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임무 설계

Search Result 680,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Safety Design and Validation of Mission Equipment Package for Korean Utility Helicopter (KUH 임무탑재시스템의 안전성설계 및 검증)

  • Kim, Yoo-Kyung;Kim, Myung-Chin;Kim, Tae-Hyun;Yim, Jong-B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8 no.8
    • /
    • pp.813-822
    • /
    • 2010
  • Integrated data processing for display of flight critical data and mission critical data was conducted without additional display instruments using glass cockpit design. Based on a pre-designed flight critical system and a mission critical system, this paper shows an optimal design of subsystem integration. The design satisfies safety requirements of flight control systems(FCS) and requires minimized modification of pre-designed systems. By conducting integration test using System Integration laboratory(SIL), it is confirmed that the introduced design approach meets the safety requirements of the MEP system.

대전 지상국의 가시성을 고려한 달천이(TLI) 및 달포획(LOI) 기동의 달탐사 최적 궤적 설계

  • U, Jin;Song, Yeong-Ju;Park, Sang-Yeong;Choe, Gyu-Hong;Kim, Hae-Dong;Sim, Eun-Seop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40.2-40.2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달천이(TLI: Trans Lunar Injection) 및 달포획(LOI: Lunar Orbit Injection) 기동 시 대전 지상국의 가시성을 고려한 최적의 임무를 설계하였다. TLI 기동은 탐사선이 지구 주차궤도에서 지구-달 천이궤적으로 진입하기 위하여 주어지는 기동이며, LOI 기동은 탐사선이 지구-달 천이궤적에서 달의 중력권으로 진입하기 위하여 주어지는 기동이다. TLI 및 LOI 기동 시 대전 지상국에서의 가시성의 확보는 실제적인 미래 한국의 달 탐사를 대비하였을 때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TLI 및 LOI 기동 시 대전 지상국에서의 가시성을 모두 고려하여, 최소연료로 지구 주차궤도에서 달 임무궤도 진입까지의 모든 단계에 대해 임무설계를 실시하였다. TLI 및 LOI 기동 시 추력은 순간 추력(Impulsive thrust)로 가정하였으며, KSLV-II 발사체의 성능을 적용하여 설계하였다. 임무 설계 시 태양, 지구, 달의 섭동력을 고려한 N체 운동 방정식을 탐사선에 적용하였으며, 지구의 비대칭 중력장, 태양 복사압, 달의 J2 섭동에 의한 영향도 고려하였다. JPL의 정밀 천체력인 DE405를 사용하였고, 상용 소프트웨어인 SNOPT(Spares Nonlinear OPTimizer)를 이용하여 비행 궤적의 최적해를 도출하였다. 임무 설계 결과를 통해, 대전 지상국의 가시성을 고려한 TLI 및 LOI 기동의 크기에 의한 임무설계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최적화된 달 탐사 임무의 단계별 기동의 크기와 지구-달 천이 궤적의 형상 및 다양한 임무 요소들의 해석을 도출하였다.

  • PDF

Mission Trajectory Design using Three-Body Dynamics (3체 역학 방정식을 이용한 위성 임무 궤도 설계)

  • Chung, Tae-Jin;Lee, Na-Young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5 no.2
    • /
    • pp.50-56
    • /
    • 2010
  • Most mission trajectory design technologies for space exploration have been utilized the Patched Conic Approximation which is based on Hohmann transfer in two-body problem. The Hohmann transfer trajectory is basically an elliptic trajectory, and Patched Conic Approximation consists of Hohmann transfer trajectories in which each trajectory are patched to the next one. This technology is the most efficient method when considering only one major planet at each patch trajectory design.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Patched Conic Approach are more fuel (or mass) needed and only conic trajectories are designed. Recent space exploration missions need to satisfy more various scientific or engineering goals, and mission utilizing smaller satellites are needed for cost reduction. The geometrical characteristics of three-body dynamics could change the paradigm of the conventional solar system. In this theoretical concept, one can design a trajectory connecting around the solar system with comparably very small energy. In this paper, the basic three-body dynamics are introduced and a spacecraft mission trajectory is designed utilizing the three-body dynamics.

다목적실용위성 2호기의 전력용량 예비설계

  • Jang, Sung-Soo;Lee, Sang-Kon;Jang, Jin-Baek;Park, Sung-Woo;Sim, Eun-Sup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 no.2
    • /
    • pp.57-65
    • /
    • 2002
  • The Electrical Power System (EPS) shall supply required power to maintain spacecraft and payload during the mission. The EPS sizing are based on space environment, satellite mission and lifetime, and allocated budgets. The type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pow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satellite design-level and allocated subsystem budgets. The design of EPS has closely related to system and others' subsystems design. To supply the sufficient power to the satellite, the implementation of the larger power source and energy storage is impossible actually. And there will be some problems of the attitude control of the satellite, the handling power capability of the electronic boxes, and launch vehicle selection caused by EPS oversizing. Also, the thermal control is not easy in the space by extra power. And the maintenance of the satellite within the specific orbit from orbit-drag is a big design burden of the thruster. So the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optimize the EPS sizing and to operate the power system efficiently.

