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상실무수행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3초

학교-병원 협력실습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임상실무수행능력과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operative Clinical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the Competency and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 조희;노영숙;부은희;안금희;강윤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20
    • /
    • 2006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operative Clinical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the competency and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a quasi-experimental pretest-posttest design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107 nursing students who were at one College of Nursing located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esults: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reported higher nursing skills and total satisfaction than control group after completing education program. Conclusion: Cooperative clinical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had positive effects on nursing skill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 PDF

간호학생의 임상실무수행능력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 for Clinical Nursing Practi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 이군자;장춘자;이은자;이여진;강익화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23-333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ment and measur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evaluation tool for clinical nursing practi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68 nurse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three years above in hospitals. A questionnaire of 79 items was administered to the nurses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 12th, to Oct. 20th, 2004. Result: The derived outcome tool consisted of 6 factors of direct nursing actions and 6 factors of indirect nursing actions on the basis of 79 items. The 6 factors in direct nursing actions accounted for 76.84% of the variance and 6 factors in indirect nursing actions accounted for 79.68% of the variance on total scale. As a result of the item analysis, 79 items were selected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alpha coefficient was .9917. The value of Cronbach' alpha of direct nursing actions was .9640, indirect nursing actions was .9550.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useful application to the evaluation tool of clinical practi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and further studies need to be done to verify clinical practice educational evaluation.

  • PDF

간호사의 학습 관련 자기주도성이 간호실무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on Nursing Practice Competence)

  • 최준희;정정희
    • 임상간호연구
    • /
    • 제17권1호
    • /
    • pp.16-26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urses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its correlations with nursing practice competence in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Korea. Methods: A cross sectional survey design was utilized to assess nurses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job performanc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286 nurses who have been working on general ward for over 1 year. Data were analyzed by ANOVA,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AS 9.1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is 3.56 and that of nursing practice competence is 2.71. The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was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and clinical work experience. Nursing practice competence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level of education, clinical work experience, marital status, age, and working division. The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and nursing practice competence seem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each other (r=.555, p<.001). The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explains 32.0% of nursing practice competence (F=20.20, p<.001).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rogram development for enhancing the readiness to self-directed learning is needed to improve nursing practice competence. We also need continuous efforts to improve nurses initiatives and creativity.

요양병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 및 수행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of Nurses and Nurses' aid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정선진;김계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649-660
    • /
    • 2014
  • 최근 급증하고 있는 요양병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수행 정도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는 실시되었다. 광주와 전라남도의 7곳의 요양병원에서 간호사 84명과 간호조무사 72명을 표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독립 t-검정, one-way ANOVA, 피어슨 상관 계수,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상자의 지식은 30점 만점에 16.84점으로 나타났고, 수행의 평균평점은 4점 만점에 2.88점이었다. 대상자들의 지식은 교육 수준, 직업, 암성 통증관리지침 존재 여부 인식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수행에서는 교육 수준, 직종, 병상 수, 암성 통증관리지침 존재 여부 인식, 암성통증 임상실무지침서 비치 여부에 따라 차이가 관찰되었다. 지식은 수행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식, 병상 수, 암성통증 임상실무지침서 비치 여부였다. 향후 요양병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이러한 변수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신규간호사의 임상실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기본간호내용 분석 (Analysis on Basic Nursing Content Required for the Clinical Performance by Novice Nurses)

  • 변영순;임난영;강규숙;성명숙;원종순;고일선;장성옥;장희정;양선희;김화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427-436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urse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concrete items as a basis for nursing practice. A total of 179 concrete items for basic nursing, which clinical nurses must know in order to practice appropriately, were identified. Metho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25 nurses who had worked for two to five years in university hospitals. The nurses were asked to rate the importance of the 179 items (in 39 middle range categories) on a 5 point scale. Result: The mean age of the nurses was 26 and about 54% were university graduates. Of the 39 middle range categories those rated as the top ten were transfusion (4.682), IV injection (4.492), po medication (4.476), surgery (4.469), infection control (4.438), IM injection (4.413), safety (4.388), oxygenation (4.376), diagnostic test (4.366), and fluid & electrolyte balance (4.359). The categories that had the lowest scores were sexuality (3.449), conceptual nursing (3.465), spirituality (3.527) and personal hygiene (3.548).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most nurses evaluate items which they use frequently in their practice as important.

