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대

검색결과 1,323건 처리시간 0.028초

다가구매입임대주택과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의 사회적 배제 실태조사 연구 (A Study on Social Exclusion of Residents Livng in 'Da-Ka-Gu' Rental Housing and Permanent Rental Apartments)

  • 김미희;노세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91-10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al exclusion of 'Da-Ka-Gu' rental housing and permanent rental apartments and to provide basic source of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ctual conditions of social exclusion.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212 dwellers in 'Da-Ka-Gu' rental housing and permanent rental apartments in the city of Gwangju from July to October of 2010. The main findings are: 1. The social exclusion of physical deficiency dimension composed of income and employment has been found to be the most serious level, compared to all the other dimensions. 2. The social exclusion from health has been found to be the highest level in the dimension of the approach to social rights. The next highest level has been found to be the social exclusions from residential areas and education and service areas. 3. The level of social exclusions from the areas of family relations and social relations, which are in the dimension of social participation, has been found to be next highest to the level of physical deficiency dimension. 4. The level of exclusion from cultural and normative integration has not been found to be of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residence in this study. This stud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social exclusion among residents living in 'Da-Ka-Gu' rental housing and permanent rental apartments suggests the necessity and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policy measures of social integration for the residents of lowincome housing.

다가구매입임대주택과 영구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환경 및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이용 실태 (Housing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Usages of Community Welfare Services among Residents in 'Da-Ka-Gu' Rental Housing and Permanent Rental Apartments)

  • 김미희;노세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133-14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ther baseline data to be used for improving housing environments and developing welfare policies for low-income groups by identify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housing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in the usages of community welfare services between the dwellers of Da-Ka-Gu rental housing and those of permanent rental apartment. This multifaceted diagnosis currently being undertaken can be utilized through the lowincome housing planning and welfare policies as the basis for future policy formulation.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by 212 dwellers in Da-Ka-Gu rental housing (104) and permanent rental apartments (108) in the city of Gwangju from July to October of 201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dwellers living in both Da-Ka-Gu rental housing and permanent rental apartments are satisfied with their housing environment. Specifically, a higher satisfaction with transportation and a lower satisfaction with neighbor's inter-relationships were evident. The dwellers of Da-Ka-Gu rental housing appear to be more satisfied with community spaces and housing management than those of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s, whereas the latter appear to be less satisfied with the noise of the housing complex than the former. 2. Of the community welfare service programs, a higher usage is shown for meals service, free health screenings, home repair, and after-school learning programs among all residents in the two housing types. In particular, for the residents of Da-Ka-Gu rental housing, the children's education and parent education programs are more popular, whereas for those of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s, the housekeeping services and health services utilization are highest.

장기공공임대주택 주민의식조사를 통한 주거환경개선방향 설정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through the Residents Survey in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 이지은;윤영호;김유정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1호
    • /
    • pp.65-75
    • /
    • 2013
  • 노후 공공임대주택은 노후화 관리를 위해 주거환경개선을 지속적으로 시행하며 최근 3년간 시설개선사업을 통해 기본적인 노후화 관리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주거단지 노후화에 따른 주거환경요소의 개선 요구도 및 현 주거환경 만족도 조사를 통해 기 시행된 시설개선사업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추후 시설개선사업의 계획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장기공공임대주택의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만족도 및 중요도에 대해 평균값 분석을 하고 항목간의 유형구분을 위해 요인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주거환경개선 항목으로 도출한 공용 공간 29개 항목을 6개의 요인으로 구분하고, 세대 내부 공간 28개 항목을 4개의 요인으로 구분하여 만족도 및 중요도에 대한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결론적으로 주민의식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추후 시설개선 사업을 중심으로 타 주거환경개선사업과 연계한 추진방향을 제안하였다.

