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신성

검색결과 705건 처리시간 0.028초

한우 미경산우에 있어서 인공수정 및 복제수정란 이식시 hCG 투여에 의한 수태율 향상 (Effects of hCG Administration on AI or Cloned Embryo Transfer of Korean Native Heifers)

  • 최선호;성환후;장유민;최재혁;임기순;양병철;연성흠;이장희;류일선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7-234
    • /
    • 2002
  • 본 연구는 한우미경산우에 인공수정 7일째와 복제수정란 이식시 hCG를 투여에 의해 수태율 향상을 위하여 실시하였다 인공수정 후 임신 60일째에 임신감정을 실시한 결과 대조구, CIDR 그리고 hCG를 투여한 결과 53%, 46%, 71%였으며,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복제수정 란의 이식시 hCG를 투여한 결과 대조구, hCG투여구는 각각 5.8%, 10.4%를 나타냈으며,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다. 인공수정 7일째에 hCG를 투여한 한우 미경산우의 발정일부터 발정 28일까지의 혈중 P4농도는 발정초기에는 처리구 모두 약간의 상승을 나타냈으며, 임신을 위한 가장 중요한 시기인 발정 13~16 일에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hCG투여구가 3배 이상 의 수준을 나타냈으며, CIDR처리 임신우에 비교 하여도 약 B배 이상의 P4농도를 나타내었다. 그 이 후에도 P4의 농도는 2~3배의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임신을 위하여 안정된 P4의 농도를 나타내었다. 인공수정 7일째 hCG를 투여한 한우 미경산우의 IGF-I 및 IGF-II의 혈중호르몬 농도는 IGF-I은 임신.비임신 그리고 hOG 및 CIDBt의 처리에 관계없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IGF-II는 CIDR(E2 capsule 제거) 처리구에서 임신이 비임신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hCG 투여구에서는 임신과 비임신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인공수정 7일째에 hCG를 투여한 한우 미경산우의 발정일로부터 28일째까지의 혈중 cortisol 농도 는 발정당일과 발정 16일째의 임신한 미경산우에 서는 다른 발정주기일보다는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임신CIDR의 경우가 비임신보다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hCG를 투여한 것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인공수정 및 복제수정란의 이식시 hCG 1,5001u를 투여한 한우 미경산우는 임신유지를 위한 혈중 P4의 농도를 상승시키며 수태율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IGF와 cortisol은 hCG 투여가 초기 임신기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부의 비타민 $B_{6}$ 섭취와 모체와 제대혈 및 태반 조직의 비타민 $B_{6}$농도 (Maternal Vitamin $B_{6}$ Intake and Vitamin $B_{6}$ Level in Maternal, Umbilical Cord Plasma and Placenta)