  • PDF

미국 폰즈스쿨의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국내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에 관한 고찰 (Study on Clinical Dental Hygiene in Korea Based on Analysis of Clinical Dental Hygiene Curriculum of Fones School in the United States)

  • 최용금;임근옥;한양금;배수명;신보미;안세연;전현선;김진;장선옥;김혜진;박지은;임희정;장윤정;정진아;이효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23-1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인 치위생계의 임상실무와 교육의 표준인 치위생 관리 과정을 기반으로 표준화된 치위생 교육기관인 미국 폰즈스쿨의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에 대해 심층분석 함으로써 국내 실정에 맞는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의 표준화 방안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2015~2016년 폰즈스쿨의 임상치위생학은 모두 'Dental Hygiene Clinical Practice (DHYG)'라는 과목명으로 운영되었고, 실습의 비중이 매우 컸으며, 실습강의는 교수 1명당 학생 5명이 한 팀으로 운영되었다. 폰즈스쿨의 학과 목표는 브릿지포트 대학교의 미션에 따라 설정되었고, 폰즈스쿨의 임상치위생학 교육목표 또한 폰즈스쿨의 학과 목표에 기반하여 설정되었다. 또한, 임상치위생학의 교육목표는 ADHA에서 제시한 치위생임상 실무표준에 따라 개발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임상치위생학 교육을 통해 달성해야 하는 임상 핵심역량과 세부역량을 제시하고 있었다. 임상치위생학 교육내용은 다양한 대상자에게 적절한 치위생 관리 과정을 제공하기 위한 이론 및 실습으로 구성되었고, 특히, 졸업 후 실제 임상 현장에서 수행하게 될 업무에 대한 실습내용이 다뤄졌다. 학생은 대상자/환자별로 수행한 술식에 문서를 작성하여 교수자와 함께 검토 및 보완작업을 통해 치위생 임상역량을 높이고자 하였다. 실습내용 중 치위생 관리 과정 실습은 필수적으로 어린이, 청소년, 성인, 노인, 특별환자를 대상으로 선정해야 하며, 구강 상태에 따라 중등도 이상의 치주환자를 포함해야 했다. 이론평가는 지필고사 혹은 사례연구 발표 등으로 이루어졌고, 실습평가는 주로 임상역량의 달성 정도에 따라 평가되었다. 특히 교수자의 로테이션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이를 통해 모든 학생의 임상역량 달성 정도를 파악하고 부족한 역량에 대해 개선방안을 함께 모색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ADHA에서 제시하는 치위생임상 실무표준에 따라 운영되고 있는 표준화된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임상치위생학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시뮬레이션 기반 정맥주사 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수행자신감 및 대상자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imulation-Based Training on the Clinical Competence and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in Intravenous Injection Performance and the Satisfaction of Clients)

  • 정현철;최나영;김미선;전미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600-260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뮬레이션 기반 정맥주사 교육의 효과를 시뮬레이션 매체별로 비교 분석하고 대상자 만족도를 평가함으로써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실무수행능력과 수행 자신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대상자 만족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교육 방법임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과 2학년생 90명을 무작위로 동영상군에 31명, 모형군에 28명, 컴퓨터시스템군에 31명을 배정하였다. 동영상군은 기본간호학회에서 개발한 교육용비디오를, 모형군은 정맥주사모형을, 컴퓨터시스템군은 컴퓨터로 작동되는 정맥주사용 교육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회 교육과 5회 실습을 실시한 후 대상자들끼리 짝을 이루어 손등 부위에 정맥주사를 시행하였다.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을 정맥주사 성공률로 분석한 결과, 동영상군 16.1%, 모형군 64.3%, 컴퓨터시스템군 38.7%가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행 자신감은 정맥 주사 전, 후 모두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정맥주사 성공여부에 따른 차이를 비교한 결과, 정맥 주사 전, 후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 만족도는 세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정맥주사 성공여부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정맥주사 기술은 동영상과 컴퓨터시스템보다 모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실무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맥주사에 성공한 학생이 성공하지 못한 학생보다 수행 자신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한 가지 간호 기술과 관련된 결과로 추후 다양한 간호기술에 적합한 시뮬레이션 교육매체를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간호학생의 밀착형 실무진입 임상실습교육이 임상수행능력, 상태불안 및 임상실습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Intensive Clinical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in Nursing Practice on their Clinical Competence, State Anxiety,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 장현숙;이정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19-42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intensive clinical training program for nursing practice on the clinical competence, state anxiety, clinical practice stress in nursing students who were beginning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Methods: This practice has been processed as a 'Pre-Post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The participants were 177 students in a college of nursing.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89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88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clinical competence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also significant. State anxiety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scores for stress during practi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The findings in this research reveal that the program, 'Close clinical practice training for nursing students' practice entry, contributes to improving students' overall ability and performance, and reduces anxiety of nursing students as they start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in helping nursing students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performance.

