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임계응력

Search Result 22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Buckling and Limit Width-Thickness Ratios of Steel Columns under Compression at Elevated Temperatures (온도 상승에 따른 압축강재의 좌굴 및 한계 판폭두께비)

  • Kang, Seong-Deok;Kim, Jae-Uk;Choi, Hyun-Sik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12 no.3
    • /
    • pp.55-62
    • /
    • 2012
  • 본 연구는 온도 증가에 따른 압축을 받는 H형 강재의 플랜지와 웨브의 국부 및 전체좌굴응력 내화해석 프로그램 개발과 플랜지와 웨브가 항복파괴전에 국부좌굴이 일어나지 않을 한계 판폭두께비의 상관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고온에서의 강재의 응력-변형도 관계식은 EC3:Part 1.2를 근거로 하였으며, 비교, 검토를 위하여 영국 BS5950의 강재를 대상으로 온도 증가에 따른 압축을 받는 강재의 플랜지와 웨브의 파괴온도와 하중을 본 연구의 내화해석 프로그램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좌굴 및 항복에 대한 내화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적용 예를 통하여 좌굴 및 한계 판폭두께비를 분석하고 개발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천연고무 가류물의 반복대신장피로에 주는 아민계 열화방지제의 효과

  • DaeEum Hak;DeungJeong Ui-Hong;SangJeon Im;ChonSang Sin-Ja
    • The tire
    • /
    • s.65
    • /
    • pp.10-17
    • /
    • 1976
  • 아민계열화방지제(이하 아민이라고 한다)를 첨가한 천연고무 순고무가유물에 대해서 고온으로 반복대신장피로를 주어서 응력변화, 피로수명에 주는 열화방지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아민첨가시료에 대해서 고온으로 반복 신장피로를 가하면 무첨가시료와 동양, 화학응력 연화가 출현했다. 아민첨가시료의 화학응력연화의 임계온도는 NR-DPG로 110℃, NR-MBTS로 110℃, NR-TT로 130℃이며 가교구조의 내열성에 일치하며 무첨가시료의 임계온도보다도 10~30℃높아졌다. 아민첨가시료의 반복신장피로수명은 60℃로 극대화 되어 (NR-DCP만이 40℃이었으나) 무첨가시료의 피로수명은 40℃에서 극대화됐다. 전보에서 보고한 피로수명과 변형률과의 관계식(F=A(εb-ε)n)은 100℃에서 아민첨가시료에 대해서만이 성립하고 무첨가시료에 대해선 성립되지 않았다. 이들의 결과는 아민을 고무에 첨가함으로써 고무의 열산화반응이 억제되었음에 원인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 PDF

Rheological Implications of mesomorphic Order in the Ly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 Systems (유방성 액정고분자계에 있어서 중간상의 분자배열 규칙성의 유변학적 해석)

  • 김병철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9 no.4
    • /
    • pp.200-205
    • /
    • 1997
  • 등방상에서는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PPD-T)와 히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 스(HPC)가 비슷한 유변학적 거동을 보였다. 그러나 이방성에서는 네마틱상을 형성하는 PPD-T와 콜레스테릭상(또는 꼬인 네마틱상)을 형성하는 HPC는 상이한 유변학적 특성을 나타냈다. 이방상을 나타내는 임계농도(C*)이상의 농도에서 Herchel-Bulkey 모델에 의해 얻 어진 항복응력을 보면 HPC의 경우 농도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값을 나타낸 반면PPD-T 의경우에는 농도증가와 더불어 항북응력값이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PPD-T가 일\ulcorner거으로 HPC보다 큰값의 항복응력을 나타냈다. 진동수 1 rad/s 에서는 PPD-T와 HPCahen 탄성계 수 G'/2G"가 농도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엿다. 그러나 100rad/s 에서는 HPCdmlruddn 임계농도이상의 농도에서 농도증가와 더불어 탄성계수값이 단순감소한 반면 PPD-T의 경우 에는 포화농도(B-point)이상의 농도에서 농도증가와 더불어 탄성계수값이 계속적으로 증가 하였다. HPC의 경우 저장탄성률이 변형정도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PPD-T의 경우에는 저장탄성률이 변형정도에 매우 민감하였다.