  • 안홍석;이금주;정환욱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3호
    • /
    • pp.322-331
    • /
    • 2002
  • 본 연구는 정상만기분만 임신부 (30명)와 그들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임신부와 비타민$B_{6}$ 섭취양상과 모체와 신생아 제대혈장 및 태반조직내의 비타민$B_{6}$ 농도를 측정하고 이들 농도와 임신결과와의 상관성을 조사하며, 모체에서 태아로 비타민$B_{6}$가 이동될 때, 태반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임신부의 평균 연령과 임신 전 체중 및 신장은 각각 25.9세, 53.8kg 및 161 cm 였으며, 임신 전 체중 및 신장은 각각 25.9세, 53.8 kg 및 161cm 였으며, 임신 전 BMI는 20.7kg/$m^2$로 정상 범위였다. 수축기와 이완기 평균 혈압은 122.5 mmHg 와 75.2mmHg의 결과로 안정적인 수준이었으며 헤모글로빈 농도와 헤마토크리트치는 12.1g/dl와 36.1%로 양호하였다. 연구대상자 중 93.3%에 해당하는 임신부가 영양보충제를 복용했으며 이 중 85.7%가 엽산과 철분이 포함된 빈혈 치료제를 이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양보충제의 평균 복용기간은 16.3주였다. 임신부가 1일 평균 열량 섭취량은 2189.5kcal로 권장량의 93.2%였으며, 단백질은 79.3g(113.3%)으로 권장량을 상회하였다. 비타민 B$_{6}$의 평균 섭취량은 권장량은 91.4%인 1.7mg이었고, 비타민 $B_{6}$의 평균 섭취량은 권장량은 91.4%인 1.7mg이었고, 비타민 $B_{6}$ 영양밀도와 단백질 g 당 섭취량은 각각 0.8와 0.02mg으로 양호한 결과였다. 그러나, 비타민$B_{6}$의 주된 공급식품이 곡류 및 전분류 (50%)와 야채 및 과일류 (33%)로 식물성 식품이 대부분이었다. 임신 말 모체 혈장과 신생아 제대혈장의 PLP 농도는 각각 16.7$\pm$4.1 nmol/l와 61.3$\pm$19.8 nmol/l로 제대혈장의 PLP 농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태반조직의 PLP 농도는 898.6$\pm$159.2ng/g으로 혈장의 PLP 농도에 비해 매우 높은 값을 보였다. 모체와 태반조직 및 신생아 제대혈장간 PLP 농도의 상관성을 조사한 결과, 모체 혈장과 태반 조직간 (p<0.0001), 태반 조직과 신생아 제대혈장간 (p<0.05), 모체 혈 장과 제대혈장간(p<0.05)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임신마우스에서 수용성카이토산에 의한 태아의 방사성스트론튬 오염 억제 (Inhibition of Radiostrontium Contamination to Fetus by Water Soluble Chitosan in Pregnant Mice)

  • 김광윤;범희승;양광희;최근희;채기문;김지열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22-229
    • /
    • 1994
  • 핵분열생성물중의 하나인 방사성스트론튬은 임신한 쥐에서 태반을 빠르게 통과하여 태아를 오염시킨다. 독성이 적은 천연착화제로서 마우스체내의 방사성스트론들(Sr-85)의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카이토산을 이용하여 Sr-85의 태반오염억제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실험군은 일반식이를 공급한 대조군과 임신 17일째에 수용성카이토산을 피하(1% 카이토산), 구강(10% 카이토산), 복강(0.3% 카이토산)으로 주사한 카이토산군으로 분류하였다. 피하주사군은 Sr-85 오염후 카이토산을 주사한 군이며 복강과 구강주사군은 Sr-85 오염전 15일간 카이토산을 공급한 군이었다. 출산과 동시에 어린마우스의 전신을 측정한 결과 출생후 7일째에 대조군이 $2.8{\pm}0.3%$의 전신축적율을 나타낸 반면 피하, 구강, 복강 주사군은 각각 $1.2{\pm}0.1%,\;1.4{\pm}0.1%,\;1.6{\pm}0.2%$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임신한 마우스에서 수용성카이토산은 방사성스트론튬의 태반오염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서울경기지역 대학생의 위기임신 지원정책 지지도 조사 (Research on Support of Crisis Pregnancy Policies among Unmarried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 이설아;김희숙;권오용;엄주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502-513
    • /
    • 2018
  • 본 연구는 영아유기에 관련된 위기임신 및 출산 지원정책과 청소년 미혼부모 정책에 관한 대학생의 지지도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2015년 5월부터 6월까지 서울경기지역의 미혼인 청년대학생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서술적 조사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는 위기 임신과 출산 지원 및 전문적인 성교육을 통한 예방교육 실시, 현행 법령과 제도의 보완에 이르는 위기임신 및 출산정책 전반에 대학생의 지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 한부모 정책 전반에 관해서도 대학생들은 지지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한부모 정책 중 부모교육 및 경제적 교육, 재임신 예방을 위한 교육 정책에 관한 지지율은 다른 한부모 정책 지지율보다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종교유무에 따른 정책 지지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종교가 있다고 응답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청소년 한부모 지원정책 중 다수 항목에서 지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위기임신 및 출산과 청소년 미혼부모 정책의 필요성에 관해 논의하고, 관련 정책의 개정 및 지원 서비스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을 제안한다.

