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임신 간격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2 seconds

The Effect of Interpregnancy Interval on Birth Weight (임신간격이 신생아체중에 미치는 영향)

  • Lee, Kwang-Yeul;SaKong, Jun;Kim, Seok-Beom;Kim, Chang-Yoon;Kang, Pock-Soo;Chung, Jong-Hak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6 no.2
    • /
    • pp.173-181
    • /
    • 1989
  • The effect of interpregnancy interval on birthweight of the subsequent child was investigated for the 1,347 womens of 25 to 40 years old age who visited OBGY and Pediatric department of the general hospital in Taegu city. Questions in designed questionnaire were asked by student interviewers who were trained in nursing school. Mean birth weight by interpregnancy intervals were compared by the intervals of 6 months. Mean birth weight increased from 3,250 grams for intervals of 6 months to 3,357 grams for intervals of 25-30 months, h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0.47). Correlations between the continuous variables which were suspected as con founders and interpregnancy interval and birth weight were investigated.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age and interpregnancy interval was 0.39, between gestational period and birth weight 0.30 and between prepregnant weight and birth weight 0.16 and between birth weight of first baby and birth weight(of second baby) 0.44. But maternal age, gestational period and prepregnant weight were not considered as confounder, because they were not correlated simultaneously with birth interval and birth weight. Associations between the discrete variables which were suspected as confounders, and interpregnancy interval were investigated by Chi-square test. Associations between interpregnancy interval and educational level of mothers, types of husband's occupation, types of medical security, sex were not significant(P-values were 0.59, 0.75, 0.75, 0.82 respectively), so we did not considered these variables as confounding variable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birth weight, significant variables were birth weight of first baby, gestational period, sex of neonate and prepregnancy body weight of mother. Of the 1,347 births, the rate of low birth weight was 2% (27 birth). The rate for interpregnancy interval 7-12 months was highest as 3.6% and that for 13-18 months was lowest as 0.6%, but there was no regular tendency related with interpregnancy interval.

  • PDF

Effect of the Interval from Calving to First Insemination and Days Open on the Subsequent Reproductive Performance in Dairy Cows (젖소에서 분만 후 첫 수정 간격 및 임신 간격이 이후의 번식능력에 미치는 영향)

  • Lee, Soo-Chan;Lee, Tae-Ho;Jeong, Jae-Kwan;Kang, Hyun-Gu;Kim, Ill-Hwa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30 no.6
    • /
    • pp.435-441
    • /
    • 2013
  • This retrospective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interval from calving to first insemination (ICFI) and days open (DO)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in dairy cows. In the first analysis, data from 705 cows were grouped based on the ICFI: short (30-60 days, n=217), medium (61-90 days, n=309), and long (91-150 days, n=179). The occurrence of endometritis was greater in the long group than in short and medium groups (p<0.05). The occurrence of ovarian cysts increased with increasing ICFI (p<0.05), while body condition score (BCS) during the 5 month postpartum period was lower with increasing ICFI (p<0.01). The hazard of pregnancy by 365 days in milk (DIM) was lower (hazard ratio [HR]=0.70, p<0.0001) in the long group, but higher (HR=1.41, p<0.0001) in the short group compared with the medium group. In the second analysis, data from 436 cows were grouped based on the DO: short (30-90 days, n=154), medium (91-180 days, n=183), and long (181-360 days, n=99). The occurrence of a retained placenta was greater in the long group than in the medium group (p < 0.05). Ovarian cysts occurred more frequently in medium and long groups than in the short group (p=0.08). BCS was lower in the short group compared with medium and long groups at month 1 postpartum (p<0.05). Milk yield (kg/day) was greater in the medium group compared with the short group at months 2 to 5 postpartum (p<0.05). The hazard of first insemination by 150 DIM was lower in the long group than in the short group (HR=0.73; p<0.02). The hazard of pregnancy by 365 DIM was lower (HR=0.64, p<0.0001) in the long group than in the medium group, while the hazard did not differ between short and medium groups (p>0.05). Moreover, the culling rate was greater in the long group than in the short group (p<0.05). In conclusion, a longer ICFI and DO resulted in reduced reproductive performance in dairy cows, which was attributable to an increase in postpartum diseases, a lower BCS and a greater milk yield.

