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목적실용위성 2호기의 전력용량 예비설계

  • Published : 2002.11.01

Abstract

The Electrical Power System (EPS) shall supply required power to maintain spacecraft and payload during the mission. The EPS sizing are based on space environment, satellite mission and lifetime, and allocated budgets. The type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pow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satellite design-level and allocated subsystem budgets. The design of EPS has closely related to system and others' subsystems design. To supply the sufficient power to the satellite, the implementation of the larger power source and energy storage is impossible actually. And there will be some problems of the attitude control of the satellite, the handling power capability of the electronic boxes, and launch vehicle selection caused by EPS oversizing. Also, the thermal control is not easy in the space by extra power. And the maintenance of the satellite within the specific orbit from orbit-drag is a big design burden of the thruster. So the various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to optimize the EPS sizing and to operate the power system efficiently.

위성의 전력시스템은 임무기간 동안, 성공적인 임무수행을 위하여 위성의 탑재체와 위성버스에 충분한 전력을 공급하여야 한다. 전력시스템의 설계는 위성이 임무를 수행할 우주환경, 임무기간, 임무특성, 그리고 할당된 예산 등에 따라 설계의 방향이 결정된다. 즉, 1차 전력원으로 사용할 태양전지의 선정, 2차 전력원인 배터리의 선정, 그리고 각 전장품의 사양이 임무특성과 예산에 따라 결정된다. 위성의 전력시스템 설계는 다른 시스템의 설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보다 많은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차 및 이차 전력원을 크게 설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위성의 필요한 전력보다 크게 설계된 전력시스템은 1차 및 2차 전력원의 잉여전력에 따른 열 발생문제, 임무수행에 따른 자세제어 문제, 각 전장품의 전력 용량 문제, 그리고 발사체의 선정 및 발사비용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특히, 저궤도의 경우에는 orbit drag 현상에 따른 위성의 궤도 유지보수를 위하여 추진제의 용량설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전력시스템의 최적설계와 효율적인 운용을 위한 여러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