  • PDF

Progression of Atherosclerosis After Angioplasty (혈관 성형술후 동맥경화의 재발생)

  • Kwon, Hyuck-Moon;Lee, Byoung-Kwon;Suh, Sang-Ho;Roh, Hyung-Woon;Kim, Gye-Young;Lee, Na-Young
    • 순환기질환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2a
    • /
    • pp.25-26
    • /
    • 2005
  • 동맥경화의 재발생 위치는 속도와 전단응력 등과 같은 혈류역학의 인자들의 영향을 많이 받는 혈관형태를 가진 영역이다. 이러한 결과는 관상동맥에 동맥경화의 발생빈도를 조사한 결과와 일치하고 있으며, 즉 좌전 하행지, 회선지, 및 우관동맥 등의 동맥경화성 병변 발생빈도에서 좌전하행지가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동맥경화의 발생 및 재형성은 혈관의 동맥경화성 위험지역의 형태적 특징, 즉, 분지부의 위치, 길이, 각도의 변화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동일한 관상동맥이더라도 동맥경화의 발생이 용이한 형태가 있는데, 혈관의 형태학적 특성에 따란 혈류역학적 특성이 달라지고 동맥경화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나 진행과정이 차이가 날 수 있음을 말한다. 특히 임계치를 넘는 고전단응력은 혈관내피세포를 파괴하거나 손상을 주며, 반대로 임계치 미만의 저전단응력은 혈류의 정체시간을 길게 하여 양쪽 모두 동맥경화성 생물학적 반응을 유발 할 수 있며, 고전단응력과 저전단응력의 빈번한 맥동성 변화작용으로 혈관이 손상될 수 있는 한계범위를 넘어서게 될 때 내피세포의 방어체계를 파괴시키거나 혈관성형술후의 신내포세포 형성과정에서 생물학적 활성반응을 촉진하게 되는 환경을 제공하게 되어 동맥경화를 촉진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임계치 이상의 고전단응력이 나타나는 형태와 입구경계조건이 발생되면 내피세포 손상에 따른 혈전 현상의 발생가능성이 높아지며, 임계치 미만의 저전단응력이 발생되면 동맥경화성 죽상반 재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한다. 결론적으로 동맥경화의 재발생의 기전은 변형된 혈관의 형태학적인 차이와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혈류역학적 유발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제공하는 데에서 출발한다고 할 수 있다.$8.0{\sim}8.3$으로 알카리 쪽으로 이동하였다. 파일롯트 규모로 본 고정화 효소 충전탑(내경 30cm, 높이 85cm)에 의한 이성화당의 생산을 시도하였던바, 고정화 효소(350 IXIU/ml-R) 1리터가 30일동안에 약 293리터의 이성화당을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l plane에서 선수군(選手群)이 $62.7{\pm}7.36^{\circ}$로서 비선수군(非選手群)과 별(別) 차이(差異)가 없었고, horizontalplane에서는 선수군(選手群)이 $-23.5{\pm}7.2^{\circ}$로서 비선수군(非選手群)의 $-38.8{\pm}8.2^{\circ}$에 비(比)해 유의(有意)하게 높았으며 운동후(運動後) 양군(兩群) 모두 유의(有意)하게 높았다. QRS vector 길이에서 Frontal plane에서 선수군(選手群)이 $13.86{\pm}1.44\;mm$로서 비선수군(非選手群)의 $9.62{\pm}0.97\;mm$에 비(比)해 유의(有意)하게 높았으며 운동후(運動後)에도 유의(有意)하게 높았다. Horizontal plane에서도 선수군(選手群)이 $19.82{\pm}2.10\;mm$로서 비선수군(非選手群)의 $16.90{\pm}1.39\;mm$에 비(比)해 유의(有意)하게 높았고 운동후(運動後)에도 선수군(選手群)이 유의(有意)하게 높았다. 이상(以上)을 종합(綜合)해 보면 선수군(選手群)의 R파고(波高)가 비선수군(非選手群)에 비(比)해 운동후(運動後) 계속(繼續) 유의(有意)하게 높았고, $Rv_5$

  • PDF

Zr-2.5Nb 합금의 하중방향에 따른 지연수소균열

  • 권상철;김영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7.05b
    • /
    • pp.153-158
    • /
    • 1997
  • Zr-2.5%Nb 합금에서 응력방향에 따른 DHC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판상의 CT시편을 이용하여 수소를 200 ppm 주입하고 응력을 압력관의 길이 방향으로 가하고 notch를 윈주방향으로 한 경우와 원주방향으로 응력을 가하고 notch를 길이 방향으로 한 경우의 균열전파속도를 측정하여 본 결과 길이 방향으로 응력을 가하였을 때 균열전파속도가 1/100 정도 감소하였으며, 균열발생을 위한 임계응력확대계수도 커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균열전파 방향도 원주방향으로 응력을 가하였을 때는 균열이 precrack을 따라 그대로 진행되었으나, 응력을 길이 방향으로 가하였을 때는 precrack을 따라 균열이 전파되지 못하고 균열분리 현상을 보였다 이것은 원래 모재가 보유하고 있는 집합조직과, 응력에의하여 수소화물이 재배열할 때 기존의 a상에서의 특정 방향 관계를 유지하여 석출함으로써 균열이 수소화물을 따라 전파됨이 원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응력을 원주방향으로 가하였을 때 균열주위에 수소화물이 길게 석출하지만, 응력을 길이 방향으로 기하였을 때는 수소화물이 20$\mu\textrm{m}$ 정도의 작은 크기로 분리된 균열과 같은 방향으로 분포하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이로부터 집합조직을 개량함으로써 DHC저항성에 대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고 DHCV model에서 방향성을 수소화물의 재배열인자로부터 고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 PDF

