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원화된 기준

Search Result 6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1994년도 상반기 전기통신 단말기기의 인정 현황 -(재) 일본전기통신단말기기심사협회-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TTA Journal
    • /
    • s.37
    • /
    • pp.125-129
    • /
    • 1995
  • (재)전기통신단말기기심사협회(JATE)는 전기통신사업법에 기초하여, 우정성 장관으로부터 지정받고 우정성법령에 정해 놓은 기술기준(단말설비등의 규칙) 및 제1종 전기통신사업자가 우정성 장관의 인가를 받아 정한 접속 기술적 조건과의 적합성 심사를 하여, 적합인정을 일원화하고 있다. 1994년도 상반기의 인정상황 개요를 소개한다.

  • PDF

Drawbacks of Teacher Training System and Improvement Plan for Performance of Nuri-educators (누리과정 담당교사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유아교사 양성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Kwon, Eun Hee;Sung, Young Hy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7 no.4
    • /
    • pp.187-200
    • /
    • 2012
  • Korean government imposed a free education policy called "Nuri-Curriculum program" available for children under age of 5 ever since march 2012 due to consolidation of national responsibility. The policy presents providing of cost-free and high-quality education/childcare services to people. Nuri program services will expand to applied age of 3-5 children from march 2013. however, because to gain successful outcomes from the program requires well-trained professional educator,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education infrastructure in order to improve employees' professionality. Therefore study suggests followings: fisrt, establishment of desirable role-model. second, unification of the training process. third, unifications of administration system and qualification standard. fourth, readjust curriculums to focus on basic knowledge of human life. fifth, clarify the duty of educator and systematize curriculums. sixth, consolidate base criteria.

  • PDF

Improvement of Performance Test Standards for Marine Pollution Prevention Materials and Chemicals (for Eco-toxicity Test) (해양오염방제 자재·약제의 성능시험기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생태독성시험 항목))

  • Kim, Tae Won;Lee, Su Jin;Kim, Young Ryun;Lee, Moon 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7 no.6
    • /
    • pp.744-753
    • /
    • 2021
  •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standard test method and judgment criterion for the "Eco-toxicity Test" based on the rules and regulations provided in 'performance and qualifying test standards for marine pollution prevention materials and chemicals' in the Republic of Korea. Compared with the relevant references of other countries,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limitations in the existing standards. As for the growth inhibition test of algae using Skeletonema costatum as an indicator, applying comparative analysis to measure specific growth rates, together with statistical analysis, instead of applying current methods, judged by the appearance of colors from the culture medium was suggested. Considering the exponential growth phase of the test species, the test duration was suggested to be reduced to less than four days. For the test with fish as an indicator, resetting the appropriate body size was suggested to, show consistent sensitivity against chenicals applied during testing.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riteria needs, which should be established in reasonable and objective ways. For the testing species, marine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could be a replacement for Artemia sp., and a bivalve for fish in the test. To improve the performance effectiveness of the "Eco-toxicity test", it is worth considering the designation of accredited testing institutes, by placing it in the same loop. Thus it is also expected to have a reliable management system in place, having the capacity of cost calculation properly and adjusting testing items if required.

Turbidity One-System for River and Reservoir (하천-저수지 탁수 일원화 모델 )

  • Seokil Jeong;Eun Ji Kim;Cheol Seo Ki;;EJae Kwon;Hwa You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10-510
    • /
    • 2023
  • 집중호우의 증가는 저수지 내 탁수의 증가로 이어지며, 저수지에서의 탁수 배제는 하천의 탁수 문제로 연결될 수 있다. 탁수의 발생은 정수처리 비용 증가와 하천 생태계 문제 등을 발생시키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특히 낙동강 유역의 임하호는 태풍 및 집중호우 발생 시 고탁수의 유입 빈도가 높다. 탁수가 임하호에 유입되면 일반적으로 저수지 탁수 예측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탁수의 저수지 내 탁수 거동과 방류량에 따른 탁수 저감 정도를 파악하고, 탁수 배제를 위한 저수지 운영계획을 수립한다. 그러나 방류된 고탁수의 하천 거동에 대한 수치해석은 국내에서는 수행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임하댐 하류에서 내성천합류부까지는 약 0.325 m3/s의 물을 취수하고 있으므로(2022년 기준), 하천의 탁수도 저수지 탁수와 동시에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저수지와 하천의 유사 거동 분석에 대해 격자 구성 등의 이유로 일반적으로 각각 다른 tool을 사용하고 있으나, 모델구축 및 입□출력 data의 변환 등 구축, 구동, 분석 과정 모두 효율적이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천과 저수지에서의 탁수 거동을 동시에 예측할 수 있는 일원화된 수치해석 모델을 구축(임하호~낙본C)하였다. 준3차원 모델인 EFDC를 이용하였으며, 격자는 저수지는 직사각격자, 하천은 Curvlinear를 적용하였다. 연직방향으로는 저수지와 하천의 수심 차이가 크므로 EFDC 내에 탑재되어 있는 𝜎-z(uniform)레이어 옵션을 선택하여, 저수지 연직 레이어는 40개, 하천은 2개로 구축되었다. 하천에서의 탁수 거동 예측은 지류의 유량, 탁도 등의 경계조건 data를 얻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유량은 임하호 유입유량에 유역면적비를 적용하였으며, 탁도는 TSS(Total Suspended Solid)-SSC(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유량의 관계를 각각 회귀분석 등을 통해 도출하여 연구 범위 내 7개 지류하천에 적용하였다. 모의 시기는 2개의 태풍으로 연속적인 탁수가 발생한 2020년 08~10월로 결정하였다. 모의 결과 저수지와 하천의 PBIAS는 각각 13.6과 8.4로(Very Good 등급) 하천과 저수지를 동시에 모의하는 탁수 예측의 적용 가능성은 충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벤트별 지류의 유량과 탁도는 일정한 관계로 계산될 수 없으므로, 향후 유역 모델과 연계하여 지류 유입 유량 및 탁도의 정확도를 개선할 것이다.

