진인자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allogenic MLC(Mixed Lymphocyte Culture)에 의해 임파구 분화유도에 유용한 물질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매우 치사율이 높은 H5Nl 독감바이러스에 대한 킬러 T임파구 반응에 대한 연구

  • 서상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Poultry Science Conference
    • /
    • 2002.11a
    • /
    • pp.59-63
    • /
    • 2002
  • 1997년 홍콩 가금시장에서의 H5N1 조류독감바이러스의 발병은 18명의 감염된 사람 중에서 6명의 사람의 생명을 앗아갔다. 이 사건은 조류독감바이러스가 매개체를 통하지 않고 닭에서 바로 사람에게 감염한 처음 있는 사건이다. 홍콩가금시장에서의 역학조사는 H5Nl과 H9N2 조류독감바이러스가 함께 공존한다는 것을 밝혔다. 가금에서는 H5N1과 H9N2 조류독감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우리는 H5N1 조류독감바이러스로부터 자을 방어하는데 H9N2 조류독감바이러스의 역할에 대해 연구했다. H5N1과 H9N2 바이러스의 혼합바이러스를 동시에 자에 접종하면 자은 생존하지 못했다. 그러나, H5N1 조류 독감바이러스감염 이전에 H9N2 조류독감바이러스를 감염한 닭들은 생존할 수 있었다 H9N2 조류 독감바이러스로 감염된 닭으로부터 얻어진 혈청은 H5N1 조류독감바이러스와 교차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H9N2 조류독감바이러스로 감염시킨 닭으로부터 얻어진 T임파구 또는 CD8 T임파구를 감염하지 않은 닭에 주입할 때 닭은 H5N1 조류독감바이러스로부터 생존할 수 있었다. 실험실외 킬러임파구실험은 H9N2 조류독감바이러스로 감염된 닭으로부터 얻어진 T임파구는 H5N1과 H9N2 조류독감바이러스로 감염된 목표세포를 동시에 감지했다. 게다가, 생체내 T임파구의 제거실험은 교차보호면역은 a/b TCR를 가진 CD8 T임파구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a/b TCR (Vbl)형의 T임파구가 목표세포를 감지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H9N2 조류독감바이러스에 의한 방어면역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를 했고, 감염 100일까지 방어력을 나타냈다. 1997년 조류독감바이러스인 H5N1의 홍콩에서의 발병에 대한 풀리지 않은 것 중의 하나는 약 20%의 조류들이 매우 치사율이 높은 H5N1 독감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음에도 홍콩가금시장에서의 대부분의 닭들은 건강했다. 얻을 수 있는 정보에 따르면 대부분의 자들은 H5N1조류독감바이러스를 변으로 방출했고, 단지 두 곳의 가금시장에 있는 자들이 질병증상을 보였다. 홍콩가금시장에서 분리된 모든 H5N1 조류독감바이러스를 닭에 감염하면 100%의 치사율을 나타낸다. 바이러스 측면에서의 연구에 따르면, H9N2 조류독감바이러스는 홍콩가금시장에서 두 번째로 많이 분리되었다. H9N2 조류독감바이러스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세 가지 형이 홍콩가금시장에서 검출되었다. 1997년에 가장 많이 분리된 H9N2 조류독감바이러스는 PB1과 PB2가 A/Chicken/HongKong /156/97 (H5N1)과 유전적으로 유사한 A/HongKong/G9/97 (H9N2)형이다. A/Chicken/Hong Kong/156/97(H5N1)의 나머지 유전자는 A/Chicken/HongKong/739/94 (H9N2)와 A/chicken /Hong Kong/G23/97의 유전자와 비슷하다. 하나의 A/Quail/Hong Kong/G1/97은 Quail에서 분리되었고, 두 개의 A/Duck/Hong Kong/Y280/97 (H9N2)은 오리에서 분리되었다. A/Quail/Hong Kong/G1/97 (H9N2)의 6개의 내부유전자는 A/HongKon9/156/97 (H5N1)에 유사하나, A/Duck/ Hongkong/Y280/97 (H9N2)의 유전자는 A/HongKong/156/97 (H5N1)과 유사하지 않다. 킬러임파구는 바이러스로 감염된 목표세포를 MHC에 의존하여 파괴한다. 독감바이러스 특이 킬러임파구는 독감바이러스로 감염된 mice의 폐로부터 독감바이러스를 제거하는데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독감바이러스의 HA단백질은 특이 킬러임파구의 주요 목표항원 단백질이 아니다. 내부단백질인 nucleoprotein, polymerase (PB1 PB2, PA), Matrix protein, 그리고 비 구조단백질인 NS1에 대한 특이 킬러임파구의 반응이 사람과 mice에서 보고되었다. 독감바이러스에 대한 mice의 킬러임파구의 인식영역은 제한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많은 mice MHC 1은 독감바이러스 단백질의 킬러임파구의 epitope를 표현하지 못한다. 사람 기억킬러임파구는 다양한 종류의 독감바이러스의 단백질을 인식한다고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닭에서의 독감바이러스의 킬러임파구에 대한 연구는 되지 않았다.