Local Buckling Behavior of Cold-Formed Channel Columns under Compression at Elevated Temperatures (압축을 받는 냉간성형 C-형강 기둥의 온도상승에 따른 국부좌굴 특성)

  • Baik, Tai Soon;Kang, Sung Duk;Kang, Moon My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6 no.4 s.71
    • /
    • pp.433-442
    • /
    • 2004
  • This paper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a computer program to analyze elastic local buckling stress based on Eurocode 3 Part 1.3 for the flange and web of cold-formed channel columns under compression at elevated temperatures. The high-temperature, stress-strain relationships of the steel used in this paper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Eurocode 3 Part 1.2. The critical temperatures and the elastic local buckling stresses of cold-formed channel columns under compression at elevated temperatures were analyzed with the computer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Analysis examples were given to show the applicability of the computer program.

Damage Tolerance Assessment for Fatigue-Critical Locations of Wing Structure of Aged Aircraft (장기운영 항공기 주익 구조물 피로임계부위의 손상허용평가)

  • Chun, Young-Cheol;Kim, Won-Cheol;Jin, Ji-Won;Chung, Tae-Jin;Kang, Ki-Weo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41 no.2
    • /
    • pp.129-136
    • /
    • 2017
  •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damage tolerance of the wing structure of aged aircraft with long-term service through the fatigue crack growth analysis and tests. For the fatigue-critical locations (FCL) W2 and W4 in the wing structure, the fatigue stress spectrum was derived based on a previous study. Thereafter, a crack propagation analysis for the FCLs was conducted using the commercial software $NASGRO^{TM}$. The algorithm for the fatigue stress spectrum was verified. Fatigue crack growth tests were then performed for two types of specimens: Type #1 was extracted from the wing structure of aged aircraft, and Type #2 wa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wing structure. By comparing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se specimens, we assessed the damage tolerance of the wing structure of aged aircraft with service time.

Thermo-Mechanical stress analysis for partial or entire crack closure (크랙의 부분 또는 완정닫힘에 관한 열 및 기계적 응력해석)

  • Lee, Kang Y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5 no.3
    • /
    • pp.193-198
    • /
    • 1981
  • Muskhelishvili 의 복소수방법에 의해 일반적 하중 즉 열 및 기계적 하중을 받는 무한 탄성체내에 공동을 가정하고 그 주위의 응력 및 변위를 유도하였다. 선형트랙(line rack)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정히 닫힐 임계하중조건과 그때의 응력세기 계수 (stress intensity factor)를 McClintork와 Walsh 의 크랙닫힘에 관한 결정에 기초를 두고 해석학적으로 유도하였다.

An Electrorheological (ER) Study on the Silica Suspensions (실리카 현탁액의 전기유변학적 연구)

  • 주상현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6 no.1
    • /
    • pp.49-59
    • /
    • 1994
  • 높은 전기장 하에서 다분산, 비구형 실리카/실리콘 오일 현탁액의 전기유변 (electrorheological, ER)현상을 살펴 보았다. 전기유변유체는 전기장 방향으로 사슬구조를 형 성하는 특성을 보이며 이것이 유변물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동적(dynamic) 상태 실험에서 전기장 하의 실리카 현탁액은 매우낮은 임계변형율(${\gamma}$c =0.1%)이상에서 비선 형 점탄성을 보였다. 저장탄성계수(G')는 변형율 변화에 손실탄성계수(G")는 매질의 점도 에 더 민감한 의존성을 보였다. 또한 겉보기 항복응력은 입자의 부피분율과 전기장에$\Phi$1.9E1.4 의 의존성을 보였는데 부피분율에 대한 의존성이 큰 이유는 0.1 이상의 부피분율에서 복합 사슬 구조 내의 입자들 간의 상호 정전효과가 지배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정상상태 실험에서는 부피분율이 크거나 높은 전기장 하에서 전단속도가 0.1sec-1 정도 이하 로 감소함에 따라 전단응력이 급겨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그러므로 본질적인 동적 항 복응력을 얻기 위해서는 매우 낮은 전단속도 영역의 특이한 응력거동을 고려해야한다. 큰 전단속도 하에서는 hydrodynamic interaction의 영향으로 전단속도의 증가에 따라 전단응력 이 증가하였다. 이같은 전단응력의 거동을 계단전단실험으로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