가축의 임신진단에 관한 연구

  • 김교준;김상근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24 no.12
    • /
    • pp.744-757
    • /
    • 1988
  • 이상에서 경제가축에 이용되고 있는 임신진단법을 소개하고 지금까지 보고된 임신진단에 관한 연구 결과를 고찰하였다. 현재 경제가축의 조기임신진단을 위한 진단법으로서는 양에 있어서는 직장촉진법, 호르몬측정법, 복강경법 및 초음파진단법 등 돼지에 있어서는 직장검사법, 호르몬측정법 및 초음파진단법 등, 소에 있어서는 직장검사법, 호르몬측정법 등, 말에 있어서는 호르몬측정법과 초음파진단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상적인 임신진단법의 요건은 임신진단이 조기에 가능해야하며 진단방법이 용이해야 할 뿐만 아니라 약품 및 기계조작이 간편해야하고 진단에 있어 전문지식이 요구되지 않아야 하며, 모체 및 태아에 악영향이 없으며 진단경비가 저렴해야하고 적중률이 높아야 한다. 앞으로 보다 정확하고 간편한 조기임신진단 기술의 개발과 보급화로 가축의 분만간격의 단축, 번식장해의 예방과 공태기간의 단축은 물론 가축의 증식과 번식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학술자료-II - 모기매개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번식장애 (소 츄잔병, 아까바네병, 아이노병)

  • Jeong, Seong-Dae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45 no.8
    • /
    • pp.746-757
    • /
    • 2009
  • 국립수의과학검역원과의 공동연구과제(소 아까바네병, 츄잔병, 아이노 바이러스혼합불활화 예방약 산업화)에 의해 실시한 시험을 통하여 소 아까바네병, 츄잔병, 아이노 바이러스병에 대한 예방약인(소 츄잔병, 아까바네병, 아이노병 불활화 혼합오일백신) 면역원성 시험 및 야외에서의 적용시험 등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혼합오일백신의 기니픽에 대한 면역원성 시험에서 아까바네 바이러스, 아이노 바이러스 및 츄잔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가는 시험백신을 3주 간격 2회 접종한 시험구가 무접종 대조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2. 혼합오일백신의 야외농장 3곳의 육성우에 대한 면역원성 시험에서 시험백신을 2회 접종 후 아까바네 바이러스의 항체가는 평균 102배, 115배 및 134배이였으며, 아이노 바이러스의 항체가는 평균 8배, 24배 및 27배로 나타났고, 츄잔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3곳의 농장에서 평균 30배, 46배 및 172배로 나타났다. 3. 야외농장 2곳에서 혼합오일백신을 임신우에 2회 접종하였을 때, 중화항체가는 아까바네 바이러스가 평균 64배와 93배를 나타내었고, 아이노 바이러스의 중화항체가는 평균 70배와 96배, 츄잔 바이러스의 중화항체가는 평균 20배와 20배로 나타났다. 4. 혼합오일백신은 임신우에 대한 공격접종시험에서 시험백신을 3주 간격으로 2회 접종 후 3주째의 중화항체가는 아까바네 바이러스가 128$\sim$256배이었고, 아이노 바이러스는 64$\sim$256배로 나타났고, 츄잔 바이러스는 8$\sim$32배이었다. 공격 접종 후 부검 전의 중화항체가는 아까바네 바이러스가 16$\sim$128배로 나타났고, 아이노 바이러스는 32$\sim$128배였으며, 츄잔 바이러스는 4$\sim$16배였다. 혼합오일백신을 임신우에 3주 간격 2회 접종한 뒤 공격접종하여 채혈한 혈청의 면역원성이 무접종 대조군에 비하여 방어효과가 우수하였다. 5. 3롯트의 시험백신을 선정하여 2$\sim$7$^{\circ}C$의 냉암소에 보존하면서 보존 기간별(제조당시, 6개월, 12개월, 15개월, 18개월)로 특성시험, 무균시험 및 안전시험을 실시한 결과, 전 보존기간에 마우스 및 기니픽에 대한 안전성이 인정되었으며, 보존기간별로 시험백신의 기니픽에 대한 면역원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기니픽의 중화항체가는 15개월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능력한우 유래의 수정란 생산 및 이식에 관한 연구