  • PDF

Protective Effect of Electrolyzed Reduced Water on the Paraquat-induced Oxidative Damage of Human Lymphocyte DNA (Paraquat에 의한 사람 임파구 DNA 손상에 대한 환원전리수의 보호효과)

  • Park, Eun-Ju;Ryoo, Kun-Kul;Lee, Yoon-Bae;Lee, Jong-Kwon;Lee, Mi-Young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48 no.2
    • /
    • pp.155-160
    • /
    • 2005
  • Electrolyzed reduced water (ERW), showing extremely negative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aquat-induced damages on DNA from human lymphocyte. The effect of ERW on paraquat-induced oxidative DNA damage in human lymphocytes was evaluated by Comet assay (single-cell gel electrophoresis) quantified as percentage fluorescence in tail. Comet assay has been used widely to assess the level of the DNA damage in individual cells. Lymphocytes were oxidatively challeng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paraquat for 30 min at $37^{\circ}C$, and were then treated with electrolyzed reduced water for 30 min. The oxidative DNA damage by paraquat, as indicated by the fluorescent tail in DNA,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oxidative damage of the DNA was almost completely prevented upon treatment with electrolyzed reduced water.

Rat Brain-associated ${\theta}$ Antigen and Distribution of ${\theta}$ Antigen in Rat Lymphoid Cells (쥐의 Brain-associated ${\theta}$ Antigen과 임파조직(淋巴組織)의 ${\theta}$ 항원(抗原) 분포(分布))

  • Ha, Tai-You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icrobiology
    • /
    • v.11 no.1
    • /
    • pp.13-18
    • /
    • 1976
  • The rabbit anti-rat brain associated ${\theta}(RBA{\theta})$ serum wich was obtained by immunization of rabbit with DA rat brain tested against rat lymphoid tissues for cytotoxicity, indirect immunofluorescent staining and ability to inhibit a graft-vs-host reaction. It was founded that the antiserum was a potent anti-${\theta}$ like antiserum, and rat brain associated ${\theta}$ antigen was cross-reactive with mouse thymocytes and brain antigen. Using the RBA ${\theta}$ sera, distribution of ${\theta}$-bearing lymphocytes in rat lymphoid tissues was detected. And it was found that approximately 98% of thymocytes, 70-76% of lymph node lymphocytes, 72% of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36-44% of spleen lymphocytes, and 4% of bone marrow were ${\theta}$-bearing.

