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임무 설계

Search Result 68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User Friendly Interactive Aircraft Sizing Environment Development (사용자 친화적 인터액티브 항공기 사이징 환경 개발)

  • Seo, Seung-Pyo;Maw, Aye Aye;Jeon, Gwon-Su;Lee, Jae-U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5a
    • /
    • pp.1-4
    • /
    • 2016
  • 항공기 사이징은 항공기 설계에서 설계 및 임무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한 항공기의 무게를 계산하는 과정이다. 사이징 프로그램은 엔지니어가 기본적인 파라미터만 입력하면 내장된 코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사이징 과정을 수행하여 주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의 프로세스, 프로그램 구성을 설명하고 실행 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이징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 된 프로그램은 사이징 과정에서 편리한 임무작성, 입력된 임무에 따른 임무형상 도시, 그리고 사이징 및 임무해석결과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 PDF

Critical Design of MIMAN CubeSat for Aerosol Monitoring Mission (미세먼지 관측 임무를 위한 MIMAN 큐브위성 상세 설계)

  • Jin, Sungmin;Kang, Dae-Eun;Kim, Geuk-Nam;Kim, Naeun;Kim, Young-Eon;Kim, Pureum;An, Seungmin;Ryu, Han-Gyeol;Park, Sang-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9 no.12
    • /
    • pp.1027-1035
    • /
    • 2021
  • We presents a design of 3U cubesat MIMAN (Monochrome imaging for monitoring aerosol by nano-satellite) for aerosol monitoring mission with high spatial resolution. The main objective of MIMAN mission is to take images of aerosols around Korea and to provide auxiliary data for GK 2B cloud masking. For this mission, we derived mission requirements and constraints for the MIMAN mission. We designed the mission architecture and concept of operations. To reduce risk factors in space operation, we considered the safety of the communication. In every operation modes, UHF communication is available so that the cubesat can operate based on the ground commands. So, we can handle every problem at the ground station during mission operations. Based on the mission and concept of operations, we confirmed that the system design satisfied the system requirements. We designed the system interface considering data flow of each hardware, and evaluated the safety of the system with system budget analysis.

아리랑 2호 임무계획검증시스템 개발 및 자동화

  • Park, Seon-Ju;Jeong, Dae-Won;Sin, Jeong-Hun;Lee, Jae-Hyeon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47.1-47.1
    • /
    • 2009
  • 관제시스템 중 임무계획시스템은 위성시스템을 이용한 일련의 임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위성의 상태를 고려하여 임무간 상호 충돌이 없도록 최적의 임무계획을 수립하는 시스템이다. 상용화 촬영임무의 증가로 인해 1일 촬영요청수가 증가한다면 임무간 시간충돌 및 자원에 의한 제한 사항을 검증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임무계획 작성의 오류 가능성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 임무계획검증시스템이 제안되고 개발되었다. 임무계획검증시스템은 임무계획시스템과 연동되어 운영되도록 설계되었으며, 검증기능 외에도 교신 스케줄 자동생성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임무계획검증시스템의 주요기능은 임무계획검증, 명령계획검증, 교신스케줄생성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각 모듈에서 생성된 내용은 공통 데이터베이스로 운영된다.

  • PDF

A Case Study of Unmanned Lunar Lander Design (무인 달 착륙선 설계 사례 분석)

  • Rew, Dong-Young;Ju, Gwang-Hyeok;Kim, Sung-Hoon;Lee, Sang-Ryool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8 no.1
    • /
    • pp.62-76
    • /
    • 2010
  • In this paper, recent researches about the unmanned lunar lander development are studied.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rive research trends and to identify key design activities especially in early design phase of unmanned lunar lander. Case study covers SELENE-2 of Japan, LEDA and MoonNEXT of ESA, and small and modular spacecraft approach of NASA. Lunar lander concepts proposed for the International Lunar Network Anchor Nodes are also studied. For each lunar lander program, mission requirements are summarized and mission design results are reviewed. Approaches of safe lunar landing including design of navigation, guidance and control, combination of sensors, derived sensor and propulsion performance requirements are also analyzed.