  • PDF

다중임무관제를 위한 국내외 관제안테나 사이트용 위성망 통신 설계 연구

  • Hyeon, Dae-Hwan;Lee, Myeong-Sin;Park, Se-Cheol;Yang, Hyeong-Mo;Jeong, Dae-W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58.2-158.2
    • /
    • 2012
  • 2012년 5월 18일 일본 다네가시마 발사장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된 아리랑위성 3호가 정상 궤도 진입을 성공하여 앞으로 4년간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2006년 7월 발사되어 3년간의 설계수명에 대한 임무 완수와 2차 연장 임무를 수행중인 아리랑위성 2호와 함께 임무관제국에서는 아리랑위성 2호와 3호를 보유하게 되었다. 향후발사 예정인 아리랑위성 5호와 3A 등을 포함할 경우 위성 증가에 따르는 관제 명령 수량을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해 국내외 관제 안테나 사이트를 추가로 구축 글로벌 지상관제안테나 망이 요구됨에 따라, 지리적으로 접근이 용이하고 기후가 혹독하지 않아서 안정적으로 운영 가능한 국내외 관제안테나 사이트가 필요하다. 또한, 아리랑위성시리즈를 위한 국내외 안테나사이트 구축 시 임무관제국과 관제 안테나 사이트 간에는 위성과의 교신 시 안정적인 통신링크 확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리적인 여건으로 일반적인 지상 네트워크 통신을 구축할 수 없는 경우에 고려 가능한 위성 통신망을 이용한 설계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 PDF

Expandable Framework Design for Flight Mission Support System Using Plug-In Method (Plug-In 방식을 이용한 확장 가능한 비행임무지원체계 프레임워크 설계)

  • Kang, Jung Hun;Kim, Hye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228-231
    • /
    • 2010
  • 첨단 항공기와 더불어 효과적인 조종사의 임무수행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인 비행임무지원체계의 개발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높은 개발 수준을 요구하고 있는 고도의 소프트웨어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있어 상호 연동성과 재사용성의 도입은 개발에 필요한 많은 시간을 줄이고 보다 효율적인 구조설계를 통해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여러 복합적인 기능을 지원하는 항공기 특성상, 새롭고 다양한 기능을 접목한 비행임무지원체계의 개발은 빈번한 기능요구를 반영하기에는 개발 여력상 힘든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확장 가능한 구조설계를 위해 Plug-In 을 통한 기능 확장을 구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비행임무지원체계 프레임워크의 설계 및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nalysis and Design of the Generic Mission Operations System (통합지향형 임무운용시스템 분석 및 설계)

  • Jung, Ok-Chul;Kim, Hae-Dong;Choi, Su-Jin;Chung, Dae-Won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8 no.2
    • /
    • pp.127-132
    • /
    • 2009
  • This paper represents the analysis and design of the generic mission operations system for next generation satellite mission. In the past, mission operations systems were developed by their own mission requirements respectively. However, these systems have the similar architecture and common functions. Mission operations systems, in general, consist of mission independent module and mission specific module. In this paper, the generic framework for the mission scheduling and automation are introduced and analyzed. Using these generic frameworks, the risk and cost for operations system development can be reduced significantly. And, these frameworks might be used for the core technology in the development of mission operations system in the future.

  • PDF

Mission Analysis Involving Hall Thruster for On-Orbit Servicing (궤도상 유지보수를 위한 홀추력기 임무해석)

  • Kwon, Kybeo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8 no.10
    • /
    • pp.791-799
    • /
    • 2020
  • Launched in October 2019, Northrop Grumman's MEV-1 was the world's first unmanned mission demonstrating the practical feasibility of on-orbit servicing. Although the concept of on-orbit servicing was proposed several decades ago, it has been developed to various mission concepts providing services such as orbit change, station keeping, propellant and equipment supply, upgrade, repair, on-orbit assembly and production, and space debris removal. The historical success of MEV-1 is expected to expand the market of on-orbit servicing for government agencies and commercial sectors worldwide. The on-orbit servicing essentially requires the utilization of a highly propellant efficient electric propulsion system due to the nature of the mission. In this study, the space mission analysis for a simple on-orbit mission involving Hall thruster is conducted, which is life extension mission for geostationary orbit satellites. In order to analyze the mission, design space exploration for various Hall thruster design variable combinations is performed. The values of design variables and operational parameters of Hall thruster suitable for the mission are proposed through design space analysis and optimization, and mission performance is derived.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further improvement for the current on-orbit mission analysis process and space mission analysis involving Hall thruster is reviewed.

Development of Korean Preliminary Lunar Mission Design Software (한국형 달탐사 임무 예비 설계 소프트웨어의 개발)

  • Song, Young-Joo;Park, Sang-Young;Choi, Kyu-Hong;Shim, Eun-Seop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6 no.4
    • /
    • pp.357-367
    • /
    • 2008
  • Preparing for future Korean Lunar missions, preliminary Lunar mission design software is developed using a impulsive thrusting method. Developed software is capable of design and analysis every required mission phases to design Lunar mission, including the Earth departure, Lunar transfer, Lunar arrival and mission operation phases. Also, assuming that KSLV-II is selected as a launch vehicle, future Korean Lunar explorer's mass budget is estimated based on driven optimal trajectory characteristics. Tracking analysis is also performed using Deep Space Network including angle geometry analysis between Earth - Moon - Lunar explorer - Sun which are very important for communication, solar panel pointing strategy and eclipse analysis when Lunar missions are under designing phase.

Framework Design for Korean Flight Mission Support System Development (한국형 비행임무지원체계 개발을 위한 프레임워크 설계)

  • Jung Hun Kang;Ju Seok Yang;Sung Won Kim;Young Min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441-444
    • /
    • 2008
  • 효과적인 조종사의 임무수행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인 비행임무지원체계가 현대 항공작전의 필수 요소로 주목 받고 있다. 첨단 항공기를 위한 비행임무지원체계의 개발을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높은 개발수준을 요구하고 있으나, 국내 실정은 기본 프레임워크 조차 없는 단일 응용 프로그램 개발 수준에 불과하다. 따라서 차기 항공기를 지원하는 향상된 한국형 비행임무지원 체계를 개발함에 있어, 재사용이 가능하며 품질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프레임워크의 개발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한국형 비행임무지원체계의 개발에 적합한 개발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이에 따른 비행임무지원체계의 프레임워크의 설계 및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