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주활동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5초

초파리집단의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ies of Drosophila Populations in Korea)

  • 이택준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20
    • /
    • 1962
  • 1. 1957년 8월 7일부터 18일까지 계룡산에서 고도차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고도별 4 지점에서 과물 (복숭아, 도마도) trap를 사용하여 오전 6시와 오후 6시에 동시에 초파리를 채집하였다. 그리고 sweeping 도 하여 총 33 종을 채집하였는데 다음종들은 높은 지점에서 발견되었다. Microdrosophila purpurata, Mycodrosophila basalis, Parascaptomyz disticha, Scaptomyza aplicalis , Drosophila histrioides, D.difasciata, D.histrio. 그리고 초파리의 성비가 고도에 따라 변동하였음을 관찰하였는데 특히. D. suzukii 는 저지에서 충이 현저히 많았던 것이 700미 고지에서는 거의 1 : 1의 성비를 보여주었다. 300 미높이의 (B) 지점에서 D.lacertosa 와D. Coracina 의 일주기활동은 반대적이었는데 D.lacertosa 는 습도가 높은 아침에 주로 활동하고, D.coracina는 이와 반대로 주로 오후에 활동하고 있음을 알았다. 2. 초파리 집단의 계절적 변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1958년 4월부터 11월까지 매일 중순삼일씩 공주잠업시험소구내 상전에서 그리고 동년 5월 터 11월까지는 매일 초순삼일식 계룡산에서 각각 5개의 과물 trap를 설치하고 비교관찰하엿따. 매월 초파리종들의 계절적 변동은 3 표와 4 표에 기재된 바와같다. 특히 D.auraria는 두장소에서 우점종이었는데 공주잠업시험소구내 상전에서는 9월에 최고에 달했고, 계룡산에서는 8월에 최고에 달하는 unimodality를 표시하였다. 3 . 초파리의 일주기활동을 조사하기 위하여1959년 6월부터 10월까지 공주잠업시험소구내 상전에서 매월 2일간씩 2시간마다 채집을 하였다. 이 지방에서 우점종인 D.auraria 는 매월 일주기활동에 있어서 bimodality를 형성하였는데 9, 10월에는 두 peak는 서로 근접되었다. 그리고 6월 26일 2시간마다 sweeping 법으로 채집한 D.auraria의 일주기활동도 비교연구하였는데 거의 같은 현상을 나타냈다.

  • PDF

거베라에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일주활동과 황색 끈끈이트랩 높이별 부착수 비교 (Diel Flight Activity of Liriomyza trifolii(Burgess) and Heights of Yello Sticky Traps in Gerbera)

  • 송정흡;강상훈;이미경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53-156
    • /
    • 2000
  • 잎굴파리를 예찰할 때 이용하는 황색 끈끈이 트랩의 최적 설치 높이를 밝히기 위하여 트랩을 3단계의 높이로 설치하여 4회에 걸쳐 높이별 부착수를 조사하였다. 거베라에서 트랩의 설치 높이는 작물과 같은 높이로 설치했을 때가 그 위 30cm, 60cm에 설치했을 때보다 잎굴파리의 유인량이 많았다. 시간대별 잎굴파리의 행동향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황색 끈끈이 트랩을 작물높이에 설치한 후 1시간과 2시간 간격으로 일주활동을 조사하였다. 5월 조사에서 08~10시와 14~18시에 두 번의 피크가 나타났으며 7월 조사에서는 08시까지 잡힌 잎굴파리가 가장 많았고, 10월 조사에서는 12~14시에 가장 많이 잡혔다 잎굴파리의 배행활동에는 온도뿐만 아니라 일사강도 등 다른 환경요인도 작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황색 끈끈이트랩에는 암컷보다 수컷이 트랩의 높이나 시간에 관계없이 더 잘 유인되었다.

