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무 통제 시스템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6초

AHP 분석을 통한 부대 임무유형별 워리어플랫폼 요구능력 우선순위 비교 (Comparison of the Priority of Required Capabilities of the Warrior Platform by the Types of Military Unit through AHP Analysis)

  • 김욱기;신규용;조성식;백승호;김용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62-269
    • /
    • 2021
  • 국방부는 국방개혁과 연계하여 육군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육군의 전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차세대 개인전투체계인 워리어플랫폼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워리어플랫폼 사업은 총 3단계로 구분하여 추진되고 있는데 1단계에서는 개별 품목의 품질과 성능을 개선하고, 2단계에서는 체계개발 간 품목들을 통합하며, 3단계에서는 일체형의 단위 무기체계로 개발하여 전투능력을 극대화 시키는 것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워리어플랫폼 구축을 위해 고려되고 있는 임무기능별 필수 요구능력 5가지(생존성, 치명성, 기동성, 임무지속성, 지휘통제)에 대한 세부 하위 항목들을 제시하고,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이용하여 부대유형별로 5대 요구능력과 세부 하위 항목들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임무유형이 서로 다른 4가지 형태의 부대를 대상으로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각 부대마다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보병부대는 지휘통제 능력을 중요시한 반면, 다른 3가지 유형의 부대들은 공통적으로 생존성 능력에 높은 우선순위를 두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우리 육군의 워리어플랫폼 개발방향 설정에 유용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소프트웨어 사업관리 지원용 전문가시스템의 지식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 Base Construction of Expert System for S/W Project Management)

  • 김화수;최병권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0년도 추계정기학술대회:지능형기술과 CRM
    • /
    • pp.397-406
    • /
    • 2000
  • 대부분의 국방정보시스템의 소프트웨어는 높은 가용성, 신뢰성, 신속성, 정확성 등을 요구하는 대규모이면서 복잡한 실시간 시스템이다. 이러한 국방정보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개발사업에 있어서 저비용 고효율의 미개국방경영 건설을 위하고 강한 전투력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국방정보시스템의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사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국방정보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사업관리자가 개발사업을 관리하고 감독하는데 있어서 개발자와 사용자간의 조정 및 통제 기능을 수행하고 해당 국방정보시스템의 특성을 파악하여 성공적인 사업수행을 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 사업관리 측면에서 구체적이고 상세화된 방안/지침을 제공하기 위한 전문가시스템의 지식베이스 도메인 지식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국방정보시스템의 사업관리자가 경험을 동해 축적해 온 기술, 정책, 아이디어, 노하우 등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사업 관련자료에서 제시한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단계별 방안이나 지침 등을 바탕으로 하여 식별된 사실이나 내용을 지식베이스로 구축하여 국방정보시스템의 사업관리자가 필요로 할 때 설명모듈을 거쳐 임무 및 세부활동사항을 게시하여 줌으로써 사업관리 경험이 부족하거나 사업관리자가 교체되었을 때 사업관리자들이 업무를 지속적으로 연계시켜 임무수행이 가능하도록 기초/기반 여건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국방정보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개발사업에서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단계별 사업관리자의 임무 및 세부활동사항 지원용 전문가시스템을 개발할 때 이용할 수 있도록 도메인 지식을 개발하는 것이며 논문의 결과를 활용시 기대되는 효과는 본문을 참고 바란다.의 장점을 취합하여 설계되었다. 본 시스템은 기존의 UN/EDIFACT표준을 사용하고 있는 EDI환경과 기존 VAN 방식의 EDI 중계 시스템과 연동되며, 향후 관세청의 XML/EDI 표준 시행을 미리 대비하는 선도연구로서 자리매김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XML/EDI 통관시스템은 향후, 서비스의 최대 걸림돌이 되어왔던 값비싼 EDI 사용료의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할 것이며, 저렴한 EDI구축/운영 비용으로 전자문서교환의 활성화와 XML이 인터넷 기반의 문서유통 표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재무/비재무적 지표를 고려한 인공신경망기법의 예측적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로지스틱회귀 분석의 재무적 지표모형은 훈련, 시험용이 84.45%, 85.10%인 반면, 재무/비재무적 지표모형은 84.45%, 85.08%로서 거의 동일한 예측적중률을 가졌으나 인공신경망기법 분석에서는 재무적 지표모형이 92.23%, 85.10%인 반면, 재무/비재무적 지표모형에서는 91.12%, 88.06%로서 향상된 예측적중률을 나타내었다.ting LMS according to increasing the step-size parameter $\mu$ in the experimentally computed. learning curve. Also we find that convergence speed of proposed algorithm is increased by (B+1) time proportional to B which B is