신규 임상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임상실무수행능력 (Clinical Nursing Competency for New Graduate Nurses - A Grounded Theory Approach -)

  • 변영순;임난영;강규숙;성명숙;원종순;고일선;장성옥;장희정;양선희;김화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7-56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issues of clinical competency from the perspective of new graduate nurses and to make suggestions for improving undergraduate education programmes. It was also done to clarify learning experiences between fundamentals of nursing and the other major areas of nursing. Method: For this study, 7 new graduates and 8 experienced nurses participate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sed in terms of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methodology. Result: Core category and main categories, were delineated. Clinical nursing competency was found to be a dynamic process with each participant actively engaged in acquiring problem solving ability in diverse clinical settings. These findings have value in understanding the embedded meaning of clinical nursing competency. Conclusion: Therefore, the educational programs reflecting the experience of new nursing staff should be developed.

  • PDF

보건지소 공중보건 일반의사의 업무수행정도와 수련개선방안 (Assessment of the Activities of General Physicians in Health Subcenters and a Scheme to Improve the Training Program)

  • 박정한;천병렬;우극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9권2호
    • /
    • pp.193-202
    • /
    • 1986
  • 공중보건 일반의사들의 업무수행 정도와 진료, 예방 및 보건증진 사업 수행에 필요한 기본적인 수기의 수행능력을 평가하고 그들의 업무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1982년과 1983년에 배치된 공중보건 일반의사들 가운데 남부 4개도(경북, 경남, 전북, 전남)에서 출신학교별로 비슷한 비율로 120명을 무작위로 뽑아 1984년 1월 9일에서 2월 10일 사이에 설문지를 이용한 집단면담을 하였다. 면담에 응한 97명 가운데 본 조사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할 수 있었는 86명으로 부터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보건지소의 진료실적은 2종 보험실시 지역이 1일 평균 $30{\sim}40$명으로 환자가 많으나 그외 지역은 $3{\sim}4$명으로 매우 저조하였다. 또한 예방 및 보건증진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다고 답한 사람은 조사대상자의 2%에 불과했다. 63가지 기본적인 임상수기 가운데서 자신있게 할 수 있다고 한 사람이 50%이상인 것은 근육주사, 정맥주사, 외상치료와 같이 간단한 것으로 12가지에 불과했고 임산부관리, 응급환자처치, 예방 및 보건증진 사업등에 필요한 수기에 자신이 있는 사람은 10%도 못 되었다. 국립보건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공중보건 일반의사들의 실무교육이 현지 사정과 맞지 않는것이 많아 실무에 큰 도움이 안 된다고 했으며, 도립병원이나 지방 종합병원에서 받은 임상수련이 실무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한 사람은 38.8%였으며, 별도움이 안된 이유 가운데 전문의가 없거나 있어도 무관심하여 수련지도가 부족한 탓이라고 한 사람이 48.4%로 가장 많았다. 공중보건일반의 실무교육은 교육내용을 실무종사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현지 사정에 맞도록 개선해야할 것이며, 실무종사자들 가운데 유능한 사람을 강사로 활용하고, 국립보건원에 모아 교육시키는 것보다 전국을 몇개의 지역으로 나누어 지방에서 교육을 시키는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임상실습은 4개월이 적당할 것으로 생각되며, 수련기간 동안에 필수적으로 익혀야 할 수기를 수첩으로 만들어 실습사실을 지도전문의에게 확인 받게하며, 보건사회부에서는 수련지도에 관한 지침을 마련하여 수련병원에 배부하고 수련상황을 평가하도록 한다. 최소한 기본 4과에 전문의를 갖춘 병원을 수련병원으로 선정하여야 할 것이다. 공중보건 일반의사들이 현지에서 당면하는 문제해결을 도우고 사업추진을 위한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보수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보건사회부는 재정 및 행정적 지원을 하는 것이 좋겠다. 도를 몇개지역으로 나누어 지역마다 지도위원회를 구성하여 공중보건 일반의사들을 순회지도 하고 자문에 응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