  • PDF

Development of Mission Analysis Tool for eVTOL Aircrafts of Lift-Tilt Concept (Lift-Tilt 개념의 eVTOL 항공기 임무 분석 도구 개발)

  • Paek, Seung-Kil;Chae, Sanghyun;Kang, Hee J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9 no.10
    • /
    • pp.859-870
    • /
    • 2021
  • KARI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is developing a design framework for the concept and preliminary design of eVTOL aircrafts. A low fidelity mission analysis tool was developed for the eVTOL aircrafts of Lift-Tilt Concept, which have tilt propellers and lift propellers, using open source SUAVE package. For its development, a review for the propeller performance analysis functionality was made. To find the trim solution at each mission segment automatically, an algorithm is implemented, using a global optimization technique through parallel processings and DOE(design of experiment). Using the tool, the one seated eVTOL OPPAV(optionally piloted personal air vehicle) was modeled and evaluated, which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preliminary design data.

The Earth-Moon Transfer Trajectory Design and Analysis using Intermediate Loop Orbits (중개궤도를 이용한 지구-달 천이궤적의 설계 및 분석)

  • Song, Young-Joo;Woo, Jin;Park, Sang-Young;Choi, Kyu-Hong;Sim, Eun-Sup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26 no.2
    • /
    • pp.171-186
    • /
    • 2009
  • Various Earth-Moon transfer trajectories are designed and analyzed to prepare the future Korea's Lunar missions. Minimum fuel trajectory solutions are obtained for the departure year of 2017, 2020, 2022, and every required mission phases are analyzed from Earth departure to the final lunar mission orbit. N-body equations of motion are formulated which include the gravitational effect of the Sun, Earth and Moon. In addition, accelerations due to geopotential harmonics, Lunar J2 and solar radiation pressures are considered. Impulsive high thrust is assumed as the main thrusting method of spacecraft with launcher capability of KSLV-2 which is planned to be developed. For the method of injecting a spacecraft into a trans Lunar trajectory, both direct shooting from circular parking orbit and shooting from the multiple elliptical intermediate orbits are adapted, and their design results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addition, spacecraft's visibility from Deajeon ground station are constrained to see how they affect the magnitude of TLI(Trans Lunar Injection) maneuver.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paper includes launch opportunities, required optimal maneuver characteristics for each mission phase as well as the trajectory characteristics and numerous related parameters. It is confirmed that the final mass of Korean lunar explorer strongly depends onto the initial parking orbit's altitude and launcher's capability, rather than mission start time.

다중임무운영 설계개념

  • Jeong, Dae-Won;Choe, Su-Jin;Jeong, Ok-Cheol;Park, Seon-Ju;Lee, Myeong-Sin;Cheon, Yong-Sik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48.2-48.2
    • /
    • 2009
  • 아리랑위성 2호는 2006년에 발사되어 정상 운영 중이다. 아리랑 위성 5호와 아리랑위성 3호는 각각 2010년과 2011년에 발사될 예정이다. 아리랑위성 2호의 운영시스템은 하나의 위성을 운영하는 개념에 따라서 개발되었다. 그러나 아리랑위성 3호 운영시스템과 아리랑위성 5호 운영시스템은 다중위성운영 개념을 도입하여 개발되고 있다. 다중위성운영 개념이란 (1) 임무를 준비하고 수행하기 위해서 충분한 임무 요소, 시설 요소, 인원 및 운영절차를 확보한다. (2) 각각의 운영시스템은 독자적인 임무 요소, 시설 요소, 인원 및 절차를 소유하나 하위 상세 부분들은 다른 운영시스템과 공유된다. 다중위성운영의 경우에 장비, 서브시스템, 운영절차 등이 다를 수 있고, 독자적인 운영시스템 구성이기 때문에 운영이 복잡하고 운영비용이 많이 든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다중임무운영 설계개념을 제시한다. 다중임무운영 개념은 (1) 임무를 준비하고 수행하기 위해서 최근 수정 및 변경된 임무 요소, 시설 요소, 인원 및 운영절차를 확보한다. (2) 최근 수정 및 변경된 임무 요소, 시설 요소, 인원 및 운영 절차는 이전 개발된 운영시스템이 수행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이러한 개념의 다중임무운영은 비슷한 임무와 기능을 가진 위성들이 같은 운영자와 조직에 의해서 운영될 때 잘 적용될 수 있다. 다중임무운영시스템은 각각의 임무에만 사용되는 모듈과 다른 임무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모듈로 구성된다. 이러한 개념에 따라서 운영시스템을 개발하면 개발하기 위한 시간과 예산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발사 이후 운영의 편리, 운영인력의 효율적인 활용 및 유지보수의 편리성으로 인해서 운영 상황이 크게 개선된다.

