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신의도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4초

피임에 대해 얼마나 아세요?

  • 구나영
    • 건강소식
    • /
    • 제32권6호
    • /
    • pp.40-41
    • /
    • 2008
  • 피임(避妊, Contraception)이란 인위적으로 임신을 피하는 것을 말한다. 임신 가능한 요인을 제거하는 것으로 수정을 예방하거나 수정란이 자궁내막에 착상되지 않도록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피임을 하는 목적은 인공적으로 출산을 제한하기 위해 임신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의도도 있으나, 피치못할 상황에 처해 도의적으로, 혹은 여성의 신체적 건강을 위해서 행하는 인공임신중절을 사전에 예방하는 데도 그 의도가 있다.

  • PDF

임신에 대한 자아통제감 향상하기: 임신부의 정보추구 경험 유형 (Increasing Sense of Self-Control over Pregnancy: Information Seeking Patterns of Pregnant Women's)

  • 김갑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25-152
    • /
    • 2013
  • 본 연구는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임신부들이 경험하는 정보추구의 독특함을 총체적으로 반영한 정보추구의 실체이론을 개발하였다. 이론적 표집에 의하여 산전진료에 참여하고 있는 16명의 임신부를 대상으로 심층적인 면담을 수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 절차에 따라 자료수집과 자료 분석을 동시에 수행하였고, 지속적인 비교분석을 하였다. 임신기의 정보추구의 맥락, 구조, 과정의 분석 결과, 임신부의 정보추구 경험을 통합하는 핵심범주는 '임신에 대한 자아통제감 향상하기'로 도출하였다. 즉, 임신의 과정동안 임신부들의 의도적이고 일상적인 정보추구행위는 합맥락적이고 합리적으로 임신상황에 대처해 나갈 수 있는 능력을 향상해 나가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임신에 대한 자아통제감 향상하기'의 경험 유형은 '필사적 추구형', '적극적 추구형', '무관심 추구형', '체념적 추구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결과의 특징 및 선행 정보추구 모형과의 비교 및 임신부들을 위한 정보서비스 개발을 논하였다.

임부의 가족지지와 임신의도 및 산전자가간호 (Family Support, Intention of Pregnancy and Antenatal Self-Care of Pregnant Women)

  • 정혜경;김경희;염순교;송미승;안옥희;이종화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19-326
    • /
    • 2003
  • Objectives : A Pregnancy becomes a developmental challenge and a life-turning point for both the woman herself and her fami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mg the family support, intention of pregnancy and the antenatal self-care of pregnant women. Method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29 pregnant women by a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 :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ellows :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related to family support were age, religion,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relationship with husband, relationship with mother.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related to intention of pregnancy were religion, abortion history.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related to antenatal self-care were age, religion, occupation, abortion history, relationship with mother, the term of marriage.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nd intention of pregnancy, family support and antenatal self-care, intention of pregnancy and antenatal self-care. Conclusion : Therefore, it is proposed that family support is an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antenatal self-care and intention of pregnancy in pregnant women.

  • PDF

영아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임신의도와의 관계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tion of Pregnancy and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Infants)

  • 조규영;김영선;어용숙;박형숙;전성숙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7-27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tion of pregnancy and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infants. Method: The subjects were 124 mothers of infants who visited the public health center during the periods of June 1 to July 31, 2003. Abidin's parenting stress index and Kim's intention of pregnancy were us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age of the normal infants shows that the thirty was 53.2%, the highest. Of religion the buddhism was the most. Infant's sex distribution shows that the male infants was 48.2%, female was 51.6%. Cesarean section distribution was 43.5%, Normal delivery was 56.5%. Milk feeding distribution was 50.5%. 2.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infants was total $57.05{\pm}13.73$. 3. The characteristics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infants was infants's age(F=3.27, p <.05), and the characteristics variable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tention of pregnancy was the mother's occupation(t=1.48, p <.05). 4. There was not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intention of pregnancy and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ith infants. Conclusion: Through the study, to increase the health promotions of Mothers with Infants and infants should be a family planning based on results of the study.

  • PDF

히말라얀타알 및 쟈넨염소의 원치 않는 임신의 중절 (Termination of Unwanted Pregnancy in Himalayan Tahrs (Hemitragus jemlahicus) and a Saanen Goat (Capra hircus))

  • 용환율;김승동;배복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05-208
    • /
    • 2010
  • 서울동물원에서 쟈넨 염소가 마콜에 의해 임신이 되었고, 세 마리의 히말라얀타알이 같은 종의 수컷에게 잘못 임신이 되었다. 의도적이던 우발적이던 다른 종간에 번식을 시켜 잡종을 생산하는 것은 종보전의 근본적인 원칙에 위배된다. 2002년 10월에 수입되었으며 염색체수가 염소와 같은 60개를 가진 마콜이 우연히 쟈넨과 교미를 하게 되었다. 사육사들의 기록을 토대로 교미날짜를 추정하였다. 히말라얀타알 3수와 쟈넨은 $PFG_2{\alpha}$ 제재 (dinoprost tromethamine) 15 mg을 근육주사하여 성공적으로 유산을 시켰다.