  • PDF

지능화 전장에서 인공지능 기반 공격용 군집드론 운용 방안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Enabled Combat Swarm Drones in the Future Intelligent Battlefield)

  • 채희;이경석;엄정호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65-71
    • /
    • 2023
  • 최근 발발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공격용 드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공격용 드론 활용은 그간의 재래식 전쟁의 통념을 깨는 게임체인저 역할을 하고 있다. 앞으로 지능화 전장에서 공격용 군집드론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논문은 인공지능 기술을 바탕으로 향후 공격용 군집드론의 운용 발전 방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인간에 의해 운용되는 군집드론을 완전히 자율화된 군집드론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1) 군집드론 운용에 최적화된 AI 알고리즘 적용, (2) 탈중앙식 지휘통제 방식 개발, (3) 드론 간 임무 분석 및 할당 자동화 기술 적용, (4) 드론 통신 보안 강화 및 (5) 무인화의 윤리 기준 확정이 중요하다. 세부적으로 군집드론 간의 충돌방지 및 이동형 표적을 공격하기 위한 AI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또한, 급변하는 전장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탈중앙식 지휘통제 시스템 개발과 적 공격에 의한 드론 손실 발생 시 임무를 재할당 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군집드론의 안전한 운용을 위한 보안기술 개발 및 무인화에 따른 윤리문제 해결을 위한 기준제정이 중요하다.

KSR-III 비행시험 발사 시나리오 개발

  • 신명호;서진호;김광수;홍일희
    • 항공우주기술
    • /
    • 제2권1호
    • /
    • pp.140-152
    • /
    • 2003
  • 발사를 위해 로켓과 지상 장비를 작동시키고 제어하는 과정에서 시나리오는 운영 및 통제의 지침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것은 로켓 발사 작업을 준비하는 첫 번째 작업으로서, 발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핵심적인 임무 중 하나이다. KSR-III 비행시험 시나리오는 발사를 준비하기 위해 로켓과 지상 장비를 작동시키는 순차적인 작업 명령의 시퀀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발사 시나리오 개발에 UML 객체 모델링 방법을 적용한다. 먼저, 발사 시스템의 각 서브시스템을 객체로 모델링하고 각 두 서브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를 association link로 모델링한다. 이를 통해 얻어진 최종적인 KSR-III 발사 시스템 객체 다이어그램은 데이터와 명령의 흐름, 통제, 상호작용 등을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전체 시나리오는 사전 시나리오, 본 시나리오, 비상시 조치사항 등으로 구성된다.

  • PDF

대규모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작업분담구조도의 모형화에 관한 연구 (Modeling the WBS for a Large-Scale IS Development Project)

  • 이남용;김태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0년도 제13회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821-829
    • /
    • 2000
  • 과거 20여년간 작업분담구조도(WBS)는 대규모의 정보시스템을 개발 및 획득하여 운용하고자 하는 시스템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관심의 초점이 되여 왔다. WBS 는 정보시스템을 개발하고 획득하며 운용하기 위한 관련된 많은 작업을 효과적으로 식별하고 임무를 분담시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즉, 정보시스템 개발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기획하고 관리/통제하기 위하여 WBS 는 없어서는 않되는 중요한 프로젝트 관리의 메커니즘인 것이다. WBS 는 프로젝트를 조직화하고, 비용을 예측 및 통제하며, 작업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외주용역 시에는 계약 업체를 관리할 수 있는 편리한 기능을 제공해 준다. 본 논문은 저자의 실질적인 경험에 의거하여 사례로서 개념적인 WBS 를 모형화하며, WBS 개발 시에 중요한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모형과 고려사항은 조직 내에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WBS 를 개발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확신한다.

  • PDF

나로우주센터 추적레이더의 잡음 특성 분석 (Study on the random noise characteristic of the tracking radar in Naro space center)

  • 최지환;신한섭;김대오;김태형
    • 항공우주기술
    • /
    • 제9권1호
    • /
    • pp.151-157
    • /
    • 2010
  • 나로우주센터에서 운용하는 추적레이더는 위성발사체 (KSLV-1)의 비행궤도를 추적하여 위성발사체의 위치정보를 발사통제센터로 전송하는 추적시스템이다. 추적레이더가 획득한 위성발사체의 실시간 위치정보는 발사임무의 정상적인 수행 및 비행안전통제를 위해 중요한 자료이므로 위치정보의 정확도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추적레이더가 획득한 측정값의 정확성을 판단하는 하나의 기준이 되는 잡음에 의한 오차 규격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실제 획득한 측정값들이 이론적인 잡음에 의한 오차 규격을 만족하는 지 검증하였다. 이 분석에서 사용된 측정값들은 나로우주센터에서 수차례 수행하였던 모의비행시험에서 얻은 결과물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대 잠수함 HVU 호위 임무 분석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Modeling and Simulation for Anti-submarine HVU Escort Mission)