  • PDF

일주기와 관련된 솔껍질깍지벌레 암컷성충의 성훼로몬 체내생산 및 발산 (Daily Rhythm of Pheromone Production and Release by Females of the Black Pine Base Scale, Matsucoccus thunbergianae (Homoptera: Coccoidea: Margarodidae))

  • 박승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4-99
    • /
    • 1991
  • 솔껍질깍지벌레 암컷성충의 일주기와 관련된 성훼로몬의 체내생산과 발산 습성을 밝히기 위하여 우화후 시간별로 성훼로몬의 보유량 및 발산량을 조사하였다. 체내 생산량 및 발산량은 공히 매일 오전 8시부터 오후 2시사이에 가장 많았으며 오후 4시 이후는 현저히 줄어드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또한 우화후 3일이 경과하면 점점 감소하였다. 본 곤충의 생식활동에 있어 성훼로몬의 발산과 암수성충활동의 일주기가 일치하는 것의 의미가 검토되었다.

  • PDF

일주기 유형의 평가와 이해 (Assessment and Understanding of Chronotype)

  • 김소민;김석주
    • 수면정신생리
    • /
    • 제26권1호
    • /
    • pp.5-15
    • /
    • 2019
  • 일주기 유형의 차이는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기존 연구결과들에 따르면 일주기 유형 중 아침형이 몇몇 정신장애의 보호요인인 반면 저녁형은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아침형에서 나타나는 습관들은 저녁형보다 더 건강하다. 성인의 생활양식을 형성하는 과정에 있는 청소년 시기와 생활습관과 관련된 건강 문제가 잦아지는 노년기에 일주기 유형의 중요성이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일주기 유형을 생물-심리-사회적 건강 모델에 포함시켜 보다 효율적인 예방 및 치료적 접근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정신장애 치료에서도 일주기 리듬을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취침-기상, 식사, 그리고 일상 활동을 규칙적인 아침형 패턴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광치료(light therapy)와 멜라토닌 주입(melatonin administration)과 같은 전략들도 정신장애의 치료 및 재발 방지에 효과적일 수 있다. 일주기 유형 기저의 유전학을 이해하는 것 또한 어떤 사람이 특정한 생활 양식이나 정신장애에 취약한지 구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한국인들의 고강도 신체활동(일)과 음료 섭취빈도 간의 관계 (Relation between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Work) and Beverage intake Frequency among Korean)

  • 박해령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1호
    • /
    • pp.85-93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에서 고강도 신체활동(일)과 음료수 섭취 빈도와의 관계성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2021년 제8차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데이터 자료 분석은 집단 간 평균 차이, χ2-test,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p<0.05). 탄산음료는 그룹 중 63.6%가 일주일에 한 번 이하로 섭취하였고, 에너지 드링크는 68.6%가 일주일에 한 번 이하로 섭취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강도 신체활동(일)을 하는 그룹에서 탄산음료와 에너지 드링크가 더 자주 소비되었으며, 대부분의 음료수가 일주일에 한 번 이하로 섭취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고강도 신체활동(일)을 할 때 탄산음료와 에너지 드링크를 대체할 만큼 건강에 이로운 음료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음료수 섭취보다는 건강에 이로운 새로운 접근 방식을 탐구하고 건강증진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낙동강 수계 대가천의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 (Pisces: Bagridae)의 일주기 활동 및 식성 (Diel Activity and Feeding Habitat of Pseudobagrus brevicorpus (Pisces: Bagridae) in the Daegacheon Stream of Nakdonggang River, Korea)

  • 곽영호;김강래;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4-61
    • /
    • 2019
  • 꼬치동자개 Pseudobagrus brevicorpus의 일주기활동과 식성에 관한 연구를 낙동강 지류인 대가천에서 실시하였다. 일주기 활동은 일몰 직후와 일출 전에 2회에 걸쳐 일어났다. 주로 하천의 중층대에서 활동을 하며 먹이생물이 발견하면 접근하여 흡입하는 행동을 취했다. 연령은 3개 그룹으로 구분되었고 위내용물 중 상대중요성지수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IRI)가 1%를 초과하는 먹이생물은 하루살이목 (Ephemeroptera) 80.8%, 파리목 (Diptera) 8.6%, 날도래목 (Trichoptera) 8.5%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연령군에서 하루살이목이 매우 중요한 먹이생물이었고,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크기가 증가하였다.