  • PDF

A Research on Digital Content Management for SMART Service (SMART Service를 위한 데이터의 통합과 관리의 체계화)

  • Lee, Won-Goo;Lee, Min-Ho;Shin, Sung-Ho;Kim, Kwang-Young;Lee, Sang-Hwan;Yoon, Hwa-Mook;Sung, Won-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b
    • /
    • pp.307-310
    • /
    • 2011
  • 정보생산량의 폭발적 증가(2008년 4,870억GB에서 2010년 12,000억GB로 62% 증가, 미국 EMC & 스위츠 IMD 기준) 및 각 정보(콘텐츠) 간 연관 지식의 요구 증대는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효율적인 통합 관리의 필요성을 더욱더 증대시키고 있으며, 또한 더 나은, 그리고 새로운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정보 간 연계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더 요구되고 있다. 본 고(考)에서는 문헌데이터와 시맨틱 데이터에 대한 체계화되고, 표준화되며, 일원화된 정보관리 수행과 두 정보 간 연계를 통한 SMART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도록 디지털 콘텐츠 관리체계를 새로이 설계하고, 이를 구축하였다.

A Study on the Linkage for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Clearinghouse (국가지리정보유통망과 계열 유통망의 연계에 관한 연구)

  • 신동빈;김수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1 no.4
    • /
    • pp.453-464
    • /
    • 2003
  •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country in knowledge information can be determined that how efficiently useful knowledge and information can be circulated.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second National GIS Master Plan, and constructed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Clearinghouse to the goal 'whole nation's internet circulation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and practical use'. But every departments of government are trying to circulate their geographic information individually, And this case, consumer group should approach to several dissemination network in various routing line to get the geographic information. In fact, it is difficult to present the solution for uilified single dissemination network. It is difficult to present suitable linkage plan coinciding in special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all systems. Consequently, in this study, we suggested linkage element that should consider far link with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Clearinghouse, and presented linkage plan by linkage target type.

  • PDF

The Selection of u-City Service for Construction of u-City Operation Center (도시통합운영센터 구현을 위한 u-City 서비스 선정)

  • Kang, Seung-Lim;You, Jin-Soo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5a
    • /
    • pp.115-120
    • /
    • 2009
  • u-City는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를 도시공간에 융합해, 도시 생활의 편의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인 도시 관리에 의한 안전보장, 신산업 창출 등 도시 기능을 전반적으로 혁신할 수 있는 첨단 정보통신 도시를 의미한다. 최근 자치단체별로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u-City사업의 성공적인 구현을 위해, 도시 관리의 효율적 운영, 편리하고 신속한 서비스 제공, 발생 가능한 정보의 통합, 각종 기관과의 연계 등을 일원화된 통합조직을 통해 수행할 수 있는 도시통합운영모델과 u-City 정보인프라의 핵심적인 역할(정보의 통합적인 수집 관리 제공)을 수행하는 도시통합운영센터 구현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이에 대한 구축방법, 운영방안 등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실제로 도시통합운영센터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도시통합운영센터의 성공적인 구현을 통해 도시의 효율적인 통합운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도시통합운영센터 구축 운영 방안 수립과 함께 도시통합운영모델의 개발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에 앞서 무엇보다 도시운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도시통합운영센터의 표준 업무 프로세스 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통합운영센터의 표준 업무 프로세스를 구축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도시통합운영센터 구현에 관련된 주요 이해관계자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도시통합운영센터 u-City 서비스를 선정하고, 운영방식 (센터 통합운영, 지자체 연계를 통한 센터통합운영, 개별운영)에 따라 분류하였다.