  • 한만희;최창용;정세환;김상희;신권희;권응기;최선호;손동수;이규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144-144
    • /
    • 2003
  • 본 연구는 수정란이식기술을 이용하여 혈통과 유전능력이 분석된 고능력한우로부터 수정란을 생산하고 이를 번식기반이 미약한 농가의 수란우에 이식함으로서 우수한우 유전자원을 조기확대 보급하여 농가단위의 개량 및 번식우 사육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공란우는 축산기술연구소 남원지소의 축군에서 유전능력이 평가된 우수암소를 선발하였고, 발정주기 9~11일째부터 Folltropin-V(Vetrepharm, Canada) 50mg씩을 4일간 12시간 간격으로 근육주사하고 투여 6회째에 dineprost (LutalyseTM, Upjohn, USA) 20mg을 근육주사하여 과배란을 유기하였다. 인공수정은 dinoprost 주사후 48시간 전후에 발정을 확인하고 12시간 간격으로 2straw씩의 정액으로 3회 실시하였으며, 2차 인공수정 후 100$\mu\textrm{g}$ GnRH를 근육주사하였다. 수정란 채란은 공란우의 발정확인후 7~8일째에 balloon catheter(FHK, Japan)를 이용하여 비외과적방법으로 수정란을 회수하였다. 수란우는 각기 다른 사육조건의 4개 농가(OB, BD, SH 및 SG농장)에서 양호한 번식성적을 가진 개체를 10두씩 선발하여 CIDR plus(EAZI-Breed, New-Zealand)를 질내 7일간 삽입하고, CIDR plus제거 1일전에 dinoprost 20mg을 근육주사하여 발정동기화를 유도하였다. 수란우의 발정상태가 정상이며 발정주기 7~8일째에 직장검사법으로 황체검사를 실시하여 황체가 존재하는 쪽의 자궁각에 수정란 1 개를 이식하였다. 수정란이식 후 13일째에 혈액을 채취하여 임신진단키트(제네디아프로테 트, 녹십자)를 이용하여 임신여부를 1차적으로 확인하였다. 과배란을 유기한 13두의 공란우중 9두(69.2%)가 과배란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회수된 수정란 51개중 이식가능수정란은 38개(74.5%) 였다. 발정동기화를 유도한 수란우 40두중에서 35두(87.5%)가 발정이 동기화되었으며, 그 중 황체검사를 통하여 30두의 수란우에 수정란을 이식하였다. 수정란이식후 13일(발정주기 21일)에 혈액을 이용한 임신진단에서 농가별 수태율은 각각 37.5%, 70.0%, 60.0% 및 71.4% 로서 평균 60.0%를 나타내었다.

  • PDF

The Comparison of Protein Patterns of Sera in Non-Pregnant and Pregnant Women (非姙娠 및 姙娠한 女子의 血淸蛋白質 패턴의 比較)

  • Ha, Man-Joon;Park, Won-Chul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29 no.2
    • /
    • pp.86-106
    • /
    • 1986
  • For the comparative study of protein patterns of the sera of pregnant women, the protein in sera of normal male subjects, non-pregnant women, pregnant women and women delivered of children were analyzed by using the methods of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and amino acid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When the protein patterns of sera in normal male ranging from 10, 000 to 110, 000 daltons were compared to non-pregnant women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hporesis, their protein patterns were same each other numerically but bands 3(22, 000 dalton) and 6(39, 000) were less in male than in non-pregnant women quantitatively. When the protein patterns in the pregnant women in which serum were collected two week intervals were compared with non-pregnant women, there was increased or decreased in several bands quantitavely. The protein patterns of sera in pregnant wome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non-pregnant women; band 3(22, 000) showed similar patterns each other until the 16th week but the quantity of protein was decreased continously from the 18th week to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Contary, bands 4(24, 000), 9(69, 000), 10(70, 000), 12(80, 000), 14(86, 000), 15(91, 000) and 16(94, 000) were gradually increased in quantity from the begining of gestation, and band 7(51, 000) was increased until the 32th week of gestation only but somewhat decreased after this time. The quantities of bands 12(80, 000), 15(91, 000) and 16(94, 000) were relatively increased when the protein patterns of delivered wome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Women who were dilivered female children showed more increase in bands 4(24, 000), 7(51, 000) and 10(70, 000)than one who were delivered male chilren. 2. When the protein patterns of sera in normal mal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nonpregnant women by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three spots of spot a group were not appeared in the males and the spot c group in the males was less than in the non-pregnant women. In the pregnant women, albumi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the 10-12 week of gestation but recovered after these times. And spot f(70, 000) was decreased in the 10th week of gestation but increased from this time. 3. Glutamic acid, lysine, aspartic acid, leucine and valine in pregnant women were large in quantity while methionine, isoleucine and glycine were small in quantity by amino acid analysis. The total amino acids were increased remarkably in the second trimester of pregnancy but began to decrease in the third trimester of pregnancy. As mentioned, this present paper deat with that proteins which consist of maternal serum were increased with specific period in pregnancy and that the change of characteristic protein patterns were identified in the serum protein of each trimester in the pregnant women. And furthermore, the study should be preformed for the sex-identification of a fetus in the early pregnancy.