  • 박강문;이은복;신석훈;한승진;지승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75-83
    • /
    • 2014
  • 함정 전투체계는 각종 센서 및 무장을 포함한 플랫폼들을 효율적으로 통제하기 위해서 운용자의 개입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다중 에이전트 기반의 M&S(Modeling and Simulation) 기술이 도입되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다중 플랫폼간의 높은 임무 복잡도를 필요로 하는 대 잠수함 전투에 있어서는 M&S 시스템을 통한 전술에 관한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중 에이전트 기반의 M&S 기술을 대 잠수함 전투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함정, 잠수함, 헬기 등 다수의 플랫폼을 에이전트 기반으로 모델링함으로써 HVU(High Value Unit) 호위 임무를 위한 모델 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전장상황에 대한 다양한 전술 효과도를 분석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조건별 최적의 전술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국방 관계자들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을 도입하여 상세한 모델 변수값들을 대입한다면 보다 실질적인 대 잠수함 전술 효과도를 분석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항공전자시스템컴퓨터 탑재소프트웨어 개발 (Development of Operational Flight Program for Avionic System Computer)

  • 김영일;김상환;임흥식;이성수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04-112
    • /
    • 2005
  • 본 논문은 항공전자시스템 통제와 항법 및 사격통제를 통합하고 비행, 항법 및 무장조준 임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항공전자시스템컴퓨터(ASC)의 탑재소프트웨어(OFP) 개발 기법을 제안한다. OFP 개발을 위해 중앙처리장치 보드로는 2개의 i960 칩이 사용되었고 자체 개발된 표준 컴퓨터 인터페이스 라이브러리(SCIL)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Irvine 컴파일러 회사의 개발환경과 Ada95 프로그래밍 언어가 OFP 개발에 사용되었다. OFP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독립성을 위하여 3부분으로 구성된 1개의 컴퓨터소프트웨어형상품목으로 설계되었다. 일련의 비행시험을 통해 개발된 OFP를 검증하였으며, 소프트웨어 통합시험과 지상기능시험 등 관련 시험 또한 수행하였다.

데이터통신 기반 차세대 기지방어작전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the Data Communication based Future Air Base Defence Operation Model)

  • 표상호;김기형;이태공
    • 정보화연구
    • /
    • 제11권2호
    • /
    • pp.157-173
    • /
    • 2014
  • 기지방어, 대공방어 그리고 화생방방호 모델은 공군의 지상 작전 모델로써 참가 노드간 음성통신 중심의 체계로 설계되어 있어 정확한 의사전달에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국방 분야에서는 데이터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지휘통제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통신에 기반한 차세대 기지방어작전 모델을 통해 기지방어 임무 성능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안한다. 현재까지 연구된 논문을 참고하여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였고, 제안한 기지방어작전 모델을 비행기지내에 기존 정비통제용으로 구축되어 있던 와이브로 네트워크상에서 적용하여 실제실험을 하였다. 새로운 기지방어작전 모델의 분석 및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모델이 성능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음성 기반 무인 항공기 제어를 위한 음성인식 시스템 운용 체계 연구 (Study of Speech Recognition System Operation for Voice-driven UAV Control)

  • 박정식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12-219
    • /
    • 2019
  • 군사 작전 환경에서 무인 항공기의 활용도가 확대됨에 따라 효율적인 무인기 제어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특히 신속한 임무 처리가 요구되는 군 환경에서 기존의 버튼 방식이 지닌 조작의 불편함을 해소하려는 목적으로 음성인식을 통한 무인기 제어 방식이 시도되고 있으며, 아직 초기연구 수준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성 기반의 무인기 제어를 위해 효율적인 음성인식 시스템 운용 체계를 제안한다. 특히 지상관제 센터에 의한 무인기 제어보다는 유/무인기 협업 환경에서 유인기 조종사가 무인기를 직접 통제하는데 효율적인 음성인식 시스템 운용 방식을 제안하며, 음성인식 실험을 통해 운용 체계의 효율성을 검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