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상시험 정보관리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3초

국제표준 기반의 임상정보 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stem for International Standard(IS) based Clinical Information Management)

  • 최용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4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1호
    • /
    • pp.429-432
    • /
    • 2014
  • 국내 제약산업의 경쟁력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신약의 심사/허가 기간을 단축시켜 급변하게 변하는 글로벌 제약시장에서 경쟁 우위적 위치를 선점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체계 개선이 시급하다. 신약허가를 위해서는 임상시험 결과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 등에 대한 심사가 수행되게 된다. 하지만 현재 신약허가를 위해서 제약사와 임상시험수탁기관(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CRO)에서 데이터 정보체계인 Domain, Variable 및 Parameter 등의 표준을 따르지 않고 다양한 유형의 임상정보데이터를 심사기관에 제출하고 있어 이로 인한 심사기간 증가와 심사업무 비효율성을 야기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민간기구인 CDISC (Clinical Data Interchange Standards Consortium)에서 제정한 글로벌 임상데이터 표준인 CDISC 표준을 준용한 국내 임상시험정보관리 체계 (eCTD 시스템)및 의약품 전주기적 관리체계를 제시하고자 하며, 본 연구를 통한 기대효과로는 국제표준의 임상정보관리 인프라 구축으로 인한 국내 신약개발 및 해외 진출 환경을 마련하여 글로벌 시장선점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규제기관 차원에서는 의약품 허가, 심사업무의 효율성 증가는 물론 전주기적 의약품 안전관리체계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임상시험 전자자료 관리를 위한 평가 프레임웍 (A Performance Evaluation Framework for e-Clinical Data Management)

  • 이현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5-55
    • /
    • 2012
  • 임상시험 전체 소요시간 및 비용의 절감, 임상 데이터 질의 향상을 위해 임상시험 전자자료의 관리가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임상시험 전자자료 관리는 전자 임상시험의 안정성 및 질을 위해 규정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 것이 결정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전자적 시스템을 활용한 임상시험에 있어 데이터 관리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프레임웍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임상시험 프로세스에 근거하여 기반능력, 연구설계, 연구진행 및 연구완료 등 네 개의 주요 메트릭을 구성함으로써 데이터 관리의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성과척도를 도출한다. 이때 각 성과척도의 도출 기준은 임상시험 자체가 지향하는 데이터의 질 향상, 전자자료 관리 프로세스의 비용과 효율성 및 규정 준수 수준 등 네 가지의 관리적 관심을 기준으로 하며, 각 성과척도 별로 전자자료 관리 프로세스 상 실질적으로 측정 가능한 측정지표를 제시한다. 평가 프레임웍은 네 가지의 주요 측정 메트릭에 근거하여, 세 개의 데이터 영역(연구기관, 모니터링, 데이터관리센터) 별로 구성된다. 본 평가 프레임웍의 개발은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한 델파이 방법론으로 접근한 탐색적 연구로서 향후 실증적 후속 연구를 과제로 남기고 있다.

임상시험정보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통계모델링 구축 (The establishment of the statistics modeling for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clinical trials information)

  • 김동선;조성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61-164
    • /
    • 2010
  •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던 임상시험 관련 정보를 통합하여 서비스하기 위한 방안으로 임상시험정보방을 개설하게 되었다. 임상시험승인현황 등 원시자료는 종이형태로 생산, 관리된다. 이를 통계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 식품의약품안전청의 관련 시스템인 KiFDA 시스템에 입력을 하게 된다. 이 시스템에 입력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임상시험관련 웹서비스 시스템에 구축된다. 이때에 실시간 통계정보의 정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KiFDA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의 실시기관명과 임상시험계획승인제도(IND) 승인리스트 원본의 실시기관명이 틀린 것도 있었다. 이는 동일한 실시기관도 화면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기관으로 보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통계자료가 부정확하게 표출되는 데는 이런 원인들이 있었던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문제점을 개선하기위해 임상시험정보방의 효율적인 통계모델링을 설계하여 물리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의학연구데이터의 가치와 공유의 의미 (The value and sharing of medical research data)