배아착상에 대한 Epidermal Growth Factor 수용체의 동태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s Increase in Rabbit Embryonal Implantation)

  • 이여일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181-187
    • /
    • 1991
  • Epidermal growth facter(EGF)는 내열성이 강하고 분자량이 6045 dalton인 단쇄상의 polypeptide로써, Cohen에 의해 생쥐의 악하선에서 처음 발견된 이래, 여러학자들에 의해 많은 연구가 되어왔다. 인체의 EGF는 urogastrone이라고도 불리우며, 인체의 소변에서 처음 검출되었고 분자구조 및 생리작용이 생쥐의 EGF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EGF의 자세한 작용기전은 확실히 규명되어있지는 않지만 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촉진시키며 위산의 분비를 억제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EGF receptor는 분자량이 170,000${\sim}$180,000dalton인 세포표면의 polypeptide로써 인체, 쥐, 닭, 소 등의 세포막조직에 특이하게 결합되어 있다. 최근 수년동안 몇몇 학자들에 의해 EGF가 배아와 태아 및 태반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chorionic gonadotrophin과 placental lactogen의 분비를 증진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가정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배아착상에 대한 EGF의 작용여부에 관해서는 발표된 문헌이 없어 저자는 radioreceptor assay를 이용하여 EGF receptor binding과 토끼의 배아착상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임신경과에 따른 착상부위와 비착상부위의 자궁 및 태아측 태반과 모체측 태반을 분리취득하고 receptor binding assay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임신군과 비임신군의 자궁조직의 membrane fraction으로부터 specific한 EGF receptor binding이 관찰되었다. 2. 착상전 임신 3일에 자궁조직의 EGF receptor수는 4.72 +0.16($10\;mol/{\mu}g$)로 비임신시보다 의의있게 증가되어 있었고(p<0.01), 착상시기인 임신 7일에는 착상된 부위에서 20.33+6.58로 훨씬 더 높은 측정치를 나타내었다(p<0.05). 3. 착상이후 가장 먼저 취득된 임신 14일의 태아측 태반은 모체측 태반의 1.39+0.49에 비해 훨씬 높은 11.94+1.97의 EGF receptor 측정치를 보였다 (p<0.01). 4. 이상의 소견들로 보아 EGF가 토끼의 배아착상에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며, 이러한 착상전후의 EGF의 작용은 태아측으로부터 일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임부의 사회적 지지, 임신 스트레스, 그리고 불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gnant Woman Social Support, Pregnancy Stress and Anxiety on Quality of Life)