영아모의 임신의도와 양육태도의 관계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tion of pregnancy and the Child-Rearing Attitudes of Mothers with Infants)

  • 심정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454-464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ntion of pregnancy and the child rearing attitudes of mothers with infan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38 mothers by means of an interview and questionnaire in a period from April 1 to April 30, 1997, when they came to have their infants vaccinated at one hospital and one health care center.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the SPSS Program using percentag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in each area and the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It showed that the mother's degree of intention of pregnancy was 3.90(±1.49) among the possible score of 0∼5 and the score of child rearing attitudes was 70.1 among the possible score of 20∼100. The mom score of the items was 3.50(±.36) among the possible score of 0∼5. 2.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intention of pregnancy and child rearing attitudes. It was mildly positive but was significant (r=.21, p<0.05). 3.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period from marriage to the time of pregnancy and the intention or pregnancy(F=.57, p<0.05). Also, it was found out that the group of mothers who became pregnant later than 12 months after marriage wanted after pregnancy more than the group of women who were pregnant within 12 months after marriage(F=11.30, p<0.01). 4.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period from marriage to the time of pregnancy and child rearing attitudes(F=4.14, p<0.05), It showed that the child rearing attitudes of the group of women who became pregnant later than 12 months after marriage was positive(F=11.42, p<0.01). Also, in case that the both the husband and wife decided on the pregnancy, the child rearing attitudes were more positive (F=7.15, p< 0.05). In conclusion, when the intention of pregnancy was stronger, the subjects' child rearing attitudes were more positive. Also when both the husband and wife decided on the pregnancy, the attitudes were more positive. So it seems that both husband and wife should discuss and agree upon pregnancy, having a sufficient period during which both the spouses prepare for the intention of pregnancy. Additionally, it is suggested that when the husband and wife are doing family planning, it would be beneficial to use a program of 'Woman's Intention on Pregnancy' during this process.

  • PDF

임신성 당뇨 여성의 임신성 당뇨 지식과 건강신념이 모유수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Knowledge and Health Beliefs about Gestational Diabetes on Breastfeeding Intention of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 박승미;민들레;박지연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27-435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knowledge and health beliefs about gestational diabetes and to identify the influence on breastfeeding intention of women those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gestational diabete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designe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70 women who were pregnant and currently diagnosed with gestational diabet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at Internet cafes and breastfeeding clinics where pregnant women were able to participate actively.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November 5 to November 27, 2019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χ2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34.21±3.73 years. There were 221 women who had breastfeeding intention, and 49 women who did not intend to breastfeed. The higher the perceived susceptibility (OR=2.49, p=.032), benefits (OR=2.62 p=.009), and the self-efficacy, the higher the intention to perform breastfeeding (OR=2.97, p=.004).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perceived severity, the lower the intention to perform breastfeeding (OR=0.35, p=.007). Conclusion: Health beliefs such as perceived susceptibility, perceived benefits, self-efficacy and perceived severity have been shown to affect the breastfeeding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developing a breastfeeding promotion intervention program that improves self-efficacy in gestational diabetics.

부모 경험 효과: 출생순위에 따른 출생월 분석 (The Effect of Parental Experience: Evidence from Birth Month Based on Birth Order)

  • 조현국
    • 노동경제논집
    • /
    • 제42권1호
    • /
    • pp.107-128
    • /
    • 2019
  • 한국에서 신생아는 연초에 가장 많이 태어난다. 이것이 부모가 의도한 것이면 아이를 연초에 낳을 확률은 부모 경험이 없는 첫째 아이 때보다 부모 경험이 있는 둘째 아이 때 더 높을 것이다. 본고는 이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 결과, 신생아가 11-12월 대비 1-2월에 태어날 확률은 둘째가 맏이보다 3.4% 높고, 12월 대비 1월에 태어날 확률은 둘째가 4.3% 높다. 이는 아이가 연초에 태어나도록 임신 시기를 조절하거나 출산 시기를 조절할 확률이 부모 경험으로 인해 맏이보다 둘째 때 더 큼을 의미한다.

  • PDF

사생관 척도의 개발 (A Study on Development of a View of Life and Death Scale)

  • 이누미야 요시유키;한성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0권1호
    • /
    • pp.31-8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청년기 사생관의 전체적 구조를 밝히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즉, 자살, 임신중절, 장기기증 등의 청년기와 관련이 깊은 생명윤리문제에 대한 태도는 죽음에 대한 태도와 그 배경에 있는 내세관의 영향을 받아 형성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이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밝혀 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종합적인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우선 선행 연구들에 대한 검토 결과를 토대로 하여 종합적인 새로운 사생관 척도 제작을 시도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내세관 특성(내세지향성, 현세회귀성), 죽음의 의미(해방, 자연, 집대성, 좌절, 충격, 허무), 죽음불안, 죽음관여도(죽음수용, 죽음관심), 생명존중의지(자살억제의지, 중절억제의지, 장기기증의도) 등의 개념적 정의 및 조작적 정의를 재정립하였다. 이로써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생관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사생관의 내부구조를 밝힐 수 있는 도구가 마련된 것이다. 또한 그 동안 일부 요소(예컨대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등)와의 관계만이 연구가 가능했던 정신건강이나 심리적 적응 및 심리 사회적 발달과 죽음에 대한 태도의 관계를 사생관 전반에 걸쳐서 보다 체계적으로 검토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착상전기(着床前期)에 있어서 ICR Mouse의 태아(胎兒)에 대한 방사선(放射線) 개체(個體) Level 영향(影響)의 연구(硏究) (The Developmental Effects of Radiation on ICR Mouse Embryos in Preimplantation Stage)

