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산지역

Search Result 11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estimation of CO concentration in Daegu-Gyeongbuk area using GEV distribution (GEV 분포를 이용한 대구·경북 지역 일산화탄소 농도 추정)

  • Ryu, Soorack;Eom, Eunjin;Kwon, Taeyong;Yoon, Sanghoo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7 no.4
    • /
    • pp.1001-1012
    • /
    • 2016
  • It is well known that air pollutants exert a bad influence on human health. According to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 4.3 million people die from carbon monoxide and particulate matter annually from all over the world. Carbon monoxide is a toxic gas that is the most dangerous of the gas consisting of carbon and oxygen. In this paper, we used 1 hour, 6 hours, 12 hours, and 24 hours averag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data collected between 2004 and 2013 in Daegu Gyeongbuk area. Parameters of the generalized extreme value distribution were estimated by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nd L-moments estimation. An evalution of goodness of fitness also was performed. Since the number of samples were small, L-moment estimation turned out to be suitable for parameter estimation. We also calculated 5 year, 10 year, 20 year, and 40 year return level.

The Complete Chloroplast DNA Sequences of Viola selkirkii (뫼제비꽃(Viola selkirkii)의 엽록체 DNA 염기서열 분석)

  • Ah-Reum Go;Yun-Sun Lee;Kyung-Ah Kim;Kyeong-Sik Cheon;Ki-Oug Yo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55-55
    • /
    • 2020
  • 뫼제비꽃(Viola selkirkii)의 엽록체 DNA 염기서열을 차세대염기서열분석법(NG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재료는 강원도 화천군 일산과 제주도 한라산의 2개체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염기서열의 길이는 일산의 뫼제비꽃이 156,774 bp (GC content: 36.30%), 한라산의 뫼제비꽃이 157,451 bp(GC content: 36.30%)로 한라산 개체가 길게 분석되었다. 구간별로 LSC(Large single copy)지역은 한라산 개체(85,950 bp)가 일산 개체(85,930 bp)보다 20 bp 길었으며, SSC(Small single copy)지역은 한라산 개체(17,261 bp)보다 일산 개체가 17,982 bp로 길게 분석되었다. IR(Inverted repeat)지역은 한라산 개체가 27,120 bp로 일산 개체(26,431 bp)보다 길게 분석되었다. 이러한 염기서열 길이의 차이는 종내 개체 간 빈번하게 발생하는 현상으로 IGS와 intron 구간에서 확인 된 단순반복서열의 일부 누락과 IR지역 내의 수축과 확장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뫼제비꽃 2개체의 엽록체 게놈을 구성하는 유전자 수는 총 111개로 동일하였으며, protein coding gene 77개, tRNA(transfer RNA) gene 30개, 그리고 rRNA (ribosomal RNA) gene 4개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는 기 발표된 엽록체 DNA 전체 염기서열이 밝혀진 제비꽃속 (Viola) 종류들과 동일한 결과이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uter Mode Choice Behavior between Regions : Case of Seoul and Ilsan New Town (촐근통행 교통수단 선택행태의 지역간 비교연구: -서울과 일산 신도시를 중심으로-)

  • 조중래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83-92
    • /
    • 1998
  • 서울과 일산 신도시의 출근통행 교통수단 선택모형을 구축하고, 두 도시간 수단선택행태를 분석.비교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1996년 서울시에서 수행한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수단선택모형으로는 다항로짓모형을 사용하였다. 두 지역 출근통행 수단선택모형의 모형구조상의 차이 및 모형의 지역간 이전가능성을 분석하였고, 출근통행의 시간가치 및 탄력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통계적 검증의 결과 출근통행의 수단선택에 있어서, 모형구조적 측면에서나 선택행태적 측면에서 수단 선택모형의 두 도시간 이전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출근통행의 시간가치가 일산보다 전반적으로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특히 서울의 경우, 택시이용자의 시간가치가 자가용 이용자의 시간가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도시 모두 통행시간에 대한 탄력성 통행비용에 대한 탄력성보다 전반적으로 크며, 버스와 지하철간의 통행시간에 대한 교차탄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Reg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uter Mode Choice Behavior -Case of Seoul and llsan New Town- (출근통행 교통수단 선택행태의 지역간 비교연구 -서울과 일산신도시를 중심으로-)

  • 조중래;김채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6 no.4
    • /
    • pp.75-88
    • /
    • 1998
  • 서울과 일산 신도시의 출근통행 교통수단 선택모형을 구축하고, 두 도시간 수단선택형태를 분석.비교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1996년 서울시에서 수행한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수단선택모형으로는 다항로짓모형을 사용하였다. 두 지역 출근통행 수단선택모형의 모형구조상의 차이 및 모형의 지역간 이전가능성을 분석하였고, 출근통행의 시간가치 및 탄력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통계적 검증의 결과 출근통행의 수단선택에 있어서, 모형구조적 측면에서나 선택행태적 측면에서 수단선택모형의 두 도시간 이전은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출근통행의 시간가치가 일산보다 전반적으로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특히 서울의 경우, 택시이용자의 시간가치가 자가용 이용자의 시간가치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도시 모두 통행시간에 대한 탄력성 통행비용에 대한 탄력성보다 전반적으로 크며, 버스와 지하철간의 통행시간에 대한 교차탄력성이 매유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현장탐방 - 세일이엔에스(주)의 '한화 아쿠아플라넷 일산' 기계설비공사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88
    • /
    • pp.62-74
    • /
    • 2014
  • 가족끼리 놀러 가기로 했다. 한 아이는 수족관, 다른 아이는 동물원을 가자고 조른다. 부모는 어느 쪽으로 선택해야 할지 난감하다. 이럴 때 수족관과 동물원이 한 공간에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런 부모들의 마음을 헤아려 수족관과 동물원을 한 공간에 마련한 아쿠아리움이 있다. 지난 4월에 개장한 '한화 아쿠아플라넷 일산'이다. 아쿠아플라넷 일산은 국내에서 해양생물을 관람할 수 있는 63씨월드, 코엑스 아쿠아리움, 제주, 여수에 이어 다섯 번째지만 동물원과 수족관이 결합된 단일시설로는 국내 최초이며, 수도권 최대 규모의 아쿠아리움이다. 해양생물을 관람하려면 서울로 와야 하는 수도권 이북지역의 관람객을 겨냥했으며 호수공원, 국제전시단지, 한류월드로 이어지는 매머드급 접객시설이 밀집되어 있고 일산 킨텍스, 주엽역과 일산 꽃박람회장까지 연결되는 접근성이 뛰어나 전시단지의 상징적인 랜드마크로서 자리잡을 전망이다.

