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시관측소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5초

원격 지진을 이용한 남극 반도 3차원 속도 구조 연구 (P-wave 3d velocity structure using teleseismic earthquakes beneath the Antarctic Peninsula)

  • 박용철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10년도 학술대회 초록집
    • /
    • pp.33-33
    • /
    • 2010
  • 남극 반도 북부에 설치된 임시지진관측소와 세종기지 지진관측소에서 관측된 원격지진을 이용하여 P파의 상부 맨틀 속도 구조 모델링을 하였다. 사용된 자료는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실시된 SEPA (the Seismic Experiment in Patagonia and Antarctica) 연구에 설치된 7대의 임시 광대역 관측소와 IRIS/GSN 영구 관측소인 PMSA, 그리고 칠레 Jubany 기지(JUBA)와 아르헨티나의 Esperanza 기지(ESPZ)에 설치된 광대역 지진관측소에서 관측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모든 관측소가 남극 반도와 남 셔틀랜드 군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낮은 신호대 잡음비를 보여주고 있다. 모델링에 사용된 자료는 95개 지진에서 축출한 347개의 P파와 PKP파로 실시되었다. 역산된 상부 맨틀의 속도 구조는 남 셔틀랜드 군도의 북쪽에서 빠르고 브랜스필드 스트레이 지역에서는 느린 속도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 PDF

여진을 통해 살펴본 대상구간의 응답특성 (Response Characteristics of Site-specific using Aftershock Event)

  • 안재광;조성흠;전영수;이덕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8호
    • /
    • pp.51-64
    • /
    • 2018
  • 판 경계부에 위치하지 않아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지 않는 지역으로 알려진 한반도에 최근 경주지진(2016/09/12, $M_L=5.8$)과 포항지진(2017/11/15, $M_L=5.4$)이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현재 국내 지진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증가하였고 지진 감쇠식, 액상화 및 지진시 구조물 피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하지만 현재 국내 관측소의 경우 설치간격이 조밀하지 않기에 정밀한 지진분석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기상청에서는 포항지진 이후 신속하게 진원지 주변에 임시관측소를 설치하고 추가로 발생한 여진을 관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임시관측소와 상시관측소에서 관측된 여진 기록과 수집된 대상구간의 지질구조와 지반정보를 통해 포항지역의 지진 전파특성을 분석하고 기반암 운동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포항 망천리 지역에서는 지질구조상 분지효과로 의심되는 응답특성과 여진기록이 발견되었다.

부산측후소(釜山測候所)를 중심으로 본 근대기 측후소 건축의 설치과정과 공간적 특성에 관한 고찰 (Study on the Installation proces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Meteorological Observatory Construction, Centering on the Busan Meteorological Observatory)

  • 김영분;김기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23권2호
    • /
    • pp.39-52
    • /
    • 2014
  • This study researched changes over time regarding the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meteorological station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meteorological station construction using the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Busan Meteorological Station. First, meteorological stations were located in port areas, and then moved to high altitude areas for stable meteorological observation beginning in the transition phase. Here, office buildings and residences were joined, but were separated due to the increase in functions from the stabilization phase. Second, as for spatial composition, in the establishment phase, existing buildings were used, and the scale of newly constructed buildings differed according to time and area. However, after the Japan-Korea Annexation, with increased funds and increased observation equipment, floor plans subdivided by function started to appear. In the stabilization phase, space was subdivided with redundancy due to the increase in functions. In the wartime transition phase, '一' shaped floor plans with redundancy became the norm. Meanwhile, the location of the maritime customs where the first meteorological observations took place after the opening of the ports, and the loc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Busan Temporary Observatory built in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 transition phase (1905) were investigated. Also,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Busan Meteorological Observatory, newly constructed before 1934, the loc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dern era meteorological observatories were studied.

지진 관측을 위한 최적 설치심도 조사 방법 연구 (Finding Optimal Installation Depth of Strong Motion Seismometers for Seismic Observation)

  • 정석호;임도윤;황의홍;안재광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31-40
    • /
    • 2023
  • 본 연구는 고밀도 지진 관측망 구축 시 지표 가속도 측정 및 조기경보 활용을 위한 효율적 관측소 설치 방법을 수립하기 위하여 테스트베드에 지표, 1m, 2m, 9m 깊이의 임시관측소를 설치하여 상시 잡음, 인공 가진 신호 및 지진 계측 자료의 깊이별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의 상시 잡음 분석 결과 1s 이하의 단주기 영역은 주변의 인위적 잡음이 우세하였으며, 1s 이상 장주기 영역은 풍속의 변동과 큰 상관성을 보였다. 2차원 지진계 배열을 통한 상시 잡음 진동수-파수(FK) 분석 결과 단주기 상시 잡음은 표면파 보다는 주로 체적파의 형태로 유입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잡음 수준 분석 결과 9m 이하에서는 낮은 수준의 상시 잡음이 관측되었으나, 지표, 1m, 2m 지진계에서는 토사층의 동적 거동에 의해 T < 0.1s에서 잡음의 증폭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인공 가진실험 및 괴산지진 계측 자료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깊이가 깊어질수록 신호의 크기가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스펙트럼비 및 응답스펙트럼 분석 결과 지표와 1m에서 3m 깊이 토사층의 고유진동수에 해당하는 20Hz(T=0.05s) 대역의 지반운동이 크게 증폭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상시미동과 가진실험을 통해 대상구간의 관측환경을 조사하여 지진계 설치 방법 및 깊이 선정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다수의 지역에서 다양한 환경을 고려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관측소 설치 깊이, 설치방법, 환경 조사방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