  • 김정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50-56
    • /
    • 2021
  • 본 연구는 임부의 사회적 지지, 임신 스트레스 그리고 불안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 되었다. 본 연구는 2개 지역 D 와 S 지역에 거주하는 임부 117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설문 전 연구의 취지와, 목적, 절차에 대하여 설명을 하고 진행하였다. 자료는 SPSS 21.0 을 이용하였고, 빈도분석, 분산분석, t검증, 상관분석, 희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0년 1월부터 2월까지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부의 삶의 질 차이는 수면시간, 경제수준, 건강상태, 활동량, 임신주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사회적 지지(β= .432, p= .000), 임신 스트레스(β=- .407, p= .000), 불안(β=- .182, p= .010) 순으로 확인되었다. 임부는 임신 스트레스와 불안 등을 경험하는 삶의 질 저하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임부에 대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해야 할 것이며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적극적인 간호중재 제공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소 비장유래 macrophage의 체외배양시 IL-I$\alpha$가 TGF-$\beta$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 최선호;성환후;장유민;이장희;연성흠;류일선;손동수;유충현
    • 한국수정란이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년도 국제심포지엄
    • /
    • pp.88-88
    • /
    • 2002
  • 인공수정 및 수정란기술의 활성화에 따라 소에 있어서 인공수정은 90%이상이 실시되고 있으나, 수정란이식은 수정란의 생산이 안정적이지 않아 활성화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이의 원인은 수정란이식에 의한 수태율의 저하가 가장 크며, 수태율 향상을 위하여 수란우에 progesterone, hCG 등의 주사가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수정란의 착상에 있어서 자궁의 환경을 개선한다고 하나, 착상의 정확한 기전의 구명은 미미한 상태이다. 한편 비장유래 macrophage가 황체를 자극하고 TGF-$\beta$의 생산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IL-I $\alpha$$\beta$에 따라 TGF-$\beta$ 생산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장유래 macrophage가 TGF-$\beta$의 생산시 임신관련 Cytokine인 IL-I$\alpha$와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임신 및 비임신 도축 암소의 비장을 채취하여 얼음에 채워 실험실로 운반한 후 비장의 표면을 70%의 알콜로 세척하고, 표피를 벗겨 비장조직을 세절하여 10% FBS+DMEM에 넣어 조직을 눌러 짜면서 조직속의 세포를 분리하였다. 세척한 배양액은 4-5$m\ell$를 100mm 유리 petri dish에 넣고 39$^{\circ}C$, 5% $CO_2$, 95% 공기인 배양기에서 2시간이상 배양하였으며, 배양 후 냉장된 buffer A 용액으로 세척하여 유리 petri dish의 바닥에 부착된 macrophage만을 cell scraper로 분리하였다. 분리한 macrophage는 0.5-1 $\times$ $10^{6}$ cells/$m\ell$가 되게 조정하여, IL-I 을 0.001, 0.01, 0.1 또한 1 ng/$m\ell$를 첨가하여 농도에 따른 효과를 조사하였고, 각각 24, 48, 72, 96 또한 120시간을 배양하여 시간에 의한 효과도 실시하였다. 각 배치구에서 얻어진 배양액은 TGF-$\beta$를 조사하기 전까지 -2$0^{\circ}C$에 동결 보존하였다. TGF-$\beta$의 측정은 TGF-$\beta$ kit(promega, USA)를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통계학적 분석은 Anova test를 Statview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험의 결과 대조구에 비해 IL-I 첨가구는 2-3배의 TGF-$\beta$생산을 보였으며, 배양시간에 따른 생산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간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IL-I의 농도에 따른 생산의 변화는 IL-I의 농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고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임신 및 비임신의 경우 임신우의 비장 macrophage가 비임신보다는 약간 상승하는 거스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IL-I $\alpha$$\beta$subunit 보다 TGF-$\beta$ 생산에 있어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일 것으로 추정되며, IL-I은 macrophage의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보다는 황체세포를 매개로 한 자궁에 TGF-$\beta$의 생산을 유도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임신관련 cytokine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 PDF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정서명확성과 모성정체성 및 태아애착과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Clarity, Maternal Identity, and Fetal Attachment in Pregnant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 이수민;박혜자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9-108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clarity in emotional intelligence, maternal identity, and fetal attachment to measure how emotional clarity and maternal identity impact on fetal attachment and to determin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identity in pregnant women at the time of diagnosis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Methods: This study used a correlational survey design. 88 pregnant women with GDM completed a study questionnaire of emotional clarity, maternal identity, and fetal attachment immediately after the diagnosis of GDM. Data were analyzed Mann-Whitney U test, and ANOVA with Duncan test, Pearson correlation, three-step regressions to test mediating effect, and Sobel test. Results: The emotional clarity was positively related with maternal identity and fetal attachment. It affected maternal identity with 21.9% of explained variance. The emotional clarity and the maternal identi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fetal attachment by 57.7% of explained variance. The maternal ident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larity and fetal attachment.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a nursing program to enhance the emotional clarity and the maternal identity needs to be developed as an effective strategy to improve fetal attachment.

임신중에 발견된 다발성 폐 동정맥 기형 1예 (A Case of Multiple Pulmonary Arteriovenous Malformation in Pregnancy)

  • 이병호;조용선;최천웅;유지홍;강홍모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5호
    • /
    • pp.545-549
    • /
    • 2002
  • 임신시에 발생한 폐동정맥기형은 드문 질환으로 유전성 출혈성 모세혈관확장증과 같이 유전적으로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는 질환이다. 저자들은 임신시에 발생한 호흡곤란과 흉부방사선촬영상의 종괴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발견된 폐동정맥기형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