  • 구연화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1권4호
    • /
    • pp.273-284
    • /
    • 1996
  • 착상전기(着床前期}의 태아(胎兒)는 방사선(放射線)을 비롯한 많은 환경요인(環境要因)에 대하여 감수성(感受性)이 높은 개체(個體)임에도 불구하고 특히 이 시기는 임신부(姙娠婦)가 자각(自覺)적으로 임신을 감지할 수 없는 시기이기에 이러한 여러 환경유해요인으로부터 의도적으로 피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착상전기의 영향을 충분히 검토한 후에 의료행위를 취할 것이며 이에 대한 방어(防禦)대책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종래 까지 방사선에 대한 태아영향에 관한 많은 연구결과에 의하면 방사선 및 그 외의 유해요인에 대한 착상전기의 영향은 배사망(胚死亡)(유산(流産))만이 일어나며 기형(奇形)은 유발(誘發)하지 않는다고 하여 발생학(發生學)등 여러 교과서에서 기형은 기관형성기(器官形戚期)만이 국한(局限)해서 일어나는 영향이라고 단정되어 왔었다. 그러나 이 연구결과 착상전기에 있어서도 기형이 유발하여 오히려 기관형성기((器官形成期)보다도 감수성이 높다는 것이다. 또한 착상전기에서도 기형유발의 시기특이성을 가지며 여러 종류의 기형이 발생한다는 것이 본 연구로부터 밝혀졌다. 실험동물은 ICR Mouse를 사용했다. ICR Mouse는 일반적으로 태아사망 및 기형실험에 널리 사용되는 것이다. 사육조건은 Conventional 한 조건하에서 사육했으며 Mating 방법(方法)은 Female 마우스의 발정기(Sexual Excitement period)에 있는 mouse 질(膣)을 육안 적으로 관찰하여 $AM 6:00{\sim}AM 9:00$시까지 3시간만 mate시켰다. AM9:00시에 Vaginal Plug를 관찰하여 임신을 확인했다. Plug가 확인 된 마우스는 AM8:00시에 수정(Conception)된 것으로 가정하고 이 시점을 임신 0일 0시로 수정 난의 태아연령을 산정했다. 방사선조사는 $^{135}Cs\;{\gamma}-$선을 사용하였으며 임신 마우스의 전신조사를 실시하고 조사한 시기는 각 2, 48, 72, 96hpc이며 조사한 방사선 선량 군은 $0.1{\sim}2.5Gy$이다. 태아영향 관찰지표는 태아 연령은 mate일 오전 8:00시를 임신 0일 0시로 환산하여 태아연령 18일에 임신마우스를 Cervical vertebral dislocation에 의해 도살했다. 도살 후 해부하여 각 임신 마우스별로 관찰했다. 착상 율을 관찰하기 위하여 황체수를 세었고, 태아사망과 생존태아를 구별했다. 자궁 내 사망의 분류는 태아사망을 1) preimplantation death 2) Embryonic death 3) Fetal death로 분류했다. 착상전사망은 수정후 $0{\sim}4.5$일(1세포기${\sim}$배반포후기 부화까지)까지의 사망으로써 난소의 황체수(배란 수)와 착상태아(생존태아, 착상흔, 태반유잔, 흡수태아, 침연태아의 합계)로부터 구할 수 있다. Embonic death는 수정 후 $4.5{\sim}13$일까지의 사망으로써 Implantation sites, Placental remnants, Resorption of fetus로 관찰된 것이다. Fetal death는 수정후 $14{\sim}18$일까지의 사망으로써 Maceration of fetus로 관찰되는 것이다. 통계학적 분석은 각 Group의 착상 을과 자궁 내 사망 율을 산출할 때에는 각 임신마우스에 따라 발생빈도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통계처리에는 Non parametric 검정인 Kluskal Wallis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개체 Level 영향인 착상을, 태아사망, 기형의 threshold dose의 산정에 대해서는 SAS-Logistic 검정에 따라 통계 분석을 하여 $5%(Ld_5,\;ED_5)$$10%{\times}2/3$점을 threshold dose로 판단했다. 태아체 중에 대해서는 parametric검정인 t-test검정에 의하여 분석했다. 그 결과 착상전기에서도 기형이 유발하며 특히 시기에 따라 일어나는 때와 일어나지 않는 때가 있음을 본 연구로부터 밝혀졌다. 또한 착상전기의 영향으로써 유발되는 기형은 여러 종류의 기형이 발생함이 밝혀졌다. 특히 이시기는 착상전 사망 및 배(胚)사망은 방사선 선량에 따라 크게 일어나나 태아사망(Fetal death) 및 태아체중은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