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상생활 주변도움 필요정도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초

치매노인의 일상생활에 대한 주변도움 필요정도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PLS-SEM을 활용한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the degree of need for around help on daily lif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on life satisfaction :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using PLS-SEM)

  • 이형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1호
    • /
    • pp.169-17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패널(KLoSA) 7차년도 데이터 중 60세이상 치매판정 노인(경도인지장애 포함)을 대상으로 치매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생활 주변도움 필요정도와 우울의 영향력을 분석하고,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주변도움 필요정도와 삶의 만족 사이에서 우울이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

중장년층의 치매관련 태도와 치매예방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mentia Related Attitudes of the Middle Aged and Their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 박미정;오두남;문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53-663
    • /
    • 2018
  •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치매관련 태도 및 치매예방행위의 정도, 그리고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10월 1일부터 9일까지 국내의 40~60대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220부의 설문지가 수거되었다. 자료는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등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 중 52.7%가 치매예방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나 단지 5.9%만이 치매와 관련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다. 둘째, 암,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에 비해 치매 발병에 대한 두려움은 높았으나, 질병극복에 대한 자신감, 일상생활 유지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 가족 및 주변인의 도움에 대한 기대감, 국가의 의료 및 경제적 지원에 대한 기대감은 유의하게 낮았다. 셋째, 치매예방행위를 실천할수록 질병극복에 대한 자신감, 일상생활 유지가능성에 대한 기대감, 가족 및 주변인의 도움에 대한 기대감, 국가의 의료 및 경제적 지원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으며, 치료비의 부담감이 낮아졌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질환으로만 생각하였던 치매에 대해 중장년층의 인식 변화와 조기예방을 위한 사회적 제도 마련 및 교육, 홍보 활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개인적, 사회적 노력은 치매로 인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 경제적인 문제를 감소시켜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