  • 김나원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7년도 제24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4-104
    • /
    • 2017
  • 연구 데이터란 과학적 연구에서 사용된 일차 자료와 연구자에 의해 직접 작성된 연구의 결과로서 수치, 문자, 이미지, 음성 등의 사실적 기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주제 분야인 의학은 잠재적 가치와 활용 가능성이 높고 공익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학문 분야로 의학 연구 데이터의 종류와 관리의 필요성을 통해서 그 가치와 공유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또한 연구 데이터의 대표적인 임상 시험 기록과 연구 논문의 발표와 공유 현황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그 안에서 도서관의 역할이 어떤 것인가를 짚어보고자 한다. 의학 연구 데이터는 환자 진료기록, 건강 검진 기록, 임상 기록, 사망 기록, 임상 시험 기록, 유전체 정보, 연구 논문 등 그 종류와 형태가 다양하며 대용량인 경우가 많다. 의학 연구는 개인 정보보호와 윤리적인 문제 등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어려운 점이 많은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질병 치료나 예방 나아가 인류의 건강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학문 분야로 의학 연구 데이터의 보존과 공개, 공유를 위한 관리는 큰 의미가 있다. 의학 연구 데이터관리는 새로운 연구의 밑받침이 될 뿐만 아니라 중 저개발 국가의 연구자들에게도 큰 기회를 부여하여 세계적인 의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임상 시험 결과에 대한 은폐와 거짓 연구 방지에도 의미가 있어 미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학술 연구 논문 발표에 사용된 데이터는 등록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임상 시험 등록으로 공인된 사이트는 NIH의 ClinicalTrials.gov, ICTRP의 Primary Registry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관리하는 CRIS 등이 있다. 의학 연구자들은 연구의 시작부터 연구 데이터를 수집, 사용, 보존, 공유의 문제를 고려해야 하나 시간적 물리적인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는 도서관에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분야로 Virginia Commonwealth 대학 도서관과 Emory 대학 도서관 등에서 시도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연구 과정에서 사서의 지원이 가능한 새로운 기회로 연구자의 데이터관리를 위한 단계별 스토리를 조직하고 DMP 작성 지원 및 교육 등을 통해서 학술 커뮤니케이션에서 새로운 역할자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임상 시험등록정보의 산업적 활용과 시사점: ICTRP에 등록된 COVID-19 사례 중심으로 (A Study of the Implication of Clinical Trial Registration Information and its Application to Industry: Focused on 「COVID-19」 Registered in ICTRP)

  • 이화정;김경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778-785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팬데믹 상황에서 의료정보관리방식이 가져다 줄 국가적 통제 가능성과 그 한계를 제시하고자 하는 것으로 의료정보 관리와 정보의 이용허가가 의료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한다. 연구방법: 연구목적을 위해 본조사는 국가별 대응 움직임의 유일한 표준화 근거인 임상시험등록플랫폼(International Clinical Trial Registry Platform, ICTRP)의 primary registry, 2019년 12월 첫 발생 시점부터 2020년 3월 30일, 해당 기간 기준, 780명의 등록자료를 확보해 임상시험계획 승인을 위한 '임상 시험등록정보'공개 정도를 검토하고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임상시험등록의 정보 이용은 COVID-19와 관련된 새 치료제 개발, 백신 개발 등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결론: 연구의 결론은 각 국가는 이번 COVID-19의 신약 개발을 위해 다양한 임상 시험방법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약회사들은 CRIS에 임상시험 결과를 등록하여 많은 나라가 데이터를 공유하도록 하여 치료제나 백신 개발에 전념해야 한다.

맥진기 컨텐츠 개발을 위한 통합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축 (Design and Construction of Integrated Database for Contents Development of Pulse Analysis System)

  • 소지호;전영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37-142
    • /
    • 2017
  • 인구의 고령화와 의료서비스 수요의 증가로 한의학의 이론을 기초로 한 의료기기 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개발한 의료기기의 임상적 유효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임상시험들이 수행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다양하게 수집되는 정보들의 체계적인 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의학의 대표적인 진단 방법인 맥진을 기기화 한 맥진기를 이용하여 임상시험을 진행하는데 있어 환자의 의학적 정보, 맥진기의 측정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구축하였다.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임상시험에 대한 다양한 정보 및 측정된 정보의 질관리를 통해 기존 알고리즘 검증 또는 새로운 알고리즘 개발 시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고, 임상 데이터의 통제 측면에서도 여러 장점들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종의 맥진기나 다른 생체신호 측정기와의 정보 공유가 가능한 통합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한의 의료기기 데이터 표준안 구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한의 임상 정보의 효율적 통합을 위한 한의임상 데이터베이스 및 E-CRF 입력 시스템 구축 (Implementation of database and E-CRF for efficient integration of Korean clinical data)