  • PDF

A Study on NTIS Standard Code and Classification Service Development (NTIS 표준코드 및 분류지원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yun-jeong;Kim, tae-hyun;Lim, chul-su;Kim,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11a
    • /
    • pp.376-380
    • /
    • 2007
  • The national R&D information of ministries which define shared information related to national R&D projects has been derived. Among them, 21 percent are code items which can provide important standards to classify information and put out S&T statistic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the code items that are differently defined and managed by each research management specialized organization. For this, the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NTIS) intends to provide a clear code standard for the national R&D information of ministries by defining the NTIS Standard Code. In this study, we also describe the classification service to manage the NTIS Standard Code, National Standard Science and Technology Classification Codes which have been used for national R&D projects's survey and analysis as a unified way.

  • PDF

정보통신망법 개정에 따른 기업 정보보호 제도 현황 및 정보보호 관리체계의 인증기준 비교

  • Kim, Hwan Kuk;Ko, Kym Man;Lee, Jae Il
    • Review of KIISC
    • /
    • v.23 no.4
    • /
    • pp.53-58
    • /
    • 2013
  • 최근 사이버공격은 지능화, 대규모화되고 있는 반면, 경기침체 등으로 인해 기업의 정보보호 투자가 저조하고 인터넷 침해사고 예방활동이 미흡한 실정이다. 정부는 취약한 기업의 정보보호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정보보호 안전진단 제도를 폐지하고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제도로 일원화하였으며, ISMS 인증기업을 대상으로 한 정보보호 관리등급제, 정보보호 사전점검, 임원급 정보보호 최고책임자(CISO) 지정 등 신설하였다. 본 고에서는 개정 정보통신망법에 따라 신설 보완된 기업 정보보호 관련 제도현황과 변경된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기준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Plan for Improving Water Quality in the Daegok and Sayeon Dam Basins (대곡·사연댐 유역 수질개선을 위한 물환경관리 방안)

  • Kim, Gyobeom;Rhee, Han-Pil;Shin, Minhwan;Lee, Seungjae;Park, Jo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66-466
    • /
    • 2022
  • 2018년 물관리 일원화를 위한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기존 국토교통부의 「수자원의 조사·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등의 사무가 환경부로 이관되었다. 과거 부처별로 나누어진 물 관리 체계에 따라 부처간 업무중복, 과잉투자 등 수량과 수질에 대한 분리된 관리체계의 한계점으로 유역 상류에 설치된 댐의 경우 저류된 댐 용수의 수질악화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물관리 일원화 이후, 「제2차 물환경관리 기본계획」에서는 2025년까지 주요 상수원 수질을 좋음(I)등급 달성을 목표로 제시하였고, 이와 연계하여 평가지표 등에 설정한 댐 수질목표를 2025년까지 매우좋음(Ia) 등급 달성을 위해서는 댐 상류 주요 오염원에 대한 과학적 분석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관리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인 사연댐은 울산공업지구의 공업용수 확보를 위해 1965년 준공되어 울산 일원에 100,000m3/일 이상의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수원시설이며, 대곡댐은 기존 울산지역에 공업용수로 사용하던 사연댐의 물을 생활용수로 전환하고, 대곡·사역댐의 연계운영을 통해 연간 66백만의 생활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원시설이다. 수질 목표기준의 경우 대곡댐은 좋음(Ib), 사연댐은 매우좋음(Ia)로 설정되어 있으나, 2015~2019년까지의 TOC, T-P의 평균 달성률을 살펴보면 대곡댐은 TOC 45.8%, T-P 27.1%의 목표수질 달성률을 나타내었고, 사연댐은 TOC 및 T-P 모두 0%로 목표수질을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곡·사연댐 상류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의 특성 및 오염원 발생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물환경관리 종합대책을 수립하기 위하여 1) 유역 물환경 기초자료 조사와, 2) 모니터링을 통한 댐유역 오염 원인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소유역별 오염부하량을 분석하고 개선대책(안)을 도출하였다. 이 때, 개선대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유역 모형(HSPF)과 호소수질(AEM3D) 모형을 활용하여 수질모델 구축 및 보정을 수행하였고, 개선 대책(안)에 대한 목표수질 달성여부를 파악하였다. 최종적으로 대곡·사연댐 유역의 호소수질 변화를 파악하고 댐 유역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물환경관리 종합대책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