  • PDF

Analysis of Dedicated Mission Software Architecture for Unmanned Vehicles for Public Mission (공공임무를 위한 무인이동체 탑재용 임무소프트웨어 구조 분석)

  • Park, Jong-Hong;Choi, Sungchan;Ahn, Il-Yeup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4 no.3
    • /
    • pp.435-440
    • /
    • 2020
  • The application of the unmanned vehicles in various fields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nd the development of a service utilizing unmanned vehicles has been proceeding. As the service market using the unmanned vehicles rapidly increases,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software for performing the mission with unmanned vehicles is increasing. In particular, as the demand for unmanned vehicle utilization services for public missions such as fire detection, mail delivery, and facility management increas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mission software for unmanned vehicle is increasing. To develop common mission software, architecture design should be made so that unmanned vehicle service provider can easily develop software using reusable libraries or functions through analysis commonly required by various public institutions.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research trends of mission software for public mission unmanned vehicles. In addition, the architecture design of developing formal mission software is proposed. Finally, we propose a data transfer architecture between mission software and data platform.

Trans Lunar Injection (TLI) Maneuver Design and Analysis using Finite Thrust (제한추력을 이용한 달 천이(TLI) 기동의 설계 및 해석)

  • Song, Young-Joo;Park, Sang-Young;Kim, Hae-Dong;Lee, Joo-Hee;Sim, Eun-Sup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8 no.10
    • /
    • pp.998-1011
    • /
    • 2010
  • For preparing Korean lunar missions, an Earth-Moon transfer trajectory is designed and analyzed using finite thrust. To be a more realistic scenario, kick motor's performance which is used for TLI (Trans Lunar Injection) maneuver is assumed to have a certain maximum capability. Under this assumption, optimal Earth-Moon transfer trajectory analysis is made from the beginning of Earth departure to the final lunar closest approach. As a results, optimal Earth-Moon transfer trajectory solutions with finite thrust are compared to those of designed with impulsive thrust in previous study. It is confirmed that if the trajectory solutions derived with impulsive burn is directly applied to estimate the finite burn trajectory solutions, careful consideration for finite burn losses must be paid as for TLI maneuver. Presented algorithm and various results will give numerous insights into the future Korea's Lunar missions using finite thrust engines.

발사체별 정지궤도복합위성 추진제버짓 비교연구

  • Park, Eung-Sik;Park, Bong-Gyu;Park, Jong-Seo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78.2-178.2
    • /
    • 2012
  • 정지궤도위성은 발사체에서 위성이 분리된 이후 천이궤도로부터 원하는 목표궤도로 궤도전이를 해야 한다. 또한 임무기간동안 궤도상에서 다양한 교란을 겪게 되며 이로 인해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위성의 위치가 변화하게 된다. 정지궤도위성은 이러한 궤도전이 및 궤도상 위치변화를 제어하기 위한 추진시스템을 장착하고 임무기간에 걸쳐 요구되는 추진제를 탑재해야 한다. 위성의 설계 초기에는 추정되는 위성의 건조질량을 기반으로 하여 궤도전이와 궤도상 임무에 필요로 하는 추진제 버짓을 계산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위성 시스템 설계를 진행한다. 또한 발사체별로 발사체의 성능과 발사장에 따라 근지점고도와 발사 경사각이 모두 상이하므로 발사체가 정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발사체별 추진제 버짓을 계산, 비교하고 추진 시스템의 탱크가 이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정지궤도복합위성의 추정 건조질량과 임무분석을 통해 주어진 ${\Delta}V$와 각 발사체별 궤도전이에 필요한 ${\Delta}V$를 바탕으로 하여 발사체별 추진제버짓을 계산하였고 이를 비교검토 하였다. 이후 이러한 기본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정지궤도복합위성 추진시스템의 추진제 수용가능 여부, 건조질량 증가 여유 등 기본설계를 진행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