  • PDF

Body Condition Score of Hanwoo Cows and Reproductive Performances Performances (韓牛 牝牛의 Body Condition Score가 繁殖形質에 미치는 影響)

  • Choi, S.B.;Choy, Y.H.;Lee, J.W.;Baek, K.S.;Kim, Y.K.;Son, S.K.;Kim, N.S.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46 no.1
    • /
    • pp.31-38
    • /
    • 2004
  • Data from five Hanwoo breeding farms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ity, season, nutrition and reproduction on body conditions of heifers and cow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of body conditions with reproductive performances and body growth. Analytic models included farms and parity which were run through SAS to estimate least squares means and correlation coeflicients between traits body condition scores(BCS) of I(very emaciated) through 9(very obese) scale at service and at calving. calving interval, days to rebreeding, gestation length. number of services per conception. Overall averages were 4.55 for BCS at service, 5.42 for BCS at calving. 406.7days of calving interval, 287.7days of gestation length, 66.2days from calving 10 first service and 1.78 times of services per conception. Number of services per conception was 1.50${\sim}$1.74 times for the cows of BCS 5 or under and 2.00${\sim}$3.00 for those of BCS 6 or higher. Body weight of calves from cows observed averaged 23.3kg at birth and 70.7kg at weaning. 57 percent of cows showed BCS 4${\sim}$5 at service while 46 percent of those showed 5${\sim}$6 at calving. Estimated ph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of BCS at service with BCS at calving, calving interval, gestation length, number of services per conception were low but positive: 0.16, 0.26. 0.08 and 0.06. respectively. Phenotypic correlations of BCS at calving with calving interval, gestation length and number of services per conception were estimated to be also low and positive: 0.10, 0.13 and 0.10. respectively. However, ph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calving interval and gestation length, and between gestation length and number of services per conception were negative but low as - 0.11 and- 0.13 each.

BPA의 투여가 태아의 성비 및 산자의 번식효율에 미치는 영향

  • 박동헌;장현용;정희태;박춘근;김정익;양부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36-36
    • /
    • 2001
  • 임신기의 자성 생쥐에 저 농도의 BPA의 투여가 태아의 체중, 태아수 및 성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태어난 자손의 번식기관무게, 정액성상, 조직검사 및 혈액의 혈구 성분분석등 번식효율과 생리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자성 생쥐에 corn oil(대조구), 0.05, 0.5 및 5.0mg BPA/kg b.w의 용량으로 1회 투여하고 투여 당일 날 웅성 생쥐와 교배 시켰으며, 3일 간격으로 5회 투여하였다. 임신기에 BPA의 투여가 웅성 자손의 체중에 미치는 결과는 각각 30.72, 30.80, 29.80 및 26.80g으로 5.0mg 투여구가 여타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체중을 나타냈으며(P<0.05), 정소의 무게는 BPA 투여구가 다소 높은 무게를 나타냈다. 정소상체, 정낭선 및 응고선의 무게는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다(P>0.05). BPA의 투여후 태어난 웅성 산자의 총정자수, 생존율, 유효정자수 및 기형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각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는 없었다. 또한 웅성 산자의 혈구화학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RBC는 BPA 투여구가 각각 10.60, 10.96 및 10.35$\times$$10^{6}$㎣로서 대조구의 9.78$\times$$10^{6}$㎣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치를 나타냈지만(P<0.05), WBC, Hb, HT, MCV, MCH, MCHC 및 PLT는 각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는 없었다. 임신기에 BPA의 투여가 자성 산자의 체중에 미치는 결과는 각각 25.56, 25.38, 25.83 및 23.86g으로 5.0mg 투여구가 다소 낮은 체중을 나타냈다. 자궁의 무게는 BPA 투여구가 각각 0.0915, 0.0904 및 0.1016g으로 대조구의 0.0801g에 비해 다소 높은 무게를 나타냈으며, 난소의 무게도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다. BPA의 투여가 자성 산자의 혈구화학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WBC는 5.0mg 투여구가 여타구보다 다소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PLT는 BPA 투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커다란 차이는 없었다 RBC, Hb, HT, MCV, MCH 및 MCHC는 각 투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임신기에 BPA의 투여가 자손의 정소, 난소 및 자궁의 조직, 병리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정소와 난소의 조직에는 각 투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자궁에서는 0.5mg 투여구와 5.0mg 투여구에서 자궁내막층이 현저하게 증식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Observation on Reproduction Efficiency Dairy Cattle - Calving Interval, Gestation Poriod, The Interval between Parturition and First Breeding, The Duration from Delivery to Conception - (유우의 번식능률에 관한 연구 -분만간격, 임신시간, 첫 수정일수, 공태일수-)