  • 소지호;전영주;이범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205-212
    • /
    • 2016
  • 최근 의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서양의학 뿐만 아니라 한의학 분야에서도 임상 데이터에 대한 통합 및 표준화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유사한 임상시험 뿐만 아니라 전혀 다른 임상시험의 데이터도 하나의 표준에 맞춰 통합 구축된다면 통합된 의료데이터는 암묵적 한의의료지식 도출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의임상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국제표준으로 널리 사용되는 CDISC 표준안을 기반으로 한의임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임상현장에서 편리한 데이터 입력을 위해 E-CRF를 구축하였다. 아울러, 실제 4개의 임상연구에 대한 데이터 저장과정을 거쳐 한의임상 데이터 통합에 대한 예를 보였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통합된 데이터로부터 암묵적 의료지식도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고, 데이터 통합을 통한 효율적 관리뿐만 아니라 반복적이거나 불필요한 임상시험 방지, 정제 된 데이터의 재배포를 통하여 연구의 편리성과 협업을 촉진할 수 있다.

건강정보 교환 표준에 기반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Ubiquitous Healthcare System based on Health Information Exchange Standards)

  • 이인근;김화선;조훈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273-280
    • /
    • 2012
  • 의료 환경의 변화로 인해 개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u-헬스케어) 서비스 및 시스템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u-헬스케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개인건강기기, 무선통신을 통해 개인건강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기, 그리고 정보수집기로부터 전송되는 개인건강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건강정보시스템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와 시스템이 결합된 복합적인 환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기 및 시스템 사이의 상호운용성을 위해 국제적으로 IEEE 11073이나 HL7과 같은 건강정보 교환 표준들이 발표되었으나, 국내에서는 이러한 표준을 적용한 u-헬스케어 시스템의 개발하여 실제 환경에 적용한 연구가 많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건강정보 교환을 위한 국제 표준에 기반하여 혈당, 혈압, 체성분과 같은 건강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u-헬스케어 시스템을 개발한다. 또한 경북대학교병원 내분비계 질환자 대상의 임상시험을 통해 개발한 시스템의 안정성을 검증하고, 운영 과정에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찾는다.

한약 임상시험의 특성 : 질병관리본부 임상연구정보서비스(CRIS)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KM Clinical Trials - Focusing on the Clin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CRIS))

  • 정창운;전선우;조희근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959-966
    • /
    • 2020
  • Objectives: To examine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al clinical trials registered in the CRIS (Clinical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database. Methods: We systematically analyzed the status of Korean medical interventions using the search function of the CRIS database. Results: From 2010 to January 2020, 267 Korean medicine-related clinical trials were registered with CRIS. The studies, which included many randomized trials (80.14%), focused primarily on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acupuncture and Korean herbal remedies. Most of these studies were government-sponsored and researcher-led clinical trials, but a few were company-sponsored trials. All trials were small and need improvement. Conclusion: 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clinical trials in the field of Korean medicine and th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to create evidence-based Korean medicine.

IT기반 의료 환경에서 보건정보관리자의 역할 (Health Information Manager's Role in IT-Based Medical Environment)

  • 전윤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6호
    • /
    • pp.213-21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의료정보의 효율적 생성과 관리를 주 업무로 하는 의무기록사가 IT기반 의료 환경에서 보건정보관리자로 성공적으로 변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의무기록사로서의 업무 현황 분석(As-Is)과 보건정보관리자로 탈바꿈하기 위한 미래모형(To-be)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황 분석 대상 자료는 1)의무기록사 국가고시 과목 2)보건정보관리자 자격시험과목 3)국내 의무기록사들의 현재 직무 분석자료 4)최근 3년간 대한의무기록협회 학술대회 및 교육 주제였다. 미래모형(To-be)자료는 미국보건정보관리자협회(AHIMA)에서 제시한 'HIM Professional Roles in E-HIM(R)'이었다. 이러한 자료들의 비교 분석을 통해 현재 의무기록사의 신규 진입이 필요한 역할은 Business change manager(업무 변화 관리자), IT training specialist(IT 교육전문가), Consumer advocate(의료소비자 중재자), Clinical alerts and reminders manager(임상 경고 및 신호 관리자), Enterprise application specialist(전사적 응용 시스템 전문가)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