주거비 과부담 결정요인 (The Determinants of Housing Affordability)

  • 임세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3호
    • /
    • pp.29-50
    • /
    • 2016
  • 본 연구는 주거비과부담 결정요인을 가구와 주거 특성뿐만 아니라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전국 약 2만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4년 주거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위계적 일반 선형 모형으로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가구주가 남성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월세가구일수록, 주거환경에 만족할수록, 주거비과부담의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반면에 가구소득이 증가할수록, 기초보장가구일수록, 최저주거기준미달일수록, 전세가구일수록 주거비과부담 가능성이 감소하였다. 주거비과부담여부에는 유의미한 지역간 분산이 존재하였으며, 지역의 평균 월임대료와 중위 주택가격이 높을수록 개별가구의 주거비과부담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또 공공임대주택비율이 전국평균보다 높은 지역만을 추가분석한 결과 지역의 공공임대주택비율이 증가하면 개별가구의 주거비과부담 가능성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주거비과부담 위험에 노출된 가구 및 주거 특성을 알 수 있었으며 주택가격 상승 억제 및 임대료 규제의 필요성과 공공임대주택 확대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주거복지정책에 대한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 PDF

가격영향요인과 건설제도를 활용한 건설사업 유형분류 체크리스트 제안 - 노후공공임대주택 중심으로 - (Proposed a Checklist for the Classification of Construction Business Model by Utilizing the Price Influence Factors and the Construction Regulation - As Focus on Aged Public Rental Apartment -)

  • 박성식;배병윤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132-141
    • /
    • 2019
  • 1990년대 한국의 건설 시장은 GDP대비 20%를 상회하며 계속해서 성장해 왔다. 2015년에는 30년 이상의 노후 공동주택이 403만호에 이르렀고, 2019년 현재까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특히 공공임대 주택의 비율은 한국 전체 노후공동주택의 90.6%를 차지한다. 리모델링 및 재건축 등 건설사업의 타당성 검토 전에 활용이 가능한 사업유형 분류기준을 가격영향요인분석과 주택 건설 관련제도의 분석을 통해 체크리스트를 제시하였다. 공공임대주택의 가격영향요인 32개와 주택건설제도 기반 20개 지표를 사례적용 한 결과 대상단지는 재건축사업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56개 단지에 확대 적용해본결과 22개단지가 리모델링이 적합한 단지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임대주택 건설환경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후공동주택 성능향상에 활용가능하고, 특수성을 시사하는 것에 충분한 의미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체크리스트의 정량화를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대규모 협동조합형 임대주택 입주예정자의 공동체 의식과 공동체 프로그램 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munity Sense and Needs of Community Programs for Large-scale Cooperative Rental Housing Resident)

  • 김란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81-591
    • /
    • 2021
  • 본 연구는 대규모 협동조합형 임대주택의 입주예정자가 느끼는 공동체 의식과 공동체 프로그램의 요구를 파악하여 대규모 협동조합형 임대주택의 건축계획방향을 설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위스테이별내 모델하우스 방문자와 입주예정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모델하우스 방문자는 20대와 30대가 가장 많았으나, 입주예정자는 30대가 가장 많았다. 모델하우스 방문자 대부분은 현재 공동체 활동에 참여하지 않으나, 입주예정자는 주1회 정도 이웃과 교류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입주예정자들은 운동시설과 육아관련 시설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생활협동조합 및 아이돌봄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다. 다만, 연령별로 요구하는 이웃의 범위, 만남정도, 공동시설 및 요구 프로그램이 달랐다. 본 연구는 방문자와 입주예정자가 동일한 설문을 실시하지 않은 점, 수도권에 한정된 하나의 사례만을 분석한 점이 한계이며, 입주 후의 공동체 의식과 운영 중인 공동체 프로그램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중요도-성취도 분석(IPA)을 통한 고령자용 국민임대주택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김제 하동 고령자용 국민임대주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ational Rental Housing for Elderly through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Focused on National Rental Housing for Elderly in Ha-dong, Kim-Jae -)

  • 김상희;문지원;김주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10
    • /
    • 2010
  • This study aims to propose alternatives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al of National Rental Housing for Elderly. To proceed the study, we draw elements of plan for apartment housing for Elderly through literature review, explore actual conditions of residential environment on National Rental Housing for Elderly in Ha-dong, Kim-Jae, do IPA analysis using survey data, and finally, propose prior alternatives for the improvement of National Rental Housing for Elderly based on IPA analysis results. In the results, a lot of the planning elements of apartment housing for Elderly was applied for this site. But living conditions of residents need to be improved based on the result that importance (3.55) is higher than performance (3.18). this study is critical in drawing the direction of plan and improvement alternative by surveying actual residents, and will be used as the source for the National Rental Housing for Elderly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