  • PDF

Regional Background Levels of Carbon Monoxide Observed in East Asia during 1991~2004 (1991~2004년 동아시아에서 관측한 일산화탄소의 지역적 배경 농도)

  • Kim, Hak-Sung;Chung, Yong-Seu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7 no.6
    • /
    • pp.643-652
    • /
    • 2006
  • Data of th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observed in Mt. Waliguan in China (WLG), Ulaan Uul in Mongolia (UUM), Tae-ahn Peninsula in Korea (TAP), and Ryori in Japan (RYO) were analyzed for a long period between 1991 and 2004.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was the highest at TAP $(233{\pm}41ppb)$ followed by $RYO(171{\pm}36ppb),\;UUM(155{\pm}26ppb),\;and\;WLG(135{\pm}22ppb)$. The seasonal variations being high in spring and low in summer were observed in other areas of Eastern Asia except WLG. TAP was high in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in all seasons compared to WLG, UUM and RYO and shows wide distribution of concentration in the histogram, which is caused by the influence of large-scale air pollution due to its downwind location close to the East Asian continent, China in particular. Also, our data was compared with data measured at Mauna Loa (MLO) in Hawaii. According to the origin of the isentropic backward trajectory and its transport passag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observed in TAP was analyzed as follows: continental background airflows (CBG) were $216{\pm}47ppb$; regionally polluted continental airflows (RPC) were $316{\pm}56ppb$; Oceanic background airflows (OBG) were $108{\pm}41ppb$; and Partly perturbed oceanic airflows (PPO) were $161{\pm}6ppb$. The high concentration of carbon monoxide in TAP is due to the airflow from East Asian continent origin rather than that from the North Pacific origin. Especially, RPC which passes through the eastern China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concentration in spring, fall, and winter. However, OBG was affected by the North Pacific air mass with a low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in summer. The NOAA satellite images and GEOS-CHEM model simulation confirmed a large-scale air pollution event that was in the course of expansion from southeastern China boun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Korea East Sea by way of the Yellow Sea.

An Investigation on Determinants of Apartment Price in Ilsan Area (일산지역의 공동주택 평당매매 가격결정 특성에 관한 연구)

  • Jang, Han-Sub;Yoo, Seon-Jong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18 no.6
    • /
    • pp.35-4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factors affecting the apartment price given three sets of variables such as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building, apartment site, and location. Data of 1,579 housing units in 224 apartment complex sites in Ilsan city were selected from the housing information of four public and private housing sources in 2006. The first set of variables for physical features include housing size (pyoung), preferring-floor, building orientation, heating system and structure of entrance. The second set of variables for building were number of housing units, built year and rank of construction company. The third set of variables for location were distance from number of school, the subway station, distance of department store and park. For the analysis, the hedonic price model, which was one of the methods to estimate social convenience, was used along with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variables, it was analyzed that all of the variables except facing affected the apartment price. Secondly, In the site characteristic variables, unusually all of the variables were not affected the apartment price in Ilsan city. Finally,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 variables number of school, the subway station, distance of department store and park affected the apartment price. In case of Ilsan city, educational facilities was likely to positively contribute to the price of apartment.

Global monitoring of carbon monoxide (CO) by MOPITT (모피트를 이용한 일산화탄소의 전지구적 모니터링)

  • 최성득;장윤석;이상희;최기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413-414
    • /
    • 2003
  • 최근의 대기오염과 기후변화는 특정 지역에만 국한되지 않고 전지구 규모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인공위성에 탑재된 원격 센서들을 이용한 대기환경 모니터링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일산화탄소 (CO)는 OH 농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대류권 화학에서 매우 중요한 미량기체이며, 대기 중 lifetime이 약 2개월이므로 산불이나 대규모 공업단지에서 생성된 CO를 포함한 오염물질들의 추적자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MOPITT (Measurement of Pollution in The Troposphere) 기기가 개발되어, 1999년에 지구관측위성인 Terra에 탑재되어 CO 및 CH$_4$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 (중략)

  • PDF

Simultaneous Measurement and Interecomparison of Criteria Pollutants between Laboratories (대기환경기준 설정항목 실험실간 동시측정 비교)

  • 한진석;김정수;안준영;김창환;김정호;김민영;이민현;조석주;김정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299-301
    • /
    • 2000
  • 대기환경기준 설정항목은 아황산가스를 비롯하여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오존, 총부유먼지(TSP), 미세먼지(PM10), 납 6개항목이며, 이들 오염물질 중 아황산가스와 총부유먼지는 1990년대 급격히 오염도가 개선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일산화탄소와 납의 경우에도 환경기준을 대부분의 지역에서 만족하고 있으나 이산화질소와 오존은 개선되는 양상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도리어 오존의 고농도 발생현상은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중략)

  • PDF