  • Cho Myoung-Rae;Kwon Oh-Kyeong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21 no.3
    • /
    • pp.164-169
    • /
    • 1985
  • The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alving interval, gestation period, the interval between parturition and first breeding and the duration from delivery to conception in the total of 320 heads of Holstein cows being fed in the suburbs of Suwon. Th

  • PDF

hEPO 형질전환 돼지 후대의 임신기간내 혈액조성 변화

  • 이연근;이현기;이풍연;김성우;김정호;박진기;장원경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3.06a
    • /
    • pp.38-38
    • /
    • 2003
  • 본 연구는 사람 조혈촉진유전자(hEPO)가 도입된 형질전환돼지 Fl 수컷과 암컷간 교배로 F2 생산시, Fl 모돈에 대한 임신기간(약 114일)내 혈액조성(적혈구, 백혈구, Hemoglobin, Hematocrit value, MCV, MCH, MCHC, 혈소판)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에 이용된 암퇘지는 형질전환 F1 암컷 2마리와 일반돼지 1마리였고 교배와 동시에 임신기간동안(114일) 5일 간격으로 5ml의 혈액을 경정맥(jugular vein)에서 채취하였으며 혈액조성분석은 Celltac MEK 5108K(Nihon Kohden, Japan)를 이용하였는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임신기간중 혈액내 백혈구의 변화는 일반돼지의 경우 13.8($\pm$2.4)$\times$$10^3$/ul 로임신기간내에 일정한 변화양상을 보였으나 형질전환돼지의 경우 29.4($\pm$19.4)$\times$$10^3$와 22.5($\pm$14.1)$\times$$10^3$/ul 으로 일반돼지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며 임신기간내에 매우 높은 변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적혈구는 일반돼지(7.2$\pm$0.7 $\times$$10^{6}$/ul)에 비하여 형질전환돼지(11.5$\pm$0.5 와 11.9$\pm$0.5 $\times$$10^{6}$ul)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변화양상은 일반돼지와 마찬가지로 작게 나타났다. 적혈구와 함께 Hemoglobin(Hb)과 평균혈구용적율(Hematocrit value ;, HCT) 모두 형질전환돼지가 일반돼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변화양상 또한 작게 나타남으로서 사람 조혈촉진유전자(hEPO)가 형질전환된 돼지에서는 지속적으로 발현되어 조혈촉진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조혈촉진에 의해 헤모글로빈 및 적혈구가 생성되어 혈액내 높은 혈구용적율(HCT)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적혈구 평균용적(Mean Corpuscular Volume ; MCV), 평균적혈구혈색소량(Mean Corpuscular Hemoglobin ; MCH), 평균적혈구혈색소농도(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 MCHC) 그리고 혈소판(Platelets) 분석결과 형질전환돼지가 일반돼지보다 약간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변화양상 또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시험분석결과를 토대로 사람 조혈촉진유전자(hEPO)가 형질전환된 돼지는 유즙으로 발현할 수 있도록 형질전환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헤모글로빈 및 적혈구가 증가함으로서 형질전환돼지 개체의 혈장으로도 사람 조혈촉진인자가 분비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었다. 정상돼지 보다 형질전환돼지가 약 30% 높은HCT 수준을 보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사람에서는 적혈구증다증(erythrocytosis)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에 대한 고찰은 형질전환돼지 자체의 생리적 문제점(side effects)에 대한 해결과 더불어 기존의 인간질병에 대한 모델동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