일주기 리듬 편승과 관련된 한계주기궤도 (A Limit Cycle Model about the Entrainment of Circadian Rhythm)

  • 최돈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2권1호
    • /
    • pp.9-18
    • /
    • 2008
  • 현존하는 생물들은 주변 환경에서 오는 반복되는 신호의 영향을 받고 있다. 그 신호는 태양 및 지구의 운동 관계에서 되풀이되어 일어나는 주기적인 변화이다. 생식 및 번식, 세포 내 각종 분자들의 작용, 발생 단계에 일어나는 다양한 변화 등등의 생리학적/행동학적 활동들은 모두 일주기든 연주기든 주기성을 띠고 있다. 일주기 리듬을 통하여 생물들은 근본적으로 주변의 외부 시간에 그 생물 자체가 적응하게 하여, 일상적으로 반복되는 환경에서 적절한 시기에 활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각종 리드미컬한 패턴 중에 편승 변환을 고찰하기 위해 제시된 한계주기궤도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하고자 한다.

  • PDF

지구과학 교과 영역 탐구 활동 소재로서의 월면 회전 (An Inquiry Activity in the Subject Matter of Earth Science: Apparent Rotation of Lunar Configuration)

  • 김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591-605
    • /
    • 2006
  • 본 연구는 달의 일주 운동에서 관찰되는 월면 무늬의 겉보기 회전 운동에 관해서 정량적으로 기술하고 관측 결과를 제시하여 지구과학 교과 관점에서 지구 자전 현상과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달의 일주 운동 관측이 지구과학 교과 영역에서 수행할 수 있는 탐구활동 소재 중의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월면 무늬 회전은 지표면에 서 있는 관측자가 일주 운동하고 있는 달을 보고 있을 때 달 표면에 있는 어두운 무늬들이 지평선에 대해서 회전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이다. 이 현상은 육안으로도 쉽게 관측되므로 지구과학 탐구 요소로서 의문을 품어볼 만한 자연현상임에도 불구하고 이 현상을 지구 자전과 관련된 내용으로 소개하고 있는 지구과학 전공 영역 서적을 찾아보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월면 회전 현상의 이론적인 원리를 수학적으로 상세히 유도하고, 실제관측을 통하여 이 현상이 지구과학 교과 영역의 탐구 소재로서 개발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월면의 역회전 현상을 제시하고, 이를 수학적으로 증명하였으며 정성적인 이해가 가능하도록 설명 방법을 고안하여 소개하였다.

노래미, Agrammus agrammus의 일주섭식활동에 관한 수리적 접근 (Mathematical Approaches Related to Daily Feeding Activities of Rock Trout, Agrammus agrammus)

  • 김종관;강용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15-326
    • /
    • 1991
  • 본 조사는 노래미(Agrammus agrmmus)의 위만복도의 일주변화에 관한 수리적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표본은 삼천포 신수도 연안에서 1984년 9월부터 1985년 8월사이에 낚시와 삼중자강으로 채집된 것이다. 하루 중 위만복도는 이른 아침과 늦은 오후에 각각 한차례씩 증가하였고, 늦은 오전과 정오무렵 및 야간에는 감소하였다. 즉, 노래미의 섭식활동은 해뜰무렵과 해질무렵에 강하였다. 본 종의 하루 중 일주섭식활동은 위배출만 일어나는 시간대와 섭식과 위배출이 동시에 일어나는 시간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위배출 시간대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위만복도는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하였고, 섭식과 위배출이 동시에 일어나는 시간대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위만복도는 단위시간당 위배출률과 섭식률, 위의 최대만복도 등에 영향을 받았다. 위배출률은 위배출 시간대에서 시간 t와 t시점에서의 위만복도 $F_t$, 간, 또는 $F_t$$t+\Delta t$시점에서의 위만복도 $F+_{\Delta t}$, 간의 회귀관계식으로분터 회귀계수를 추정하는 방법으로써 구할 수 있었다. 섭식률과 위의 최대만복도는 섭식과 위배출이 동시에 일어나는 시간대에서 $F_t$$t+\Delta t$간의 회귀관계식으로부터 추정할 수 있었다. 섭식률과 위배출률은 봄에 높았고 겨울에 낮았다. 본 종의 일주섭식활동에 관한 가설들로부터 추논된 위배출 시간대와 섭식과 위배출이 동시에 일어나는 시간대에서 시간 t와 t시점에서의 위만복도 $F_t$, 간의 관계식은 각각 아래와 같다. $$F_t=F_{to}e^{-r(t-to)}$$, $$F_t=F\infty-(F\infty-F_{to})e^{-(p+r)(t-{t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