  • PDF

The cytokinesis-block micronucleus assay as a biological dosimeter in irradiated lymphocyte : Comparison of the response of mouse and human (임파구의 미세핵 분석법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사선 피폭선량 측정 : 마우스와 인체에서의 반응비교)

  • Kim, Sung-ho;Cho, Chul-koo;Kim, Tae-hwan;Yoo, Seong-yul;Koh, Kyoung-hwan;Yun, Hyong-geun;Koh, Joo-hwan;Choi, Soo-yong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33 no.3
    • /
    • pp.487-492
    • /
    • 1993
  • 정상인 말초혈액임파구 및 C57BL/6마우스 비장임파구에 $^{60}Co{\gamma}-rays$를 in vitro상태에서 조사한 후 500개 또는 1000개의 cytokinesis-blocked(CB) lymphocytes의 미세핵(micronuclei)의 발생빈도를 측정하였다. 방사선조사량에 따라 미세핵의 발생빈도는 증가하였으며 linear-quadratic model로 측정한 결과 선량반응곡선의 식은 인체의 경우 $Y=(0.31{\pm}0.049)D+(0.0022{\pm}0.0002)D^2+13.19$($r^2=1.000$)이었으며, 마우스의 경우 $Y=(1.31{\pm}0.264)D+(0.0015{\pm}0.0006)+8.7$($r^2=0.988$)이었다(Y는 1000개의 CB cell 당 미세핵발생빈도, D는 cGy로 표시되는 조사선량). 인체 말초혈액임파구에 대한 마우스 비장임파구의 상대적 생물학적 효과(relative biological effectiveness)는 미세핵의 발생율이 세포당 0.05~0.8의 범위에서 $1.84{\pm}0.48$이었다. 미세핵분석법은 인체 및 동물의 방사선 피폭시 간편하고 빠른 생물학적 선량측정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Immunostimulntory Effects of Immu-Forte at 3 Months Post-Treatment in Mice (면역기능증강성 동암 바이오스 신물질에 대한 3개월간의 마우스 투여후의 면역학적 및 혈액학적 변화)

  • Jung Ji-Youn;Ahn Nam-Shik;Park Joon-Suk;Jo Eun-Hye;Hwang Jae-Woong;Lee Seoung-Hun;Park Jung-Ran;Kim Sun-Jung;Lee Yong-Geon;Jeong Yun-Hyeok;Chung Ji-Hye;Lee Soo-Jin;Lee Sang-Bum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20 no.2
    • /
    • pp.118-122
    • /
    • 2005
  • Immu-Forte (Dong-Ahm Bio's. Corp., Korea) was evaluated fir its effectiveness as a nonspecific immunostimulator in mice. The effects of Immu-Forte were determined by analysis of cytokines using ELISh and phenotype of leukocyte subpopulations using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to mouse leukocyte differentiation antigens and flow cytometry. CD4 T cells, CD8 T cells, macrophages, IL-12 and IFN-r in Immu-Forte EX-treated middle dose group increased in 3 months posttreatment 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of control at 3 months posttreatment. All T cells, all B cells, macrophages, IL-2, IL-4 and IL-12 in Immu-Forte EX-treated low dose uoup increased in 3 months posttreatment 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of control at 3 months posttreatment. In the Immu-Forte soy-treated group, CD4 T cells, IL-2, IL-4 and IL-12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igh dose-treated group, and CD 4 T cell, macrophages, IL-2, IL-4 and IL-12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iddle dose-treated group, and all T cell, IL-2, IL-4 and IL-12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low dose-treated group. In the Itnmu-Forte A-treated group, macrophages, m cells and IL-12 in high dose-treated group and all T cells, macrophages, NK cells, IL-2, IL-4 and IL-12 in middle dose-treated group and NK cells in low dose-treate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of control at 3 months posttreatment. In the Immu-Forte F-treated Group, all B cells, IL-4 and IL-12 in high dose-treated group and all T cells, aBl B cells, CD 4 T cells, CD8 T cells, macrophage, IL-2, IL-4, IL-12 and IFN-r in middle dose-treated group and NK cells and IL-12 in low dose-treated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of control at 3 months posttreatment. In conclusion, the study has demonstrated that Immu-Forte had an immunostimulatory effect on mice through proliferation and activation of mouse immune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